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구 (東萊區)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의 중앙부에 있는 구 이다. 동래는 사직야구장 , 부산종합운동장 으로 유명한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온천동 은 동래온천 과 금정구 에서 흘러내려오는 온천천 으로 유명한 지역이다. 보통 동래를 말하면 온천장 (溫泉場)으로 알려진 지역이다.
금정산 에 운행하고 있는 케이블카
충렬사
삼한시대 에는 변한 독로국 의 유지이며 한때 거칠산국 의 치소로서 신라 에 병합되면서 거칠산군으로 되었다가, 757년 신라 경덕왕 16년 지방행정제도를 개편할 때 ‘동래군’으로 개칭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래’(東萊)라 함은 ‘동쪽의 내산’(萊山)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신선이 산다는 봉래산 (蓬萊山)의 약칭으로 풀이되고 있다.
군치소는 원래 수영 부근에 존재했지만, 고려 때 잦은 왜구 의 침략으로 현재의 동래읍 자리로 성을 옮겼다. 1018년 고려 현종 9년 울주 동래현으로 되었으나, 1397년 조선 태조 6년 ‘동래진’이 설치되었다. 1547년 조선 명종 2년 국방과 대일외교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도호부로 승격되어 당상관인 정3품 문관이 목민관 으로 부임하였다. 그 뒤 임진왜란 최초의 패전지라는 이유로 일시 현으로 격하되었다가 1599년 선조 32년 다시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914년 부제의 실시로 동래부는 부산부 와 분리되어 부산부에 속하지 않는 지역과 기장군 일대를 관할 구역으로 하는 동래군 으로 되었다가 1942년 부산부에 편입되어 동래출장소로 개편되었다.[ 3]
1957년 1월 1일 : 구제(區制)가 실시되어 경상남도 부산시 동래구를 설치하였다.[ 4]
1959년 6월 1일 : 서동을 동상동으로 개칭하였다.
1963년 1월 1일 : 동래군 북면을 편입하였다.[ 5] [ 6]
1966년 1월 1일 : 연산제2동을 연산제2,3동으로 분동하였다.(34동→35동)
1970년 7월 1일 : 거제동을 거제제1~3동으로, 연산제2동을 연산제2,4동으로, 장전동을 장전제1~3동으로 분동하였다.(35동→40동)
1973년 4월 20일 : 반여동을 반여제1,2동으로 분동하였다.(40동→41동)
1973년 11월 14일 : 제1만덕터널 이 완공되었다.
1975년 10월 1일 : 아래 도표와 같이 동래구의 일부를 관할로 하여 남구 가 신설되었고, 북면출장소를 폐지하였다. 이와 동시에, 연산제2동, 동상동, 반송동을 각각 연산제2/5동, 동상제1~3동, 반송제1,2동으로 분동하였다.(41동→38동→42동)[ 7]
1976년 4월 9일 : 해운대출장소가 시 직할출장소로 승격되었다.
1978년 2월 15일 : 금성동을 부산진구 로부터 편입하였다.(42동→43동)
1979년 1월 1일 : 온천제2동을 온천제2,3동으로, 사직동을 사직제1,2동으로, 부곡동을 부곡제1,2동으로 분동하였다.(43동→46동)
1979년 8월 8일 : 명륜동을 명륜제1,2동으로, 사직제1동을 사직제1,3동으로, 거제제3동을 거제제3,4동으로, 연산제3동을 연산제3,6동으로, 연산제4동을 연산제4,7동으로, 동상제2동을 동상제2,4동으로, 반여제2동을 반여제2,3동으로, 반송제1동을 반송제1,3동으로 분동하였다.(46동→54동)
1980년 4월 1일 : 아래 도표와 같이 동래구의 일부를 관할로 하여 해운대구 가 신설되었다.(54동→40동)[ 8]
1982년 5월 1일 : 동상제1~4동을 서제1~4동으로 개칭하였다.
1982년 9월 1일 : 연산제1동을 연산제1,8동으로, 안락동을 안락제1,2동으로 분동하였다.(40동→42동)
1985년 12월 1일 : 연산제8동을 연산제8,9동으로, 서제3동을 서제3동,금사동으로, 부곡제2동을 부곡제2,3동으로, 구서동을 구서제1,2동으로 분동하였다.(42동→46동)
1988년 1월 1일 : 아래 도표와 같이 동래구의 일부를 관할로 하여 금정구 가 신설되었다.(46동→26동)[ 9]
1988년 4월 9일 : 제2만덕터널 이 완공되었다.
1988년 5월 1일 : 자치구제가 실시되어 자치구로 승격되었다.
1990년 1월 1일 : 명장동을 명장제1,2동으로 분동하였다.(26동→27동)
1995년 1월 1일 : 부산광역시 동래구로 개칭하였다.[ 10]
1995년 3월 1일 : 아래 도표와 같이 동래구의 일부를 관할로 하여 연제구 가 신설되었다.(27동→14동)[ 11]
2011년 3월 1일 : 명륜제1,2동을 명륜동으로 합동하였다.[ 12] (14동→13동)
2020년 1월 28일 : 현 구청 청사 재건축 공사 관계로 낙민동에 임시 청사로 이전하였다.
