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함평생태공원에 사는 꽝꽝나무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감탕나무목 |
과: | 감탕나무과 |
속: | 감탕나무속 |
종: | 꽝꽝나무 |
학명 | |
Ilex crenata | |
Thunb. 1784 |
꽝꽝나무(학명: Ilex crenata)는 감탕나무과에 속하는 늘푸른 넓은잎 나무이다. 주로 남부 지방의 해안에서 자란다. 암수딴그루이다.
잎이 두껍고 살이 많아서 불에 태우면 꽝꽝 소리가 난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기도 하며, 단단하다는 뜻의 전라도 방언 깡깡하다에서 유래 되었다는 설도 있다.
높이는 3 미터 정도이다. 잎은 작으며 길이 2~3 센티미터의 타원형인데 가장자리는 작은 톱니처럼 되어 있다. 마치 회양목과도 비슷하지만, 잎이 어긋나는(회양목은 마주난다) 점과 가지가 회색인 점이 회양목과 다르므로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암수딴그루로서 초여름에 작은 흰 꽃이 피는데, 수꽃은 여러 개가 뭉쳐나며 암꽃은 1개씩이 달린다. 열매는 핵과로 공 모양이며, 10월경에 까맣게 익는다. 공해나 염해에 강하므로 도심지나 해안지대에 식재해도 잘 자란다. 뿌리를 옅게 내리므로 뿌리부가 서향볕에 노출되면 건조해지기 쉽다.
정원수로 이용되며 기구재와 빗 만드는 재료로 쓰인다.
꽝꽝나무에 해를 끼치는 생물로 루비깍지벌레, 뿔밀깍지벌레, 이세리아깍지벌레, 오리나무좀이 있다. 루비깍지벌레와 뿔밀깍지벌레는 년 1회 발생하며, 꽝꽝나무의 잎에 달라붙어 그 즙을 빨아먹어, 나무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그을음병을 일으킨다. 이세리아깍지벌레는 년 2-3회 발생하며, 꽝꽝나무의 새 가지에 달라붙어 즙을 빨아먹어 윗 두 깍지벌레와 같은 피해를 일으킨다. 오리나무좀은 가해 수종이 150종이 넘는 잡식성 해충으로 년 2회 발생하며, 수세가 약한 나무의 줄기에 구멍을 뚫고 들어가 피해를 일으킨다.[1]
![]() |
이 글은 국화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