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십리동

답십리제1동
踏十里第1洞
답십리제1동주민센터
답십리제1동주민센터

로마자 표기Dapsimni 1(il)-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행정 구역30, 235
법정동답십리동
관청 소재지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사가정로 30
지리
면적0.86 km2
인문
인구28,992명(2022년 2월)
세대10,496세대
인구 밀도34,0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동대문구 답십리제1동 주민센터
답십리제2동
踏十里第2洞
답십리제2동주민센터
답십리제2동주민센터
로마자 표기Dapsimni 2(i)-dong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행정 구역27, 201
법정동답십리동
관청 소재지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한천로11길 18
지리
면적0.80 km2
인문
인구28,180명(2022년 2월)
세대11,964세대
인구 밀도35,000명/km2
지역 부호
웹사이트동대문구 답십리제2동 주민센터

답십리동(踏十里洞)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 위치한 의 명칭이다.

개요

[편집]

답십리라는 명칭에는 여러 가지 유래설이 있다. 조선초 무학대사가 도읍을 정하려고 이곳을 밟았다 하여 답심리(踏尋里)로 불렸다는 것과 흥인지문으로부터 10리가 떨어진 곳이라고 하여, 왕십리와 같이 답십리라고 불렀다는 설, 그리고 청계천 하류지역이었던 이 지역의 들(논:畓)이 10리벌 같이 넓어서 답십리(畓→ 踏十里)로 되었다는 설이다. 이곳은 1751년 영조 27년 한성부 동부 인창방 답십리계였다가, 1911년 4월 경성부 인창면으로 편입되었고, 1914년 4월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으로 편입되었다. 1936년 4월에는 경성부 답십리정이 되었고, 1943년 4월 1일 구제를 시작하면서 동대문구에 편입되어, 동대문구 답십리정으로 개칭하였다. 해방후 1946년 10월 1일 일제식 명칭인 ‘정’을 없애고, 동대문구 답십리동으로 개칭하였다. 1970년 5월 18일 동대문구 답십리3동이 신설되었고, 2008년 8월 11일에는 답십리3동과 5동을 통합하였다. 2009년 5월 4일에는 1동과 3동을 통합하여 2개의 동만 남게 되었다.[1]

법정동

[편집]
  • 답십리동

교육

[편집]

주거

[편집]
단지명 건설사 시행사 주소 입주 비고
래미안 엘파인 삼성물산 건설부문 2008년 12월 전농3-2구역 재개발
래미안 미드카운티 2019년 4월 답십리18구역 재개발
답십리 래미안위브 삼성물산 건설부문
두산건설
2014년 10월 답십리16구역 재개발
청계 힐스테이트 현대건설 대농신한 주택재건축정비사업조합 2018년 11월
우성그린 우성건설 1997년 5월
청솔우성 2000년 3월
답십리 두산 두산건설 답십리9구역 주택재개발조합 2000년 9월 답십리9구역 재개발
답십리 두산위브 2007년 4월
답십리 파크자이 지에스건설 답십리14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2019년 2월 답십리14구역 재개발
답십리 e편한세상
e편한세상 답십리 아르테포레
답십리 대우 대우건설 답십리11구역 주택재개발조합 2002년 4월 답십리11구역 재개발
답십리 동아 동아건설산업 2001년 11월 답십리8구역 재개발

교통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답십리동의 유래와 연혁, 2012년 6월 25일 확인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