게이츠헤드 Gateshead | |
---|---|
전 영국 하원의 자치구 선거구 | |
![]() 타인 위어주 내 게이츠헤드 선거구의 경계 | |
![]() 잉글랜드 내 타인 위어주의 위치. | |
지방 | 타인 위어주 |
유권자 수 | 66,066명 (2010년 12월)[1] |
주요 도시 | 게이츠헤드 |
2010년 ~ 2024년 | |
의원 수 | 1인 |
대체된 선거구 | 게이츠헤드센트럴 위컴 재로 게이츠헤드이스트 |
이전 선거구 | 게이츠헤드이스트 워싱턴웨스트 타인브리지 |
1832년 ~ 1950년 | |
의원 수 | 1인 |
선거구 유형 | 자치구 선거구 선거구 |
대체된 선거구 | 더럼주 |
이전 선거구 | 게이츠헤드이스트 게이츠헤드웨스트 |
게이츠헤드(Gateshead)는 잉글랜드 북부 더럼주에 위치한 영국 의회의 옛 선거구이다. 2010년부터 2024년까지 노동당의 이안 먼스가 지역구 의원을 맡았다.
2023년 웨스트민스터 선거구 정기심의 결과 관할구역 대부분이 게이츠헤드센트럴 위컴으로 신설 통합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재로 게이츠헤드이스트로 편입되었다.
1832년에 처음 신설되어 1950년에 폐지된 선거구였다. 당시 국회의원 중 유명인으로는 잉글랜드 웨일스 대법관을 지낸 제임스 멜빌 의원, 냉전 시기 유엔에서의 활동을 바탕으로 쌍방 평화적 관계 구축에 일조한 코니 질리어커스 의원이 있었다.
이후 2010년 영국 총선부터 부활하였다. 2015년 총선에서는 노동당이 승리한 232개 지역구 중 득표격차 순으로는 33번째로 큰 지역구로 이름을 올렸다.[2] 지난 총선과 비교해 봤을 때 표 격차가 2.6%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잉글랜드 구획위원회는 선거구 개편 심의를 통해 게이츠헤드 지역구의 부활을 권고하였다. 기존의 게이츠헤드이스트 워싱턴웨스트와 타인브리지 지역구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는 것이다.
현재 지역구 주민은 백인 노동계층이 압도적으로 많다. 전체 유권자 중 95%가 백인 영국인으로 추산된다. 지역구 정치성향도 이러한 바탕으로부터 비롯되었는데, 로우펠 지역을 제외한 지역구 내 모든 선거지역은 노동당 지지세가 강하며 브렉시트에 압도적으로 찬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거 | 의원[3] | 정당 | 비고 | |
---|---|---|---|---|
1832년 | 커스버트 리폰 | 급진당[4][5][6] | ||
1841년 | 윌리엄 허트 | 급진당[7][8] | ||
1859년 | 자유당 | |||
1874년 | 월터 제임스 | 자유당 | ||
1893년 | 윌리엄 앨런 경 | 자유당 | ||
1904년 | 존 존슨 | 자유당 | ||
1910년 1월 | 해럴드 엘버스턴 경 | 자유당 | ||
1918년 | 허버트 서티스 | 연합보수당 | ||
1922년 | 존 브라더턴 | 노동당 | ||
1923년 | 존 디키 | 자유당 | ||
1924년 | 존 버킷 | 노동당 | ||
1929년 | 제임스 멜빌 경 | 노동당 | ||
1931년 | 허버트 에반스 | 노동당 | ||
1931년 | 토머스 매그니 | 국민자유당 | ||
1945년 | 코니 질리어커스 | 노동당 (1945–49) 노동당 무소속 그룹 (1949) 노동당계 무소속 (1949–50) | ||
1950년 | 선거구 폐지 |
선거 | 의원[3] | 정당 | 비고 | |
---|---|---|---|---|
2010년 | 이안 먼스 | 노동당 | ||
2024년 | 선거구 폐지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이언 먼스 | 노동당 | 20,712표 |
|
당선 |
||||
프랭크 힌들 | 자유민주당 | 8,163표 |
|
|||||
헤이즐 앤더슨 | 보수당 | 5,716표 |
|
|||||
케빈 스콧 | 영국 국민당 | 1,787표 |
|
|||||
존 테넌트 | 영국 독립당 | 1,103표 |
|
|||||
앤디 레드펀 | 녹색당 | 379표 |
|
|||||
엘레인 브런스킬 | 노동조합원 사회주의 연합 | 266표 |
|
|||||
데이비드 월튼 | 기독당 | 131표 |
|
| ||||
우위 득표수 | 12,549표 | 32.8% | -7.9 | |||||
합계 | 38,257표 | |||||||
노동당 유지 |
게이츠헤드[11]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이언 먼스 | 노동당 | 21,549표 |
|
당선 |
||||
존 테넌트 | 영국 독립당 | 6,765표 |
|
|||||
토머스 스미스 | 보수당 | 5,502표 |
|
|||||
