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 방언

서남 방언(호남 방언)
사용 국가 대한민국
사용 지역 호남 지방
문자 한글
언어 계통 한국어족
 한국어
  남부 한국어
   서남 방언(호남 방언)
언어 부호
ISO 639-3
서남방언(호남방언)을 사용하는 지역

서남 방언(西南方言) 또는 호남 방언(湖南方言), 전라도 방언(全羅道方言), 전라도 사투리(全羅道사투리)는 한반도 서남부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방언 중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 등 호남 지방 일대 지역에서 사용된다. 서남방언은 중부방언, 서북방언과 함께 음장(音長, Length, 음량) 지역으로 묶이는데 이 지역의 음장은 단어의 의미를 분화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서남방언의 자음체계는 중부방언과 동일하다. 소백산맥을 경계로 동남방언과 구획된다.

특징

[편집]

서남 방언은 소위 움라우트화 현상이 많이 일어나는데, '퇴끼'(토끼), '괴기'(고기), '가랭이'(가랑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ㅓ'가 'ㅡ'로 발음되거나 'ㅔ'가 'ㅣ'로 발음되는 등의 고모음화 현상이 특징이며 이러한 현상은 장모음에서 빈번하다. '그짓말'(거짓말), '비개'(베개) 등이 그 예이다. 그리고 보통 끝에 ~디 , ~잉 등이 온다.

역행동화가 유난히 심한 것도 이들 방언의 특징이다. '잽히다'(잡히다)니 '괴기/게기'(고기) 등의 역행동화의 분포는 전국적으로 상당히 넓으며, '뱁이다, 맴이다'처럼 명사가 뒤에 조사를 만나 역행동화를 일으키는 현상은, 충청도 일부 지방에서도 발견되지만 이 남부방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라 할 만하다.

서남방언에서 'ㅅ'불규칙 활용을 보이기도 하는 '짓-' 등 일부 용언을 제외하고 'ㅅ'불규칙 용언은 존재하지 않는다. 'ㅂ'불규칙 용언은 일부 경상도 인접 지역에서 'ㅂ'규칙 활용을 하나 이들 지역을 제외하고는 불규칙 활용을 보인다(잇고·이서서[이어서]·춥다·추워). 서남방언에서 'ㄺ, ㄼ' 등의 용언 어간말 자음군은 자음 앞에서 'ㄹ'을 탈락시켜 발음한다(익다[읽다], 익고[읽고], 넙다[넓다], 넙고[넓고]). 서남방언에서 중세국어의 ' '는 제1음절에서 대체로 '아'로 변화했으나 'ㅁ·ㅂ·ㅍ' 등 순음(입술소리) 아래에서는 대부분 '오'로 변화했다.

조사 '의'를 '으'로 발음하는 특징이 있다.

남부 서남방언에서는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느-'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잡은다[잡는다]). 서남방언의 특징적인 어미로는 하대(下待)의 의문형 종결어미 '-능가', 존재의 설명 또는 의문형 종결어미인 '-(지)라오, -(지)라우', 존대선어말어미 '-게-, -기-, -겨-' 등이 있다. '가셔라우'(가셔요), '할머니가 외게서'(할머니가 오셔서)에서처럼 '-게/겨-'가 쓰이는 현상도 특기할 만하다. 이유 표시 어미로는 '-응깨'와 '-응개'가 있는데 전자는 남부 서남방언에서, 후자는 북부 서남방언에서 사용된다. 주로 남부 서남 방언이 억양이 더 세며, 광양의 경우 경상도와 닿아 있어서 간혹 동남 방언과 섞이기도 한다.

방언 구분

[편집]

전북특별자치도 방언의 하위 구획

[편집]

언어 분화 기준

[편집]

어휘 분화를 기준으로 동부와 서부로 구획한 기준.[1]

  • 서부 방언권: 옥구, 익산, 완주, 김제, 부안, 정읍, 고창<7개郡> 책을 꽂다.
  • 동부 방언권: 무주, 진안, 장수, 임실, 남원, 순창<6개郡> 책을 꼽다.

