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치–조사 알고리듬 은 1992년 데이비드 도이치 와 리처드 조사가 제안하고 1998년 리차드 클리브, 아서 에케르트, 키아라 맥카벨로 및 마이클 모스카가 개선한 결정론적 양자 알고리듬이다.[ 1] [ 2] 현재 실용성은 거의 없지만, 가능한 결정론적 고전 알고리듬보다 기하급수적으로 빠른 양자 알고리듬의 첫 번째 예 중 하나로 역사적인 의미가 있다.[ 3]
도이치-조사 알고리듬으로 푸는 문제는, 양자 알고리듬에는 쉽고 결정적 고전 알고리듬에는 어렵도록 의도적으로 설계된 문제이다. 이는 양자 컴퓨터로 오류 없이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블랙박스 문제인 반면, 결정론적 고전 컴퓨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랙박스에 대한 기하급수적인 쿼리가 필요하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양자 컴퓨터에서 다항식 시간 내에 정확하게 해결할 수 있는 문제 클래스인 EQP 와 P 가 다른 것과 관련하여 오라클을 생성한다.[ 4]
이 문제는 확률적 고전 컴퓨터에서 해결하기 쉽기 때문에 확률적 고전 컴퓨터에서 다항식 시간의 유계 오류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 클래스인 BPP 와 오라클 분리를 생성하지 않는다. 반면에, 사이먼 문제는 BQP 와 BPP 사이에 오라클이 분리되는 문제의 예이다.
도이치-조사 문제에서 다음 함수를 구현하는 오라클 로 알려진 블랙박스 양자 컴퓨터가 주어져 있다:
f
:
{
0
,
1
}
n
→
{
0
,
1
}
{\displaystyle f\colon \{0,1\}^{n}\rightarrow \{0,1\}}
이 함수는
n
{\displaystyle n}
비트 이진수를
0
{\displaystyle 0}
또는
1
{\displaystyle 1}
로 보낸다. 이 함수는 상수 함수(정의역 전체에서
0
{\displaystyle 0}
또는 정의역 전체에서
1
{\displaystyle 1}
)이거나 균형 함수 (정확히 정의역 의 원소들 절반에 대해
1
{\displaystyle 1}
, 나머지 절반에 대해
0
{\displaystyle 0}
)이다.[ 1] 이때, 도이치-조사 문제는, 오라클을 사용하여
f
{\displaystyle f}
가 상수 함수인지 균형 함수인지 판단하는 것이다.
기존의 결정론적 알고리듬의 경우
n
{\displaystyle n}
비트에 대해, 최악의 경우
f
{\displaystyle f}
를 계산해야하는 횟수는 지수함수적으로 증가한다. 반면에 함수가 균형 함수이고 처음 두 출력 값이 다른 경우 최상의 경우가 발생한다. 기존의 무작위 알고리듬 의 경우, 충분히 큰
k
{\displaystyle k}
에 대해
f
{\displaystyle f}
를
k
{\displaystyle k}
번 계산하면 높은 확률로 정답을 생성한다.(
k
≥
1
{\displaystyle k\geq 1}
에 대해
ϵ
≤
1
/
2
k
{\displaystyle \epsilon \leq 1/2^{k}}
확률로 실패). 하지만, 오류 가능성이 없는 답을 원할 경우 필요한
f
{\displaystyle f}
계산의 횟수는 여전히 지수함수적이다. 그러나, 도이치-조사 양자 알고리듬은
f
{\displaystyle f}
에 대한 계산 한 번으로 항상 올바른 답을 내놓는다.
도이치-조사 알고리듬은
n
=
1
{\displaystyle n=1}
인 경우에만 해를 제공했던 다음 데이비드 도이치의 초기(1985)작업"입력이 1비트인 불 함수
f
:
{
0
,
1
}
→
{
0
,
1
}
{\displaystyle f:\{0,1\}\rightarrow \{0,1\}}
가 주어졌을 때, 이 함수가 상수 함수인가?"[ 5]
을 일반화 하였다. 도이치가 원래 제안한 알고리듬은 사실 결정론적이지 않았다. 알고리듬은 절반의 확률로 성공했다. 1992년에 도이치와 조사는
n
{\displaystyle n}
비트 입력을 가진 함수로 일반화된 결정적 알고리듬을 만들었다. 도이치의 알고리듬과 달리, 이 알고리듬에는 하나가 아닌 두 개의 함수 계산이 필요했다.