프랭크 힌들 | 자유민주당 | 2,585표 |
|
|||||
앤디 레드펀[12] | 녹색당 | 1,548표 |
|
| ||||
우위 득표수 | 14,784표 | 39.0% | +6.2 | |||||
합계 | 37,949표 | |||||||
노동당 유지 |
게이츠헤드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이언 먼스 | 노동당 | 27,426표 |
|
당선 |
||||
로렌 행킨슨 | 보수당 | 10,076표 |
|
|||||
마크 벨 | 영국 독립당 | 2,281표 |
|
|||||
프랭크 힌들 | 자유민주당 | 1,709표 |
|
|||||
앤디 레드펀 | 녹색당 | 611표 |
|
| ||||
우위 득표수 | 17,350표 | 41.2% | +2.2 | |||||
합계 | 42,103표 | |||||||
노동당 유지 | -0.5% 선회 |
게이츠헤드[13]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이언 먼스 | 노동당 | 20,450표 |
|
당선 |
||||
제인 맥빈 | 보수당 | 13,250표 |
|
|||||
피터 모건 | 자유민주당 | 2,792표 |
|
|||||
레이첼 카브랄 | 녹색당 | 1,653표 |
|
| ||||
우위 득표수 | 7,200표 | 18.9% | -22.3 | |||||
합계 | 38,145표 | |||||||
노동당 유지 | -11.2% 선회 |
게이츠헤드[1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커스버트 리폰 | 급진당 | 무투표 | 당선 | ||||
급진당 승리 (지역구 획득) |
게이츠헤드[1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커트버트 리폰 | 급진당 | 무투표 | 당선 | ||||
급진당 유지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커트버트 리폰 | 급진당 | 236표 |
|
당선 |
||||
존 윌리엄 윌리엄슨 | 급진당 | 151표 |
|
| ||||
우위 득표수 | 85표 | 22.0% | ||||||
합계 | 387표 | |||||||
급진당 유지 |
게이츠헤드[1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윌리엄 허트 | 급진당 | 무투표 | 당선 | ||||
급진당 유지 |
게이츠헤드[1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윌리엄 허트 | 급진당 | 무투표 | 당선 | ||||
급진당 유지 |
게이츠헤드[1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윌리엄 허트 | 급진당 | 270표 |
|
당선 |
||||
아돌푸스 프레더릭 옥타비우스 리델[16] | 보수당 | 190표 |
|
|||||
랄프 월터스[17][18] | 무소속 자유당 | 136표 |
|
| ||||
우위 득표수 | 80표 | 13.4% | N/A | |||||
합계 | 596표 | |||||||
급진당 유지 |
게이츠헤드[1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윌리엄 허트 | 급진당 | 무투표 | 당선 | ||||
급진당 유지 |
게이츠헤드[1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윌리엄 허트 | 자유당 | 무투표 | 당선 | ||||
자유당 유지 |
게이츠헤드[1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윌리엄 허트 | 자유당 | 무투표 | 당선 | ||||
자유당 유지 |
게이츠헤드[1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윌리엄 허트 | 자유당 | 무투표 | 당선 | ||||
자유당 유지 |
게이츠헤드[1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윌리엄 허트 | 자유당 | 2,442표 |
|
당선 |
||||
윌리엄 아버스노트[19] | 무소속 자유당 | 1,406표 |
|
| ||||
우위 득표수 | 1,036표 | 27.0% | N/A | |||||
합계 | 3,848표 | |||||||
자유당 유지 | N/A% 선회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월터 제임스 | 자유당 | 4,250표 |
|
당선 |
||||
리처드 포스터 | 보수당 | 1,396표 |
|
|||||
윌리엄 아버스노트[21] | 무소속 자유당 | 12표 |
|
| ||||
우위 득표수 | 2,854표 | 50.4% | +23.4 | |||||
합계 | 5,658표 | |||||||