2011년 12월 31일 을 기준으로 동래구의 인구와 면적은 다음과 같다.[ 13]
행정동
한자
면적 (km2 )
세대
인구 (명)
수민동
壽民洞
1.21
12,003
34,176
복산동
福山洞
0.78
5,366
13,494
명륜동
明倫洞
1.35
6,067
15,720
온천제1동
溫泉第1洞
2.12
9,395
19,869
온천제2동
溫泉第2洞
2.33
8,686
23,185
온천제3동
溫泉第3洞
1.77
13,293
35,498
사직제1동
社稷第1洞
0.32
3,690
9,607
사직제2동
社稷第2洞
1.86
9,832
30,914
사직제3동
社稷第3洞
0.80
6,783
16,901
안락제1동
安樂第1洞
0.97
6,848
17,601
안락제2동
安樂第2洞
1.34
11,712
33,603
명장제1동
鳴藏第1洞
0.90
6,493
17,137
명장제2동
鳴藏第2洞
0.88
6,076
16,944
동래구
東萊區
16.63
106,244
284,649
행정동인 수민동은 법정동인 수안동, 낙민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동인 복산동은 법정동인 복천동, 칠산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도
총인구
;
비고
1966년
191,340명
1969년
285,147명
1972년
443,042명
1975년
642,388명
1978년
707,401명
1975년 남구 신설[ 14]
1981년
678,165명
1980년 해운대구 분구
1984년
766,505명
1987년
852,605명
1990년
595,844명
1988년 금정구 분구
1993년
592,753명
1996년
313,059명
1995년 연제구 분구
1999년
300,286명
2002년
295,306명
2005년
279,184명
2008년
284,675명
2011년
283,649명
2014년
277,711명
2017년
273,394명
2018년
270,230명
2019년
266,502명
2020년
271,562명
2021년
270,695명
부산 사직구장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 제7호로, 부산광역시 동래구 안락동에 있는 송상현 을 모신 사우이다. 이후 그 뒤 임진왜란 때 부산진첨절제사로 부산진성 싸움에서 전사한 정발 이 배향되었으며, 1735년 영조 11년에는 다대첨사 윤흥신 을 추가로 배향하였다.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유치원
특수학교
동래구의 구청장을 선출하는 선거에 대해서는
동래구청장 선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2024년 11월 주민등록 인구” . 《행정안전부》.
↑ “2020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 《행정안전부》.
↑ 동래구의 역사 [깨진 링크 (과거 내용 찾기 )] , 2013년 6월 6일 확인
↑ 법률 제407호 부산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56년 12월 17일 ), 동래구 수안동,복천동,명륜동,칠산동,낙민동,온천동,사직동,거제동,연산동,안락동,반여동,명장동,서동,오륜동,부곡동,금사동,회동동,석대동,반송동,장전동,수영동,망미동,광안동,민락동,재송동,좌동,중동,우동
↑ 법률 제1173호 부산시정부직할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동래군 북면 일원, 동래군 기장면 송정리 → 동래구 남산동,선동,두구동,노포동,청룡동,구서동,송정동 (북면출장소)
↑ 법률 제1248호 부산시구설치에관한법률 (1962년 12월 31일 )
↑ 대통령령 제7816호 구의증설및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5년 9월 23일 ), 동래구 남천동,수영동,망미동,광안동,민락동 (수영출장소) → 남구 남천동,수영동,망미동,광안동,민락동, (변동없음) 수안동,복천동,명륜동,칠산동,낙민동,온천동,사직동,거제동,연산동,안락동,반여동,명장동,동상동,오륜동,부곡동,금사동,장전동,회동동,석대동,반송동,재송동,남산동,선동,두구동,노포동,청룡동,구서동,좌동,중동,우동,송정동
↑ 동래구 좌동,중동,우동,송정동,석대동,반여동,반송동,재송동 (해운대출장소)에서 해운대구로 변경 // (변동없음) 수안동,복천동,명륜동,칠산동,낙민동,온천동,사직동,거제동,연산동,안락동,명장동,동상동,오륜동,부곡동,금사동,장전동,회동동,남산동,선동,두구동,노포동,청룡동,구서동,금성동
↑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년 12월 31일 ), 동래구 서동,금사동,오륜동,부곡동,장전동,회동동,선동,두구동,노포동,청룡동,남산동,구서동,금성동 → 금정구 서동,금사동,오륜동,부곡동,장전동,회동동,선동,두구동,노포동,청룡동,남산동,구서동,금성동 // (변동없음) 수안동,복천동,명륜동,칠산동,낙민동,온천동,사직동,거제동,연산동,안락동,명장동
↑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년 12월 22일 )
↑ 동래구 연산동,거제동 → 연제구 연산동,거제동, (변동없음) 수안동,복천동,명륜동,칠산동,낙민동,온천동,사직동,안락동,명장동
↑ 동래구 조례 제943호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 정수 조례 (2011년 2월 15일 )
↑ 동래구 2012년 통계연보 보관됨 2015-09-23 - 웨이백 머신 . 2014년 2월 15일 확인.
↑ 수영출장소 편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