방언 분화의 음운론적 기준[2]

[편집]
             ┌─ 동북 지역: 무주
* 동부 지역─┤
             └─ 동남 지역: 장수, 순창, 남원
             ┌─ 서북 지역: 옥구, 익산, 김제, 완주, 진안
* 서부 지역─┤
             └─ 서남 지역: 부안, 정읍, 고창, 임실

※ ‘ㅇ·’음이 ‘아’로 바뀐 지역<완주, 익산, 옥구, 김제, 부안, 무주> (여기에서 ·는 아래아를 뜻함) <보기> ㅁ·ㄹ→말, ㅍ·ㄹ→팔, ㅍ·리→파리 ‘ㅇ·’음이 ‘오’로 바뀐 지역<순창, 고창, 남원, 정읍, 임실> <보기> ㅁ·ㄹ→몰>말, ㅍ·ㄹ→폴, ㅍ·리→파리

전라남도 방언의 하위 구획

[편집]

다른 지역 방언의 영향 여부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획한다.[3]

[편집]
  • 서북부 방언권 ―다른 지역 방언의 영향을 덜 받은 지역: 광산, 담양, 곡성, 화순, 나주, 장성, 함평, 영광, 무안, 신안
  • 서남부 방언권 ―전북 방언과 대립을 보이는 지역: 보성, 장흥, 강진, 해남, 영암, 완도, 진도, 흑산도
  • 동부 방언권 ―경남 방언의 영향을 받은 지역: 구례, 광양, 여천, 승주, 고흥, 거문도


음운, 형태, 어휘 분포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구획함.[4]

[편집]
  • 동북부 방언권: 구례, 광양, 여천
  • 동남부 방언권: 승주, 보성, 고흥
  • 서북부 방언권: 영광, 장성, 담양, 곡성, 무안, 광주, 나주, 화순
  • 서남부 방언권: 목포, 영암, 장흥, 강진, 해남, 진도, 완도


음운

[편집]
  • 10개 단모음 체계 실현. 다만 중․서부 전남지역에서는 /e/와 /ɛ/가 합류되어 9개 단모 음 체계 형성.
  • 이중모음 ‘ㅢ’가 존재하지 않는다. 단어의 첫음절 ‘ㅢ’는 ‘으’로, 둘째 음절 ‘ㅢ’는 ‘이’로 실현됨. 관형격 조사 ‘ㅢ’는 ‘으’ 혹은 ‘에’로 실현됨. <보기> 으사(의사), 토이(토의), 나으(의) 책
  • ㅇ·가 ‘오’ 혹은 ‘아/어’로 실현된다. <보기> ㅁ·ㄹ→몰/말, ㅍ·리→포리/파리, ㅍ·ㅌ→퐅/팥
  • 어두 경음화 현상이 활발히 나타남. <보기> 뚜부(두부), 쭐거리(줄거리)
  • 전설모음화 현상이 활발히 실현됨. <보기> 씨다(쓰다), 연:십(연습)
  • 구개음화 현상이 활발히 나타남. <보기>성(형), 전디다(견디다), 찌워(끼워), 지름(기름) (7) 움라우트 현상이 활발히 나타남. <보기>에미(어미), 애비(아비), 퇴끼(토끼), 배비(밥이)
  • 축약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보기> 모대요(못해요), 부다고(붓하고), 바바고(밥하고), 급하다(그바다), 솔직히(솔찌기)

전북특별자치도 음운

[편집]
  • 단모음: 고창에서는 ‘i, E, ü, ö, ɨ, ə, a, u, o 등 9개가 실현된다. 그 나머지 지역에서는 10개 모음이 실현된다.
  • 음장이 실현된다.

전라남도 음운

[편집]
  • 단모음: ‘장성, 담양, 함평, 광산, 신안, 무안, 나주, 영암, 진도, 해남, 강진, 완도’ 등지에서는 ‘i, E, ü, ö, ɨ, ə, a, u, o 등 9개가 실현된다. 그 나머지 지역에서는 10개 모음이 실현된다.
  • 음장이 실현됨.

음운 현상

[편집]

전북특별자치도 음운 현상

[편집]
  • 단모음화: 바위→바우<옥구, 진안,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순창, 남원> 바오<익산, 완주, 무주>
  • 모음조화 동요: ①밟아→[발바]<무주, 임실, 장수, 고창>②[발버]<옥구, 익산, 완주, 진안, 김제>

※ 볿아<부안, 정읍, 순창, 남원>

  • 구개음화 현상: 김치→짐치/짐채, 김→짐, 견디다→전디다, 형→성, 혓바닥→쎄빠닥, 끼워→찌워
  • 어두편음화 현상: 두부→뚜부<완주, 무주,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순창, 남원> ※고창에서는 ‘뜨부’라 함. 삶다→쌂다
  • 격음화 현상이 실현되지 않는 경우도 있음.