자유당 유지 | +24.0% 선회 |
게이츠헤드[1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월터 제임스 | 자유당 | 5,749표 |
|
당선 |
||||
게인스퍼드 브루스[23] | 보수당 | 1,570표 |
|
| ||||
우위 득표수 | 4,179표 | 57.0% | +6.6 | |||||
합계 | 7,319표 | |||||||
자유당 유지 | +3.2% 선회 |
게이츠헤드[2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월터 제임스 | 자유당 | 5,756표 |
|
당선 |
||||
제임스 헨리 바텀리[25] | 보수당 | 3,024표 |
|
| ||||
우위 득표수 | 2,732표 | 31.2% | −25.8 | |||||
합계 | 8,780표 | |||||||
자유당 유지 | −12.9% 선회 |
게이츠헤드[2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월터 제임스 | 자유당 | 무투표 | 당선 | ||||
자유당 유지 |
게이츠헤드[2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월터 제임스 | 자유당 | 5,336표 |
|
당선 |
||||
판델리 랄리 | 자유연합당 | 5,043표 |
|
| ||||
우위 득표수 | 293표 | 2.9% | N/A | |||||
합계 | 10,379표 | |||||||
자유당 유지 | N/A% 선회 |
게이츠헤드[2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윌리엄 앨런 | 자유당 | 6,434표 |
|
당선 |
||||
판델리 랄리 | 자유연합당 | 5,566표 |
|
| ||||
우위 득표수 | 868표 | 7.2% | +4.3 | |||||
합계 | 12,000표 | |||||||
자유당 유지 | +2.2% 선회 |
게이츠헤드[2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윌리엄 앨런 | 자유당 | 6,137표 |
|
당선 |
||||
J. 루커스 | 자유연합당 | 5,654표 |
|
| ||||
우위 득표수 | 483표 | 4.0% | +1.1 | |||||
합계 | 11,791표 | |||||||
자유당 유지 | +0.6% 선회 |
게이츠헤드[2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윌리엄 앨런 | 자유당 | 6,657표 |
|
당선 |
||||
존 셔번 | 자유연합당 | 5,711표 |
|
| ||||
우위 득표수 | 946표 | 7.6% | +3.6 | |||||
합계 | 12,368표 | |||||||
자유당 유지 | +1.8% 선회 |
게이츠헤드[2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존 존슨 | 자유노동당 | 8,220표 |
|
당선 |
||||
찰스 하워드 | 자유연합당 | 7,015표 |
|
| ||||
우위 득표수 | 1,205표 | 8.0% | +0.4 | |||||
합계 | 15,235표 | |||||||
자유노동당 유지 | +0.2% 선회 |
게이츠헤드[24]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존 존슨 | 자유노동당 | 9,651표 |
|
당선 |
||||
시어도어 앤지어 | 자유연합당 | 5,126표 |
|
| ||||
우위 득표수 | 4,525표 | 30.6% | +23.0 | |||||
합계 | 14,777표 | |||||||
자유노동당 유지 | +11.5% 선회 |
게이츠헤드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해롤드 엘버스턴 | 자유당 | 6,800표 |
|
당선 |
||||
니컬라스 그래턴도일 | 자유연합당 | 6,323표 |
|
|||||
존 존슨 | 노동당 | 3,572표 |
|
| ||||
우위 득표수 | 477표 | 2.8% | -27.8 | |||||
합계 | 16,695표 | |||||||
자유당 유지 | +42.3% 선회 |
게이츠헤드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해롤드 에버스턴 | 자유당 | 8,763표 |
|
당선 |
||||
허버트 서티스 | 보수당 | 5,608표 |
|
| ||||
우위 득표수 | 3,155표 | 22.0% | +19.2 | |||||
합계 | 14,371표 | |||||||
자유당 유지 |
게이츠헤드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허버트 서티스 | 연합당 | 17,215표 |
|
당선 |
||||
존 브라더턴 | 노동당 | 7,212표 |
