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리타 국제공항주식회사의 로고. | |
나리타 국제공항주식회사 본사 사옥. | |
형태 | 주식회사 나리타공항법에 따른 특수회사 |
---|---|
창립 | 2004년 4월 1일 |
산업 분야 | 서비스업 |
서비스 | 나리타 국제공항의 설치 및 관리 |
전신 | 신도쿄국제공항공단 |
본사 소재지 | 〒282-8601 지바현 나리타시 후루고메 1번지1 (나리타 국제공항 내) |
핵심 인물 | 다무라 아키히코 (대표이사 사장) 시이나 아키히코 (대표이사 부사장) |
매출액 | 718억 8백만 엔[1] |
영업이익 | 575억 2,300만 엔[1] |
714억 1,800만 엔[1] | |
자산총액 | 1조 2,126억 1,600만 엔[1] |
순자산 | 3,397억 9천만 엔[1] |
주요 주주 | 국토교통대신 91.66% 재무대신 8.34%[1] |
종업원 수 | 3,007명[1] |
웹사이트 | www |
나리타 국제공항주식회사(成田国際空港株式会社, NAA)는 2004년 4월 1일 시행된 나리타국제공항주식회사법에 따라 나리타 국제공항의 설치 및 관리를 목적으로 수립된 특수회사이다. 통칭 "나리타 공항 회사"라고 부른다.
특수법인 신도쿄국제공항공단의 업무와 자산, 부채를 모두 승계한 특수회사로, 일본 정부(주주는 국토교통대신 및 재무대신)가 전 주식을 소유하고 있다. 약칭인 NAA은 공항공단(New Tokyo International Airport Authority)의 약칭과 같다.[2] 나리타국제공항주식회사법에 따라 일본 정부로부터 무이자 대출, 출자 및 채무보증을 받을 수 있지만[3] 대신 사업년도별 사업계획서나 신주 발행, 회사채 발행, 자금 차입, 대표이사 선정, 정관 변경 등의 일이 있으면 국토교통대신의 인가를 받아야 한다.[4]
일본 정부가 100% 출자한 회사이므로 국세 외에도 매년 최종연결이익의 약 30%를 배당금으로 국고에 납부한다.[5] 2018년 6월 26일 주주총회에서 결의된 배당금은 107억 7,600만엔이다.[6] 이 외에도 주식회사화 당시 공항공단의 정부 출자금 등 3,016억엔 중 1,496억 5,300만엔이 정부의 무이자 융자금으로 전환되어 부채 상환을 하고 있었으나 2017년 회계년도 기준 부채를 완납했다.[5][7][8][9]
회사의 사업 범위에는 나리타 국제공항의 관리 외에도 주변의 항공기 소음으로 인한 공해 발생 방지 및 손실 보상을 위한 제반사업도 포함되어 있다.[10]
주식회사화 이후 공항 터미널 건물에 입주해 있는 음식점, 상점, 항공사 사무실 등의 임차인이 납부하는 임대 수입을 '비항공계 수입'이라고 부르고 매장 면적을 증축하는 등 매출 강화 방향으로 가고 있으며, 공단 시절 주요 수입이었던 공항 사용료 중심의 '항공계 수입' 의존 구조를 벗어나는 경영을 중점으로 두고 있다.[11] 2017년 기준 주식회사의 수입 중 56%가 비항공계 수입으로 2004년 34%에 비해 증가했다.[11] 또한 2017년 나리타 국제공항의 터미널 건물 내 전체 매장 매출은 1,246억엔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일본 내 전체 쇼핑센터 중 5년 연속 일본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11][12]
지바항에서 나리타 공항까지 항공연료를 수송하는 약 47 km 길이의 파이프라인 수송관을 보유하고 있으며 일본에서 유일하게 석유파이프라인사업법을 적용받는 사업자이다.[13][14][15]
나리타국제공항주식회사법 제1조에 따르면 나리타 국제공항의 설치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해 항공 교통 이용객의 편의 증진을 도모하고, 이를 통해 항공 산업의 종합적인 발전에 기여함과 동시에 일본의 산업, 관광 등의 국제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16]
나리타국제공항주식회사법 제5조[16] 및 정관 제2조[17]에 규정된 주식회사의 주요 사업은 아래와 같다.
또한 각의를 바탕으로 지역과의 공생을 위한 노력 일환으로 유기농법 연수나 회사 소유의 농지대출사업도 같이 시행하고 있다.[18][19][20]
나리타 주식회사는 사업부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사업을 크게 '공항운영사업부', '소매사업부', '시설대부사업부', '철도사업부' 4가지로 분류하고 있다.[5][21]
2021년 3월 31일 기준 본사의 연결자회사는 아래와 같다.[22]
2021년 3월 21일 기준 일본 지분법을 적용받는 계열사는 아래와 같다.[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