(1) 떡하고→떡허고<옥구>/떡어고<익산, 완주, 진안,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순창, 남원>/떡아고<무주> (2) 밥하고 →밥 허고<옥구, 완주,진안, 김제, 장수>/ 밥 허구<익산>/밥어고<부안, 순창, 남원>/ 밥아고<무주>

  • 움라우트 현상이 활발히 실현됨. 다리미 →대리미, 도미→되미, 떡이→떽이<옥구, 완주, 진안, 김제, 정읍, 임실, 장수, 순창, 남원>※ 떡이<옥구, 익산, 무주,고창, 순창>, 허리→헤리, 어미→에미, 먹히다→멕히다

※ 동화주의 ‘이’가 기원적으로 이중모음이었던 ‘wi>i, ʌi>i, ɰi>i’는 움라우트 동화주가 되지 못한다. <보기> 호ㅣ>호미(호무), 나븨>나비(나부), 거믜>거미(거무), 모ㅣ>모기(모구)

전라남도 음운 현상

[편집]
  • 단모음화: 의논 →①으논<영광, 장성, 담양, 곡성, 구례, 광산, 신안, 무안, 화순, 승주, 영암, 보성> ②으:논<함평,여천> ③이논<나주,강진, 장흥,완도> ④이:논<광양,진도,해남,고흥>
  • 모음조화 동요: ①잡아→[자바]<담양, 곡성, 구례, 함평, 신안, 무안, 승주, 광양, 해남, 보성, 여천> ②[자버]<영광, 장성, 광산, 나주, 화순, 영암, 진도,강진, 장흥, 고흥, 완도>
  • 구개음화 현상: 김치→짐치/짐채/짐체/짐차/침채/지, 김→짐, 견디다→전디다, 형→성, 혓바닥→쎄빠닥, 끼워→찌워
  • 어두편음화 현상: 두부→① 뚜부<장성, 담양, 곡성, 구례, 함평, 광산, 신안, 승주, 광양,진도, 해남, 장흥, 보성, 고흥, 여천 ※ 전북 완주, 무주,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순창, 남원> ②뜨부<영광, 무안, 나 주, 영암,강진, 완도 ※전북 고창> 삶다→쌂다
  • 격음화(자음축약) 현상이 실현되지 않음.

떡하고→①떡허고<영광,나주 ※옥구>②떡하고<승주, 광양, 진도, 강진, 장흥, 고흥,완도> ③떡어고<구례, 함평, 광산, 무안,화순 ※전북 익산, 완주, 진안,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순창, 남원>④ 떡아고<장성, 담양, 곡성, 신안, 영암, 해남, 보성,여천 ※ 전북 무주>

  • 움라우트 현상이 실현됨.

떡이→①떽이<담양, 구례, 승주, 광양, 장흥, 보성, 고흥, 여천(8개군)※전북 옥구, 완주, 진안, 김제, 정읍, 임실, 장수, 순창, 남원> ※ 는 남부 지역에서는 양순음 ‘ㅁ, ㅍ’에 동화되어 ‘오’로 바뀌었는데, 북부 지역에서는 ‘어’ 또는 ‘아’로 바뀜. <보기> 말 →몰<광산, 나주, 강진, 장흥> 파리 →포리<완도(퍼리)를 제외한모든 지역> 팥<전 지역에서 ‘폿’ 혹은 ‘퐃’이라고 함.>

어휘

[편집]

시안(겨울), 괴비(호주머니), 깍끔(산), 빡보(곰보), 아래기(소주), 추수새기(수수께끼), 세우(바늘), 사챙이(새끼), 배고마(배꼽), 훈지(그네), 숨기새기(숨바꼭질/숨박곡질), 자갈줄(고삐), 다듬독(다듬잇돌/다듬이돌), 망생이(망아지), 강생이(강아지), 깨고락지(개구리), 포도시(겨우), 무담시/무단씨/맬갑시(괜히), 금새보/폴새(벌써), 댑대로(도리어), 나코(나중에), 역실로/역부로(일부러), 싸게(빨리), 모냐치게(먼저번에), 데고(함부로), 꼼치다(감추다), 땡기다(던지다), 몽니부리다(화내다), 시피보다/시퍼보다(업신여기다), 돌르다(훔치다), 꼼치다(감추다), 방구다(겨누다), 지루다(기르다), 벌씨다(까다), 피맡다(뱉다), 찌끌다(뿌리다), 아부이/아배/압씨(아버지), 어무이/어매/엄씨(어머니), 아지매(아주머니), 할매/함씨(할머니), 할압시/한압씨(할아버지), 가시보시(부부), 가시나(여자아이), 큰애기(처녀)

