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카


산토 교덴이 엮고 쓰타야 주자부로가 출판한 《고콘교카부쿠라》(1787년)

교카(狂歌; 광가)는 일본의 시 단카의 대중적인 패러디 하위양식으로, 5-7-5-7-7의 31음으로 이루어진다. 에도 시대(17~18세기)에 유행한 이 양식은 덴메이 시대(1781~89년)에 이르러 절정에 달하였다.[1]

배경

[편집]

간시 양식(일본 시인이 쓴 중국 시) 시인들이 익살스러운 교시를 썼던 것과 비슷하게, 일본 고유의 와카 양식 시인들도 31 음절 양식의 익살스러운 시를 지었다.[1] 다나카 로쿠오는 기쇼카(戯笑歌, 장난스럽고 조롱하는 구절)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이는 양식을 제시하였는데, 코미디 로스트와 비슷한 분위기의 연회장에 참석한 손님을 표적으로 낭독하는 시였다.[2]

에도 시대 (17~19세기)에 교카는 크게 두 지류로 나뉘었는데, 한 지류는 에도(오늘날 도쿄)에 기반을 두었으며, 나머지는 간사이 지방의 나니와 교카였다.[1] 16세기 교토에서 생겨난 나니와 교카는 마쓰나가 데이토쿠(1571년~1654년)와 같은 귀족들이 처음으로 선보였다. 나중에는 오사카를 중심으로 평민들 사이에도 유행하게 되었는데, 나니와라는 옛 이름은 이 지역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것이다.[1]

18세기 후반, 다누마 오키쓰구 로주의 경제 정책이 해방감을 불러 일으키면서 이 시기에 다양한 출판 형태가 번창하였다. 요모노 아카라(1749년~1823년), 아케라 간코(1740년~1800년), 가라코로모 기슈(1743년~1802년)와 같은 에도 사무라이 시인이 모여 교카 시 모임과 경연을 가졌으며, 이후 10년동안 출판을 시작하였다. 가장 초기에 나왔고 가장 큰 모음집이기도 한 《만자키교카슈》(万載狂歌集; 만대광가집)는 아카라가 엮어 1783년 출판하였다. 에도의 교카는 덴메이 시대(1781~89년)에 이르러 절정에 달하였다.[1] 이 형식은 하급 사무라이, 상인과 같은 평민, 중국 및 일본 고전학자를 포함하여 다양한 사회 계층의 사람들을 매료시켰다.[2] 비록 평민들 사이에서 인기가 퍼졌지만 교카를 이해하는 데에는 상당한 고전 교육이 필요하였기에 즐길 수 있는 청중이 제한되었으며, 그 인기가 현대까지 지속되지 못하였다.[1]

수많은 교카 시가 짓펜샤 잇쿠의 골계본 《도카이도주히자쿠리게》(1802~22년)에 등장한다.[1]

형태

[편집]

교카 시는 5-7-5-7-7 조의 단카에서 그 형태가 파생한다.[1]

대부분의 유머는 저속하거나 평범한 것을 우아하고 시적인 환경에 놓거나 고전적인 주제를 공통 언어나 태도로 다루는 것에서 만들어진다.[1] 동음이의어를 이용한 말장난과 언어유희, 재담을 자주 사용하여 다른 언어로 매끄럽게 번역하기가 어렵다. 일반적인 작법은 혼카도리(本歌取り),로, 고전시를 기반(本歌; 혼카)으로 취해 저속하게 꼬아서 변주를 만들어낸 것이었다.[1] 다른 일반적인 작법으로는 텍스트 간의 연관 단어를 이용한 엔고, 중심 단어를 이용한 가케코토바, 비유적 언어인 미타테가 쓰였다. 와카에 흔한 수식어 마쿠라코토바는 교카에 쓰이지 않는다.[2]

다음 예시는 기노 사다마루(紀定丸, 1760년~1841년)가 고전 시인 사이교(1118년~1190년)의 유명 와카 《신고금 와카집》(1205년)을 혼카로 사용한 교카이다.[2]

사이교의 와카 기노 사다마루의 교카
일본어 원문 한글 독음 한국어 번역 일본어 원문 한글 독음 한국어 번역
吉野山
去年の枝折の
道かへて
まだ見ぬ方の
花をたずねむ
요시노야마
고조노시오리노
미치가헤테
마다미누카타노
하나오타즈네무
요시노산
작년의 가지 꺾은
길을 지나가
아직 보지 못한
꽃을 찾아간다
吉野山
去年の枝折を
見ちかへて
うろつくほどの
花盛かりかな
요시노야마
고조노시오리오
미치가헤테
우로쓰쿠호도노
하나자카리카나
요시노산
작년의 꺾은 가지를
보고 나니
헤맬 정도로
꽃이 만발하였구나

원작에서 사이교는 최고의 벚꽃 명소를 다시 떠올리기 위해 오늘날 나라요시노산에 있는 벚나무의 가지를 부러뜨렸다. 다음 해에 돌아올 때 그는 부러뜨린 가지를 보고 대신 전에 가본 적이 없는 곳으로 벚꽃놀이를 가기로 결정한다. 기노 사다마루는 원작을 패러디하여 몇 음절을 바꾸고 화자가 자신이 부러뜨린 가지를 찾지 못하고 헤매는 자신을 발견하게 한다.[2]

각주

[편집]

작품 인용

[편집]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