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남아시아 축구 연맹 선수권 대회 | |
---|---|
2015년 SAFF 스즈키컵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2015년 12월 23일 - 2016년 1월 3일 |
참가팀 | (1개 대륙) |
경기장 | 1개 (1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
통계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 2013 2018 » |
2015년 SAFF 챔피언십(스폰서십 때문에 공식적으로 2015년 SAFF 스즈키 컵[1]으로도 알려짐)은 SAFF에 의해 조직된 2년에 한 번 열리는 남아시아의 축구 대회이자 11번째로 열린 SAFF 챔피언십으로 이 대회는 2015년 12월 23일부터 2016년 1월 3일까지 인도에서 개최되었다.[2]
대회에 앞서 지난 대회의 우승팀인 아프가니스탄은 새로 창설된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의 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는 상황이었기에 이 대회가 공식적으로 참가할 수 있는 마지막 대회였으며[3] 본래 2015년 7월에 개최하도록 예정되었지만 몬순 기간과 일정의 혼잡 때문에 12월 말로 연기되었다.[2]
이 대회에서는 파키스탄이 참가하지 않았는데 파키스탄 축구 연맹 내에서 논쟁이 생기면서 결국 2015년 11월 대회 참가를 철회했기 때문이다.[4]
2013년 9월 10일 인도는 델리 또는 케랄라 둘 중 하나의 도시에서 대회가 진행되는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는데[5] 2015년 7월 대회 진행 기간 동안 모든 경기는 케랄라 주의 티루바난타푸람에 있는 트리반드룸 국제 경기장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발표했다.[2]
그리고 이 대회는 골드컵으로 알려졌던 1999년 대회와 현재 이름과 동일한 2011년 대회 이후 인도에서 3번째로 개최하는 대회가 된다.
개최국인 인도를 제외하고, 불참한 파키스탄을 제외한 나머지 남아시아 6개국 모두 참여하였다. 서아시아 축구 연맹에 의해 언급된 이유는 없었지만 연맹의 선거에 관한 문제점은 연맹으로 하여금 어떠한 활동도 금할 수 밖에 없게 강요했다.[6]
국가 | 출전 | 최고 성적 | FIFA 랭킹 2015년 12월 |
---|---|---|---|
![]() |
11회 | 우승 (1993, 1997, 1999, 2005, 2009, 2011) | 166 |
![]() |
8회 | 우승 (2013) | 150 |
![]() |
10회 | 우승 (2003) | 182 |
![]() |
7회 | 준결승전 (2008) | 188 |
![]() |
9회 | 우승 (2008) | 160 |
![]() |
11회 | 3위 (1993) | 192 |
![]() |
11회 | 우승 (1995) | 194 |
2015년 7월 2일, 대회 기간 동안 모든 경기는 케랄라 주 티루바난타푸람에 위치한 새로 건축된 그린필드 경기장에서 열릴 것이라고 발표되었다.[2]
티루바난타푸람 | |
---|---|
트리반드룸 국제 경기장 | |
수용인원: 50,000명 | |
![]() |
인도와 네팔에서는 스타 스포츠 4 채널을 통해 대회를 생중계했다. 르마 TV와 톨로 TV는 아프가니스탄에서 중계했다. 가지 TV는 방글라데시에서 중계하였으며, 부탄 TV와 텔레비전 몰디브는 각각 부탄과 몰디브 지역에서 생중계하였다. 모든 경기는 유튜브에서 생중계로 방송되었다.[7]
조 편성에서 색깔에 대한 해설 | |
---|---|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팀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2 | 2 | 0 | 0 | 6 | 1 | +5 | 6 |
![]() |
2 | 1 | 0 | 1 | 1 | 2 | -1 | 3 |
![]() |
2 | 0 | 0 | 2 | 1 | 5 | -4 | 0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11 | 1 | +10 | 9 |
![]() |
3 | 2 | 0 | 1 | 7 | 6 | +1 | 6 |
![]() |
3 | 1 | 0 | 2 | 4 | 7 | -3 | 3 |
![]() |
3 | 0 | 0 | 3 | 1 | 9 | -8 | 0 |
준결승전 | 결승전 | |||||
12월 31일 – 티루바난타푸람 | ||||||
![]() | 3 | |||||
1월 3일 – 티루바난타푸람 | ||||||
![]() | 2 | |||||
![]() | 2 | |||||
12월 31일 – 티루바난타푸람 | ||||||
![]() | 1 | |||||
![]() | 5 | |||||
![]() | 0 | |||||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
---|
![]() ![]() ![]() ![]() ![]() ![]() ![]() |
제11대 남아시아 챔피언 (7회 우승) |
1993년・1997년・1999년・2005년・2009년 2011년・1951년 |
다음은 2015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수상 목록이다.[8]
페어 플레이 상 | 최우수 선수 | 골든 부츠 상 | ||||||
---|---|---|---|---|---|---|---|---|
![]() |
![]() |
![]() |
|
대회 시작 이틀 전, 참가국의 감독들에 의해 적합한 훈련 시설의 부족과 전반적인 토너먼트 조직의 운영 미비가 드러났다.[9]시반쿠티 위원장은 조직의 미숙함에 대한 비난은 토너먼트 조직위원회의 책임이었다고 말했다.[9]
토너먼트 첫 경기에서, 네팔 대표팀이 후반전 시작 직전 파란색 원정 유니폼으로 교체하기 전까지 스리랑카와 네팔 둘 다 같은 검정-빨강 유니폼을 입었다.
2015년 9월 14일, 대회 관계자는 스즈키가 2015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의 타이틀 스폰서가 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