전북특별자치도 어휘

[편집]
  • 간장: ⓛ간장(옥구, 익산, 진안, 무주, 부안, 정읍, 임실, 고창, 남원)②장(완주) ③장:(김제, 정읍, 장수, 순창)
  • 상추: ①상추(옥구, 익산, 완주, 진안, 무주,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남원, 순창) ②상초(순창)
  • 부추: ①솔:(옥구, 익산, 완주, 진안, 김제, 부안, 정읍, 임실, 고창, 순창, 남원) ②정구지(무주, 장수)
  • 김: ①짐(진안) ②짐:(옥구, 익산, 완주, 무주,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순창, 남원) ③해오(옥구, 김제, 임실, 장수) ④해우(진안, 무주, 정읍, 고창, 남원) ⑤해이(순창)
  • 고구마: 감자(임실, 고창)
  • 게: →①기:(옥구, 익산, 완주, 김제, 부안, 정읍, 고창) ②그이(완주) ③ 게:(진안, 무주, 임실, 장수, 순창, 남원)
  • 새우 :①새우(완주) ②새오(옥구, 익산, 김제) ③새비(진안, 무주, 부안,정읍, 임실, 장수, 순창,남원) ④세비(고창) ⑤징게미(임실, 장수,순창, 남원)
  • 우렁 →울벵이(무주)
  • 파리: ①파리(진안, 무주, 김제, 정읍, 임실, 순창) ②퍼리(옥구, 익산, 완주, 김제, 장수) ③포리(부안, 정읍, 임실, 고창, 순창,남원)
  • 벌레: ①벌거지(무주, 김제, 장수, 남원) ②버러지(임실, 장수, 고창, 순창) ③버럭지(익산, 완주,김제, 부안) ④버레기(정읍) ⑤벌기(옥구)⑥물컷 (옥구, 익산, 진안,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남원)
  • 진달래: ①창꽃(임실, 장수, 순창, 남원)②진달리(익산, 부안, 정읍)
  • 철쭉: ①개:꽃(완주, 무주, 임실, 장수, 순창, 남원) ②개:진달레(고창) ③개:진달리(부안, 정읍)
  • 냉이: ①나싱게(완주, 진안, 무주) ②나숭게(옥구, 익산,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순창, 남원) ③아숭게(순창)
  • 팥: ①팟(옥구, 익산, 완주, 진안, 무주, 김제, 정읍, 임실) ②폿(전지역 부안, 고창, 순창, 남원)③펏(장수)
  • 팥죽: ①퐅죽(전지역 ※부안, 임실, 고창, 순창, 남원) ② 펕죽(진안, 장수)

