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AFC U-19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
---|---|
2013 AFC U-19 Women's Championship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0월 11일 ~ 10월 20일 |
참가팀 | 6개국 (1개 대륙) |
경기장 | 2개 (1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통계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 2011 2015 » |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은 2013년 10월 11일부터 10월 20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난징에서 열린 7번째 AFC U-19 여자 챔피언십이다. 이 대회 상위 3위 이내의 성적을 기록한 팀들은 캐나다에서 열린 201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서 아시아 대표로 참가할 자격을 획득했다.
예선에서는 총 19개국이 참가하였으며, 1·2차 예선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1차 예선은 직전 대회 순위를 참고하여, 7위 이내에 입상하지 못한 국가들이 모여 예선을 치르게 되었다. 이번 대회에서는 총 12개국(단, 키르기스스탄은 대회 직전에 기권)이 1차 예선에 참가하였다. 1차 예선은 12개국을 총 3개 조로 나누어 예선을 펼쳤으며, 각 조 2위까지 2차 예선에 진출을 하게 된다.
대회 진행은 각 조별로 한 곳을 지정하여 진행되었으며, A조는 2012년 10월 20일부터 10월 24일까지 말레이시아 말라카에서, B조는 2012년 10월 18일부터 10월 22일까지 요르단 암만에서, C조는 2012년 10월 17일부터 10월 21일까지 필리핀 마닐라에서 경기를 개최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 |
2 | 2 | 0 | 0 | 2 | 0 | +2 | 6 |
![]() |
2 | 1 | 0 | 1 | 2 | 1 | +1 | 3 |
![]() |
2 | 0 | 0 | 2 | 0 | 3 | -3 | 0 |
![]() |
기권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 |
3 | 3 | 0 | 0 | 14 | 2 | +12 | 9 |
![]() |
3 | 2 | 0 | 1 | 22 | 5 | +17 | 6 |
![]() |
3 | 0 | 1 | 2 | 4 | 17 | -13 | 1 |
![]() |
3 | 0 | 1 | 2 | 2 | 18 | -16 | 1 |
이란 ![]() |
12 – 2 | ![]() |
---|---|---|
모가르랍 자도스세나리 라 쉬티 ![]() 세예데 타닌 나라기 ![]() 사라 조흐라비니아 ![]() 마리암 라히미 ![]() 가시에 사마네 ![]() |
샤리프조다 메흐랑게지 ![]() 칼리모바 라일로 ![]() |
요르단 ![]() |
8 – 0 | ![]() |
---|---|---|
하야 마르완 아마드 카릴 ![]() 마이 살렘 부트로스 쉐일렘 ![]() 루나 라미 아민 알 마스리 ![]() 라잔 알자가 ![]() 루나 자파르 알리(알 모나미) ![]() |
팔레스타인 ![]() |
0 – 8 | ![]() |
---|---|---|
사가에그 로즈바한 ![]() 모가르랍 자도스세나리 라 쉬티 ![]() 세예데 타닌 나라기 ![]() 사라 조흐라비니아 ![]() 마리암 라히미 ![]() |
요르단 ![]() |
3 – 2 | ![]() |
---|---|---|
아이다 나예프 하마드 알 수피 ![]() 마이 살렘 부트로스 쉐일렘 ![]() |
마리암 라히미 ![]()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 |
3 | 3 | 0 | 0 | 15 | 1 | +14 | 9 |
![]() |
3 | 2 | 0 | 1 | 7 | 3 | +4 | 6 |
![]() |
3 | 1 | 0 | 2 | 2 | 5 | -3 | 3 |
![]() |
3 | 0 | 0 | 3 | 0 | 15 | -15 | 0 |
필리핀 ![]() |
2 – 0 | ![]() |
---|---|---|
진 브리게티 D 카딜 ![]() 크리스티나 마리 마라농 데 로스 레예스 ![]() |
2차 예선은 2차 예선 시드를 받게 된 2개국(태국, 베트남)과 1차 예선을 통과한 6개국, 총 8개국이 2개조로 나누어 예선을 치른 다음, 각 조 1위끼리 결승을 치러 1개국이 결선 라운드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되었다. 2차 예선 대회는 2012년 12월 1일부터 12월 9일까지 베트남 호찌민시에서 진행되었다. 경기 결과 미얀마가 결선 라운드에 진출하게 되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 |
3 | 2 | 1 | 0 | 9 | 3 | +6 | 7 |
![]() |
3 | 1 | 2 | 0 | 6 | 4 | +2 | 5 |
![]() |
3 | 1 | 0 | 2 | 1 | 5 | -4 | 3 |
![]() |
3 | 0 | 1 | 2 | 1 | 5 | -4 | 1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 |
3 | 2 | 1 | 0 | 11 | 2 | +9 | 7 |
![]() |
3 | 2 | 0 | 1 | 14 | 3 | +11 | 6 |
![]() |
3 | 1 | 1 | 1 | 9 | 4 | +5 | 4 |
![]() |
3 | 0 | 0 | 3 | 0 | 25 | -25 | 0 |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결선 라운드 진출 |
---|
![]() 미얀마 |
대회 결선 방식은 풀리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이 되었다. 결선라운드는 2013년 10월 11일부터 10월 20일까지 중화인민공화국 난징에서 개최되었다. 결선 라운드 진출팀은 전 대회 1~5위 팀과 2차 예선을 거쳐 올라온 1개국(미얀마)으로 구성되었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득실차 | 승점 |
---|---|---|---|---|---|---|---|---|
![]() |
5 | 4 | 1 | 0 | 15 | 4 | +11 | 13 |
![]() |
5 | 3 | 1 | 1 | 10 | 4 | +6 | 10 |
![]() |
5 | 2 | 2 | 1 | 14 | 6 | +8 | 8 |
![]() |
5 | 2 | 2 | 1 | 11 | 4 | +7 | 8 |
![]() |
5 | 1 | 0 | 4 | 6 | 12 | -6 | 3 |
![]() |
5 | 0 | 0 | 5 | 0 | 26 | -26 | 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1 – 0 | ![]() |
---|---|---|
전소연 ![]() |
미얀마 ![]() |
0 – 2 | ![]() |
---|---|---|
리은심 ![]() 김미경 ![]() |
일본 ![]() |
0 – 0 | ![]() |
---|---|---|
2013년 AFC U-19 여자 챔피언십 |
---|
![]() 대한민국 2번째 우승 |
득점왕 | 대회 MVP | 페어 플레이 트로피 |
---|---|---|
![]() |
![]() |
![]() |
다음 3개 팀은 캐나다에서 열린 2014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참가 자격을 획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