도이치-조사 알고리듬에 대한 추가 개선 사항은 클레브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이루어졌다.[ 2] 이들은 도이치-조사 알고리듬을 결정론적이며
f
{\displaystyle f}
의 쿼리 하나만 필요한 알고리듬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알고리듬의 이름은 도이치와 조사가 사용한 획기적인 방법을 기리기 위해 여전히 도이치-조사 알고리듬이라고 한다.[ 2]
도이치-조사 알고리듬이 작동하려면
x
{\displaystyle x}
에서
f
(
x
)
{\displaystyle f(x)}
값을 계산하는 오라클 계산은
x
{\displaystyle x}
결어긋남 이 없는 양자 오라클이어야 한다. 또한
x
{\displaystyle x}
의 사본을 만들면 안된다. 만약 복제가 된다면 양자역학의 복제 불가능성 정리를 위반 하기 때문이다.
도이치-조사 알고리듬 양자 회로
알고리듬은
n
+
1
{\displaystyle n+1}
큐비트가
|
0
⟩
⊗
n
|
1
⟩
{\displaystyle |0\rangle ^{\otimes n}|1\rangle }
인 상태에서 시작한다. 즉, 처음
n
{\displaystyle n}
큐비트는 각각 상태
|
0
⟩
{\displaystyle |0\rangle }
에 있고 마지막 큐비트는
|
1
⟩
{\displaystyle |1\rangle }
인 상태이다. 그 다음, 각 큐비트에 아다마흐 변환을 적용 해서 다음 상태를 얻는다:
1
2
n
+
1
∑
x
=
0
2
n
−
1
|
x
⟩
(
|
0
⟩
−
|
1
⟩
)
{\displaystyle {\frac {1}{\sqrt {2^{n+1}}}}\sum _{x=0}^{2^{n}-1}|x\rangle (|0\rangle -|1\rangle )}
.
이때,
f
{\displaystyle f}
는 양자 오라클로 구현되었다고 가정한다. 이 오라클은 상태
|
x
⟩
|
y
⟩
{\displaystyle |x\rangle |y\rangle }
를
|
x
⟩
|
y
⊕
f
(
x
)
⟩
{\displaystyle |x\rangle |y\oplus f(x)\rangle }
로 보낸다. 여기서,
⊕
{\displaystyle \oplus }
는
2
{\displaystyle 2}
를 법으로 하는 덧셈을 나타낸다. 여기에 양자 오라클을 적용하면 다음을 얻는다:
1
2
n
+
1
∑
x
=
0
2
n
−
1
|
x
⟩
(
|
0
⊕
f
(
x
)
⟩
−
|
1
⊕
f
(
x
)
⟩
)
{\displaystyle {\frac {1}{\sqrt {2^{n+1}}}}\sum _{x=0}^{2^{n}-1}|x\rangle (|0\oplus f(x)\rangle -|1\oplus f(x)\rangle )}
.
한편,
x
{\displaystyle x}
와
f
(
x
)
{\displaystyle f(x)}
는 각각
0
{\displaystyle 0}
또는
1
{\displaystyle 1}
이다. 이 두 가지 가능성을 시험하면 위의 상태가 다음과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
2
n
+
1
∑
x
=
0
2
n
−
1
(
−
1
)
f
(
x
)
|
x
⟩
(
|
0
⟩
−
|
1
⟩
)
{\displaystyle {\frac {1}{\sqrt {2^{n+1}}}}\sum _{x=0}^{2^{n}-1}(-1)^{f(x)}|x\rangle (|0\rangle -|1\rangle )}
.