전라남도 어휘

[편집]
  • 간장: ⓛ간장(담양, 곡성, 신안, 진도, 고흥, 여천 ※ 전북 옥구, 익산, 진안, 무주, 부안, 정읍, 임실, 고창, 남원)②장:(나머지 지역, 고흥 포함 ※ 전북 김제, 정읍, 장수, 순창)
  • 상추: ①상추(구례 외 전 지역※ 전북 옥구, 익산, 완주, 진안, 무주,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남원, 순창) ②상초(구례 ※ 전북 순창)
  • 부추: ①솔:(옥구, 익산, 완주, 진안, 김제, 부안, 정읍, 임실, 고창, 순창, 남원) ②소불(승주, 광양, 여천) ※ 정구지(전북 무주, 장수)
  • 김: ①짐(진안) ②짐:(장성, 담양, 함평, 신안, 무안,나주, 승주, 영암, 진도, 보성, 고흥, 여천 ※ 전북 옥구, 익산, 완주, 무주,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순창, 남원) ③해오(옥구,김제,임실,장수) * 해:우(함평, 해남,고흥 ※전북 진안, 무주,정읍,고창,남원) ⑤ 해우(나주, 장흥, 여천)⑥헤:우hE:u(영광, 신안, 무안, 강진) ⑦헤우hEu(구례, 광산, 영암, 완도) ⑧ 해:이(고흥 ※ 전북 순창) ⑨해이(고흥, 곡성, 화순, 광양) ⑩헤이hEi(보성)
  • 고구마: ①감자(장성, 담양, 광산, 신안, 무안, 진도) ②감제(영광) ③낭감자(화순) ④고구마(곡성, 함평, 나주,승주, 영암, 해남, 강진, 장흥, 보성, 고흥) ④고:구메(구례) ⑤고구메(승주,완도) ⑥고구매(광양,여천)
  • 게: →①기:(영광, 담양, 함평, 광산, 신안, 무안, 영암, 진도, 해남, 강진, 장흥,여천, 완도 ※ 전북 옥구, 익산, 완주, 김제, 부안, 정읍, 고창) ②기(나주, 보성) ③ 게:(장성, 구례, 고흥※ 전북 진안, 무주, 임실, 장수, 순창, 남원)) ④게(곡성, 승주, 광양) ※ 그이(전북 완주)
  • 새우 :①새우(완주) ②새오(옥구, 익산, 김제) ③새비(곡성, 함평, 나주, 화순, 광양, 해남, 장흥, 여천 ※ 전북 진안, 무주, 부안, 정읍, 임실, 장수,순창,남원) ④세비(영광, 장성, 담양, 광산, 신안, 무안, 승주, 영암, 진도, 강진, 완도 ※전북 고창) ⑤징게미(구례 ※ 전북 임실, 장수, 순창, 남원)
  • 파리: ①파리(진안, 무주, 김제, 정읍, 임실, 순창) ②퍼리(완도 ※전북 옥구, 익산, 완주, 김제, 장수) ③포리(완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부안, 정읍, 임실, 고창, 순창, 남원)
  • 벌레: ①벌거지(장성, 곡성, 구례, 함평, 나주, 화순, 승주, 광양, 장흥, 보성, 고흥, 여천 ※무주, 김제, 장수, 남원) ②벌가지(완도) ③버러지(영광, 담양, 곡성, 광산, 무안, 장흥 ※임실, 장수, 고창, 순창)④버라지(신안, 진도) ⑤버럭지(영광 ※익산, 완주, 김제, 부안) ⑥버레(장성) ⑦벌겡이(구례) ⑧벌게(영암) ※버레기(정읍), 벌기(옥구),물컷(옥구, 익산, 진안,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남원)
  • 진달래: ①참꽃(영광, 곡성, 함평, 광산, 무안, 나주, 승주, 강진, 여천, 완도)② 창꽃(구례, 신안, 화순, 광양, 영암, 진도, 해남, 장흥, 보성, 고흥 ※임실, 장수, 순창, 남원)③진지리꽃(장성, 신안)
  • 철쭉: ①개:꽃(곡성, 함평, 나주, 화순, 광양, 해남, 장흥, 고흥, 여천 ※완주, 무주, 임실, 장수, 순창, 남원) ②게:꽃 kE:k'ot(영광, 장성, 구례, 광산, 무안, 승주, 영암, 진도, 강진, 보성, 완도)③게:진달레(담양)
  • 냉이: ①나싱게(보성※완주, 진안, 무주) ②나숭게(영광, 장성, 담양, 구례, 광산, 무안 ※옥구, 익산,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순창, 남원) ③나숭개(곡성, 함평, 나주, 화순) ④나승게(승주) ⑤나세(진도) ⑥나시(해남, 완도) ⑦좁살갱이(광양)
  • 팥: ①팟(옥구, 익산, 완주, 진안, 무주, 김제, 정읍, 임실) ②폿(전지역 부안, 고창, 순창, 남원)③펏(장수)
  • 팥죽: ①퐅죽(전지역 ※부안, 임실, 고창, 순창, 남원) ② 펕죽(진안, 장수)
  • 바위→①바우(영광, 장성, 담양, 곡성, 구례, 함평, 광산, 신안, 무안, 나주, 화순, 영암, 진도, 해남, 강진, 장흥, 보성, 고흥, 완도 ※전북: 옥구, 진안,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순창, 남원) ② 바구(승주, 광양, 여천)※ 바오<전북 익산, 완주, 무주>

