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

이복(李福, ? ~ ?)은 중국 촉한정치인으로 는 손덕(孫德)이며 익주 광한군[1] 부현(涪縣) 사람이다. 제갈량죽음이 가까웠을 때 유선의 명을 받고 문안을 갔다.

생애

[편집]

익주를 평정한 유비 아래에서 서좌(書佐), 서충국현장(西充國縣長), 성도현령(成都縣令)을 역임하였다. 유선촉나라를 계승한 이후로도 파서태수, 강주독(江州督), 양위장군(楊威將軍), 상서복야를 지냈으며 평양정후(平陽亭侯)에 봉해졌다. 234년(건흥 12년)[2] 제갈량오장원(五丈原)에서 이 들자 유선의 명을 받고 살피러 가 국가대계와 그 후임에 대한 메시지를 들었다. 제갈량은 자신의 후임으로 장완을, 또 그 후임으로는 비의를 추천하였다. 연희 초, 대장군 장완이 한중에 주둔할 무렵 전감군(前監軍) 겸 사마를 맡았다.

평가

[편집]

정무의 처리가 예민하면서도 과단하여 촉나라의 향기가 되었다.

삼국지연의

[편집]

사서가 아닌 소설삼국지연의》에서도 임종에 이른 제갈량에게 문안을 가는 역할을 맡았으며 유선에게 그 사망을 알린다.

가계

[편집]
  • 아버지 : 이권(李權) - 는 백예(伯豫)이며 유력 호족으로서 임공현장(臨邛縣長)의 자리에 있었다.[3] 권력을 다지던 익주목 유언에게 숙청당했다.[4]
    • 본인 : 이복
      • 아들 : 이양(李驤) - 자는 숙룡(叔龍)이며 상서랑(尙書郞)과 광한태수를 하였다. 아버지와 마찬가지로 이름이 났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217년(건안 22년)에 유비가 광한군의 일부를 떼어내 자동군(재동군, 梓潼郡)을 설치하였다. 유소 주석, 《속한지》23권 군국 제5 익주 광한군
  2. 《삼국지》35권 촉서 제5 제갈량
  3. 《익부기구잡기》 ; 배송지 주석, 《삼국지》31권 촉서 제1 유언에서 인용
  4. 《삼국지》31권 촉서 제1 유언

참고 문헌

[편집]
  • 진수, 《삼국지》45권 촉서 제15 양희
  • 《익부기구잡기》(益部耆舊雜記) ; 배송지 주석, 《삼국지》45권 촉서 제15 양희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