이 때, 마지막 큐비트
|
0
⟩
−
|
1
⟩
2
{\displaystyle {\frac {|0\rangle -|1\rangle }{\sqrt {2}}}}
는 무시할 수 있으며,
1
2
n
∑
x
=
0
2
n
−
1
(
−
1
)
f
(
x
)
|
x
⟩
{\displaystyle {\frac {1}{\sqrt {2^{n}}}}\sum _{x=0}^{2^{n}-1}(-1)^{f(x)}|x\rangle }
부분만 고려하면 된다
다음으로, 첫 번째 큐비트에 아다마흐 변환을 적용하여
H
⊗
n
|
k
⟩
=
1
2
n
∑
j
=
0
2
n
−
1
(
−
1
)
k
⋅
j
|
j
⟩
{\displaystyle H^{\otimes n}|k\rangle ={\frac {1}{\sqrt {2^{n}}}}\sum _{j=0}^{2^{n}-1}(-1)^{k\cdot j}|j\rangle }
(여기서
k
⋅
j
{\displaystyle k\cdot j}
는 비트 곱들의 합
j
0
k
0
⊕
j
1
k
1
⊕
⋯
⊕
j
n
−
1
k
n
−
1
{\displaystyle j_{0}k_{0}\oplus j_{1}k_{1}\oplus \cdots \oplus j_{n-1}k_{n-1}}
이다.) 다음을 얻는다:
1
2
n
∑
x
=
0
2
n
−
1
(
−
1
)
f
(
x
)
[
1
2
n
∑
y
=
0
2
n
−
1
(
−
1
)
x
⋅
y
|
y
⟩
]
=
∑
y
=
0
2
n
−
1
[
1
2
n
∑
x
=
0
2
n
−
1
(
−
1
)
f
(
x
)
(
−
1
)
x
⋅
y
]
|
y
⟩
.
{\displaystyle {\frac {1}{\sqrt {2^{n}}}}\sum _{x=0}^{2^{n}-1}(-1)^{f(x)}\left[{\frac {1}{\sqrt {2^{n}}}}\sum _{y=0}^{2^{n}-1}(-1)^{x\cdot y}|y\rangle \right]=\sum _{y=0}^{2^{n}-1}\left[{\frac {1}{2^{n}}}\sum _{x=0}^{2^{n}-1}(-1)^{f(x)}(-1)^{x\cdot y}\right]|y\rangle .}
이것으로부터 우리는 상태
k
{\displaystyle k}
에 대한 확률이
|
1
2
n
∑
x
=
0
2
n
−
1
(
−
1
)
f
(
x
)
(
−
1
)
x
⋅
k
|
2
{\displaystyle \left|{\frac {1}{2^{n}}}\sum _{x=0}^{2^{n}-1}(-1)^{f(x)}(-1)^{x\cdot k}\right|^{2}}
로 측정됨을 알 수 있다.
|
0
⟩
⊗
n
{\displaystyle |0\rangle ^{\otimes n}}
에 해당하는
k
=
0
{\displaystyle k=0}
을 측정할 확률은
|
1
2
n
∑
x
=
0
2
n
−
1
(
−
1
)
f
(
x
)
|
2
{\displaystyle {\bigg |}{\frac {1}{2^{n}}}\sum _{x=0}^{2^{n}-1}(-1)^{f(x)}{\bigg |}^{2}}
이다.
f
(
x
)
{\displaystyle f(x)}
가 상수(보강 간섭 )이면 위 상태는
1
{\displaystyle 1}
로 측정 되고, 균형 함수(상쇄 간섭 )이면
0
{\displaystyle 0}
로 측정 된다. 즉, 오직
f
(
x
)
{\displaystyle f(x)}
가 상수 함수일 때 만 최종 측정 값이
|
0
⟩
⊗
n
{\displaystyle |0\rangle ^{\otimes n}}
(모두
0
{\displaystyle 0}
)이다.
도이치 알고리듬은 일반 도이치-조사 알고리듬의
f
:
{
0
,
1
}
n
→
{
0
,
1
}
{\displaystyle f\colon \{0,1\}^{n}\rightarrow \{0,1\}}
에서
n
=
1
{\displaystyle n=1}
일 때에 해당한다.
f
(
0
)
=
f
(
1
)
{\displaystyle f(0)=f(1)}
인지 확인 하는 것과
f
(
0
)
⊕
f
(
1
)
{\displaystyle f(0)\oplus f(1)}
값을 확인하는 것은 같다. (여기서,
⊕
{\displaystyle \oplus }
제어된 NOT 게이트로 구현되었고 양자 XOR 게이트 로 볼 수도 있는
2
{\displaystyle 2}
를 법으로 하는 덧셈이다.) 이 값이
0
{\displaystyle 0}
이면
f
{\displaystyle f}
는 상수 함수고,
1
{\displaystyle 1}
이면
f
{\displaystyle f}
는 균형 함수다.