문법

[편집]
  • 목적격 조사(대격토)로 ‘얼, 럴’ 등이 쓰인다.
  • 처격 조사 ‘에’와 대응하는 ‘으, 이’, 여격 조사 ‘에게’와 대응하는 ‘으게' 가 쓰인다.
은제 밭으/이 거름얼 냇시까(언제 밭에 거름을 냈습니까)?
성님으게 보일라는 거라오(형님에게 보이려는 것입니다).
  • '게’가 처격 조사로 쓰임.
소 몰고 들게 갓지라오(소를 몰고 들에 갔습니다).
  • 보조조사(도움토) ‘부텀(부터)’, 꺼지/까장(까지), ‘보돔(보다)’, 조치(조차), ‘이사(이야)’ 등이 쓰인다.
  • 인칭대명사 ‘느그(너희), 즈그(저희)’, 재귀대명사 ‘자그(자기)’ 등이 쓰인다.
  • 주체존대소 ‘-시-’와 대응하는 ‘-겨-’가 실현되기도 한다.
아부지 나가겨요(아버지 나가세요)? 은제 와겼소(언제 오시었소)?
저분이 교장이시지라오(저분이 교장이십니다). 금새보 오겨라우(벌써 오셔요)?
가겼냐(가셨느냐)? 지겼소(계셔요)'
  • 평서형 종결어미(알림맺음토)
높임의 평서형 종결어미로는 ‘-지라오/지라우, -서라오/서라우, -게라오/게라우’ 등이 쓰인다. 이것들은 억양에 의해 의문형 종결어미로 쓰이기도 한다.[5]
나는 내일 가겠서라우(나는 내일 가겠습니다).
진지 잡수섰는게라우(진지 잡수셨습니까)?
낮춤의 평서형 종결어미로 ‘-ㄴ당께(ㄴ다), -랑께(다)’등이 쓰인다.
밥꺼지 해 놧당께로(밥까지 해 놓았다).
그게 고구매랑께(그것이 고구마이다).
  • 의문형 종결어미(물음맺음토)
높임의 의문형 종결어미로 ‘-(으)ㅂ니껴(-(으)ㅂ니까), -(으)ㅂ니Ri(-(으)ㅂ니까)-(으)ㅂ디여(-(으)ㅂ디까), -(으)ㅂ디껴(-(으)ㅂ디까), -(으)ㅂ딘저(-(으)ㅂ디까) 등이 쓰인다. 이것들은 표준어 ’-(으)ㅂ디까‘보다 존대 등급이 높다.
합디여(합디까)?, 옵디껴(옵디까)?, 그럽딘저(그럽디까)?, 가십니꺄(가십니까)?
낮춤의 의문형 종결어미로 ‘-지야', ‘제’ 등이 쓰인다.
집이 갓다 오지야(집에 갔다 오지)? 느네 집이 이렁거 많다제(너의 집에 이런 것이 많다지)?
  • 명령형 종결어미(시킴맺음토)
높임의 명령형 종결어미로는 ‘-시소(시오), -싯시오(-십시오), -시시소(-십시오)’ 등이 쓰인다. 이 핀지 받으시소(이 편지를 받으시오). 내 부택을 잊지 말으싯시오(내 부탁을 잊지 마십시오). 이 사챙이 받으시시소( 이 새끼를 받으십시오).
표준어 ‘-소/오’와 대응하는 ‘-(으)소’가 쓰인다.
쑤염이나 좀 깎으소(수염이나 좀 깎소).
  • 연결어미(이음토) ‘-니까’에 대응하는 ‘-은개로, -닌게로, -닌가, -은깨, -닌께(전북방언)’, ‘-(으)ㅇ께’(전남방언)가 쓰임. [보기]비쌍께, 입응께
  • 연결어미 ‘-당께로(-다니까), -(이)랑께로(-(이)라니까), -는디(-는데), -어서사(-어서야), -ㄹ라고(-(으)려고), -(으)먼(-(으)면)’ 등이 쓰인다.
  • 전북방언에서 표준어 ‘-을까 봐’와 대응하는 ‘-ㄹ갬시로, -ㄹ갬이로, -땜시(로), -땜이(로)’ 등이 쓰인다.
  • 전남방언에서 표준어 ‘때문에’와 대응하는 ‘땀시, 땀새, 난시, 쭈에, 찌우’등이 쓰인다.
  • 전남방언에서 ‘그렁게라우(그러니까요), 그런당께라우(그런다니까요)’ 등이 쓰인다.
  • 전남방언에서 종결어미에 ‘-잉’을 덧붙여 ‘친근한 다짐’이나 ‘당부’를 나타낸다.
가세잉, 그랍디다잉, 가지 말아잉

