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노노베노 아라카비 物部 麤鹿火 | |
기쿠치 요사이가 '전현고실(前󠄁賢故實)'에 그린 그림 | |
신상정보 | |
시대 | 고훈시대 |
---|---|
출생 | 불명 |
사망 | 센카 천황 원년(536년) 음력 7월 |
별명 | 아라카비(麤鹿火)[1], |
주군 | 부레쓰 천황 → 게이타이 천황 → 안칸 천황 → 센카 천황 |
씨족 | 모노노베씨 오무라지 |
부모 | 아버지: 모노노베 마사라(物部麻佐良), 어머니: 스와노 아타이(洲羽直)의 딸 미마코(妹古)[2] |
자녀 | 이와유미(磐弓), 모토(毛等), 카게히메(影媛) |
모노노베노 아라카비(일본어: 物部 麤鹿火 물부 추록화[*]) 혹은 모노노베 아라카이(物部荒甲)[3]는 고훈 시대의 호족으로 모노노베노 마사라(物部麻佐良)의 아들이다.
오무라지(大連)로 임명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지만, 『일본서기』의 부레쓰 천황 즉위 이전 기록에서부터 오무라지로 기록되었다 부레쓰가 붕어한 후, 게이타이 천황의 즉위를 추진하고 그의 즉위 후 다시 오토모노 카네무라(大伴金村)와 함께 오무라에 임명되었다.
게이타이 천황 6년(512년) 12월, 백제에 임나 4현을 할양한다는 일본서기의 기사에서 아라카비는 백제 사신에게 할양을 인정하는 전칙사(宣勅使)로 임명되었지만, 아내의 간언을 듣고 생각을 바꾸어 병을 핑계로 그 역할을 사임하였다.[4][5] 527년 6월, 규슈 북부 쓰쿠시국의 국조 이와이(磐井)가 일으킨 이와이의 난을 토벌하는 장군으로 임명되어 천황으로부터 쓰쿠시 지역의 통치권을 위임받았다. 이듬해 11월, 쓰쿠시국 미이군(御井郡)에서 이와이를 처형하여 이와이의 난을 평정했다.
그 후 안칸 천황과 센카 천황대에도 오무라를 역임하였으며, 센카 원년(536년) 7월에 사망하였다.
『고사기』에도 '모노노베 아라카츠(物部荒甲)'로 기록되어 있으며, 카네무라와 함께 쓰쿠시국의 이시이(石井, 이와이) 토벌에 참여한 기록이 있다. 『신찬성씨록(新撰姓氏録)』에 따르면, 그의 후손으로는 다카오카씨(高岳氏)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