|
|||||
해롤드 엘버스턴 | 자유당 | 5,833표 |
|
| ||||
우위 득표수 | 10,003표 | 33.1% | N/A | |||||
합계 | 30,260표 |
| ||||||
자유당 → 연합당 획득 |
게이츠헤드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존 브라더턴 | 노동당 | 18,795표 |
|
당선 |
||||
허버트 서티스 | 연합당 | 13,424표 |
|
|||||
존 디키 | 자유당 | 10,679표 |
|
| ||||
우위 득표수 | 5,371표 | 12.5% | N/A | |||||
합계 | 42,898표 |
| ||||||
연합당 → 노동당 획득 | +22.8% 선회 |
게이츠헤드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존 디키 | 자유당 | 17,344표 |
|
당선 |
||||
존 브라더턴 | 노동당 | 16,689표 |
|
|||||
조지 프랜시스 스티븐 크리스티 | 연합당 | 6,592표 |
|
| ||||
우위 득표수 | 355표 | 1.6% | N/A | |||||
합계 | 40,625표 |
| ||||||
노동당 → 자유당 획득 | +10.3% 선회 |
게이츠헤드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존 베킷 | 노동당 | 23,514표 |
|
당선 |
||||
힐튼 필립슨 | 연합당 | 14,178표 |
|
|||||
존 디키 | 자유당 | 9,185표 |
|
| ||||
우위 득표수 | 9,336표 | 20.0% | N/A | |||||
합계 | 46,877표 |
| ||||||
자유당 → 노동당 획득 | -2.5% 선회 |
게이츠헤드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제임스 멜빌 | 노동당 | 28,393표 |
|
당선 |
||||
이언 오루잉 | 연합당 | 11,644표 |
|
|||||
존 펜넬 | 자유당 | 10,314표 |
|
|||||
존 레오너드 왓슨 | 무소속 자유당 | 3,688표 |
|
| ||||
우위 득표수 | 16,749표 | 31.1% | +11.1 | |||||
합계 | 54,039표 | |||||||
노동당 유지 | +5.5% 선회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허버트 에반스 | 노동당 | 22,893표 |
|
당선 |
||||
커스버트 헤들램 | 보수당 | 21,501표 |
|
| ||||
우위 득표수 | 1,392표 | 3.2% | −27.9 | |||||
합계 | 44,394표 | |||||||
노동당 유지 |
1931년 5월 1일 제임스 멜빌 의원의 사망으로 6월 8일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그러나 재보궐선거 당선자인 허버트 에반스도 10월 7일 사망하였는데 이날은 영국 의회가 차기 총선을 앞두고 해산된 날이었기에 재보궐선거는 총선으로 대신하게 되었다.
게이츠헤드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토머스 매그네이 | 국민자유당 | 34,764표 |
|
당선 |
||||
어니스트 베빈 | 노동당 | 21,826표 |
|
|||||
존 스튜어트 바 | 새로운당 | 1,077표 |
|
|||||
존 펜넬 | 국민노동조직 | 187표 |
|
| ||||
우위 득표수 | 12,938표 | 22.36% | N/A | |||||
합계 | 57,314표 |
| ||||||
노동당 → 국민자유당 획득 |
보수당의 찰스 와이트 후보는 1931년 10월 15일 후보직에서 사퇴하였으며 새로운당의 바 후보와 국민노동당의 펜넬 후보도 사퇴하였으나 투표용지에는 이름을 남겼다.
게이츠헤드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토머스 매그네이 | 국민자유당 | 28,772표 |
|
당선 |
||||
제임스 윌슨 | 노동당 | 25,804표 |
|
| ||||
우위 득표수 | 2,968표 | 5.44% | ||||||
합계 | 54,576표 | |||||||
국민자유당 유지 |
게이츠헤드
| ||||||||
후보 | 정당 | 득표 | 득표율 | 당락 | 비고 | |||
---|---|---|---|---|---|---|---|---|
코니 질라커스 | 노동당 | 36,736표 |
|
당선 |
||||
토머스 매그네이 | 국민자유당 | 17,719표 |
|
| ||||
우위 득표수 | 19,017표 | 35.0% | N/A | |||||
합계 | 54,455표 |
| ||||||
국민자유당 → 노동당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