전북특별자치도 문법

[편집]
인칭대명사
  • 너그덜: 정읍 임실 장수 순창
  • 느그덜: 고창
  • 너기덜: 부안
  • 너이덜: 순천
  • 네으덜: 남원
  • 너:덜: 진안
  • 느:덜: 옥구 익산 완주 무주 김제
  • 느:네: 익산
자기
  • 자그: 정읍
  • : 익산 완주 무주 김제 부안
  • : 장수 순창 남원
  • 자기: 옥구 진안 무주 정읍 임실 장수 고창
목적격조사
  • '를’→‘럴': 옥구 익산 완주 진안 부안 임실 장수 고창 순창 남원
  • '을’→‘얼’: 옥구 진안 무주 김제 부안 정읍 임실 장수 고창 순창 남원
너의
  • 너그: 부안 정읍 임실
  • 느그: 고창
  • : 완주 진안 남원
  • 느:: 옥구 익산 완주 무주 김제
  • : 장수 순창
처격조사
  • 에’→‘이’: 옥구 익산 완주 진안 무주 부안 정읍 임실 순창
가니?
  • 가냐?: 옥구 익산 완주 진안 무주 부안 정읍 임실 순창
  • 가느냐?: 진안 임실
그랬니?
  • 그랬지아?: 부안
  • 그랬제?: 옥구 임실 순창 남원
가는가?
  • 강가?: 장수 순창 남원
가세요?
  • 가게라우?: 고창
  • 가십니껴?: 남원
  • 가십니겨?: 순창
  • 가싱게라오?: 임실
  • 가싱게라우?: 장수
  • 가게라오?: 진안
  • 가시어라우?: 정읍
  • 개기요?: 김제
-(으)면서
  • 음서: 옥구 완주 무주 김제 부안 정읍 고창 순창
  • 음선: 무주 장수
  • 음썬: 임실
  • 음성: 남원
  • 으먼서: 익산
  • 으머: 진안

전라남도 문법

[편집]
인칭대명사 '너희'
  • 느그덜: 구례 진도
  • 느그: 영광 장성 곡성 무안 나주 승주 영암 해남 강진 장흥 보성 완도
  • 니기덜: 담양
  • 느그들: 영광 함평 광산 신안 화순 영암 보성 고흥 여천 완도
  • 누구: 광양
자기-의
  • 이녁(부부간): 영광 장성 담양 신안 나주 승주 영암 진도 장흥 보성 고흥
  • : 영광
  • : 영광 장성 담양 곡성 구례 함평 광산 신안 무안 나주 화순 승주 광양 영암 진도 해남 강진 장흥 보성 여천 완도
목적격 조사
  • '를’→‘럴’: 구례
  • '을’→‘얼’: 구례
처격 조사
  • ‘에’→‘이’: 영광 장성 구례 광산 신안 나주 영암 진도 강진 장흥 보성 고흥 여천 완도
가니?
  • 가냐?: 영광 장성 담양 곡성 구례 함평 광산 신안 무안 나주 화순 승주 광양 영암 진도 해남 강진 장흥 보성 고흥 여천
  • 가네?: 완도
그랬지?
  • 그렜지야?: 영광 장성 광산 무안 승주 영암 진도 강진 보성 완도
  • 그랬지야?: 곡성 나주 장흥
  • 그랬제?: 구례 진도
선어말어미
  • ‘-시-’→게: 영광 장성
연결어미 ‘-면’
  • -먼: 영광 장성 담양 구례 함평 광산 신안 광양 영암 해남 강진 장흥 보성 완도
  • -문: 곡성 무안 나주 승주 진도 고흥 여천
  • -멘: 화순

서남 방언으로 된 창작물

[편집]
  • 문희옥〈천방지축〉, 1987년에 발표된 노래
  • 심상대〈망월〉

각주

[편집]
  1. 李承宰(1986) “해방 이후의 방언 연구사”, 국어생활 5, 국어연구소
  2. 蘇江春(1989), 방언 분화의 음운론적 연구, 한신문화사.
  3. 이돈주(1978), 전남방언, 형설출판사.
  4. 이기갑(1986), 전라남도의 언어 지리, 탑출판사.
  5. 영동 방언에서도 이 어미가 자주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