2
{\displaystyle 2}
큐비트 상태
|
0
⟩
|
1
⟩
{\displaystyle |0\rangle |1\rangle }
에서 시작한다. 아다마흐 변환을 각 큐비트에 적용해서 다음을 얻는다:
1
2
(
|
0
⟩
+
|
1
⟩
)
(
|
0
⟩
−
|
1
⟩
)
.
{\displaystyle {\frac {1}{2}}(|0\rangle +|1\rangle )(|0\rangle -|1\rangle ).}
|
x
⟩
|
y
⟩
{\displaystyle |x\rangle |y\rangle }
를
|
x
⟩
|
f
(
x
)
⊕
y
⟩
{\displaystyle |x\rangle |f(x)\oplus y\rangle }
로 보내는 함수
f
{\displaystyle f}
의 양자 구현이 주어졌다고 가정한다. 이를 현재 상태에 적용하면
1
2
(
|
0
⟩
(
|
f
(
0
)
⊕
0
⟩
−
|
f
(
0
)
⊕
1
⟩
)
+
|
1
⟩
(
|
f
(
1
)
⊕
0
⟩
−
|
f
(
1
)
⊕
1
⟩
)
)
{\displaystyle {\frac {1}{2}}(|0\rangle (|f(0)\oplus 0\rangle -|f(0)\oplus 1\rangle )+|1\rangle (|f(1)\oplus 0\rangle -|f(1)\oplus 1\rangle ))}
=
1
2
(
(
−
1
)
f
(
0
)
|
0
⟩
(
|
0
⟩
−
|
1
⟩
)
+
(
−
1
)
f
(
1
)
|
1
⟩
(
|
0
⟩
−
|
1
⟩
)
)
{\displaystyle ={\frac {1}{2}}((-1)^{f(0)}|0\rangle (|0\rangle -|1\rangle )+(-1)^{f(1)}|1\rangle (|0\rangle -|1\rangle ))}
=
(
−
1
)
f
(
0
)
1
2
(
|
0
⟩
+
(
−
1
)
f
(
0
)
⊕
f
(
1
)
|
1
⟩
)
(
|
0
⟩
−
|
1
⟩
)
{\displaystyle =(-1)^{f(0)}{\frac {1}{2}}\left(|0\rangle +(-1)^{f(0)\oplus f(1)}|1\rangle \right)(|0\rangle -|1\rangle )}
를 얻는다.
마지막 큐비트와 전체 페이즈를 무시하므로 다음 항만 고려한다:
1
2
(
|
0
⟩
+
(
−
1
)
f
(
0
)
⊕
f
(
1
)
|
1
⟩
)
.
{\displaystyle {\frac {1}{\sqrt {2}}}(|0\rangle +(-1)^{f(0)\oplus f(1)}|1\rangle ).}
이 상태에 아다마흐 변환을 적용하면
1
2
(
|
0
⟩
+
|
1
⟩
+
(
−
1
)
f
(
0
)
⊕
f
(
1
)
|
0
⟩
−
(
−
1
)
f
(
0
)
⊕
f
(
1
)
|
1
⟩
)
{\displaystyle {\frac {1}{2}}(|0\rangle +|1\rangle +(-1)^{f(0)\oplus f(1)}|0\rangle -(-1)^{f(0)\oplus f(1)}|1\rangle )}
=
1
2
(
(
1
+
(
−
1
)
f
(
0
)
⊕
f
(
1
)
)
|
0
⟩
+
(
1
−
(
−
1
)
f
(
0
)
⊕
f
(
1
)
)
|
1
⟩
)
.
{\displaystyle ={\frac {1}{2}}((1+(-1)^{f(0)\oplus f(1)})|0\rangle +(1-(-1)^{f(0)\oplus f(1)})|1\rangle ).}
여기서,
f
(
0
)
⊕
f
(
1
)
=
0
{\displaystyle f(0)\oplus f(1)=0}
임과
|
0
⟩
{\displaystyle |0\rangle }
을 측정하는 것이 동치이고
f
(
0
)
⊕
f
(
1
)
=
1
{\displaystyle f(0)\oplus f(1)=1}
임과
|
1
⟩
{\displaystyle |1\rangle }
를 측정하는것이 동치이다. 따라서 확실하게
f
(
x
)
{\displaystyle f(x)}
가 상수 함수인지 아닌지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