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2019년 4월 14일 ~ 4월 28일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2019년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2019 Africa U-17 Cup of Nations)은 2019년 4월 14일부터 4월 28일까지 개최된,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의 18번째 대회로, 2019년 FIFA U-17 월드컵의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한다.
조 순위의 결정은 승점을 기준으로 이루어지며, 승점이 같은 둘 이상의 팀에 대해서는 아래의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모든 경기 시간은 현지 시간(UTC+3) 기준임.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 |
3 | 2 | 1 | 0 | 7 | 5 | +2 | 7 | 결선 토너먼트 및 2019년 FIFA U-17 월드컵 본선 진출 |
2 | ![]() |
3 | 2 | 0 | 1 | 5 | 3 | +2 | 6 | |
3 | ![]() |
3 | 1 | 1 | 1 | 4 | 2 | +2 | 4 | |
4 | ![]() |
3 | 0 | 0 | 3 | 6 | 12 | −6 | 0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
1 | ![]() |
3 | 2 | 1 | 0 | 4 | 1 | +3 | 7 | 결선 토너먼트 및 2019년 FIFA U-17 월드컵 본선 진출 |
2 | ![]() |
3 | 2 | 0 | 1 | 3 | 3 | 0 | 6 |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으나, 대회 이후 실격 |
3 | ![]() |
3 | 0 | 2 | 1 | 2 | 3 | −1 | 2 | 2019년 FIFA U-17 월드컵 본선 진출 |
4 | ![]() |
3 | 0 | 1 | 2 | 2 | 4 | −2 | 1 |
무승부 시 연장전 없이 바로 승부차기가 실시되었다.
준결승전 | 결승전 | |||||
4월 24일 | ||||||
![]() | 0(9) | |||||
4월 28일 | ||||||
![]() | 0(10) | |||||
![]() | 0(3) | |||||
4월 24일 | ||||||
![]() | 0(5) | |||||
![]() | 0(4) | |||||
![]() | 0(3) | |||||
3위 결정전 | ||||||
4월 27일 | ||||||
![]() | 1 | |||||
![]() | 2 |
2019년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
---|
![]() 카메룬 두 번째 우승 |
기니는 준우승으로 대회를 마쳤으나, 나중에 대표팀 선수 아부바카르 콩테(Aboubacar Conte)와 티디아네 케이타(Tidiane Keita)를 위조 서류를 이용해 연령을 속이고 출전시킨 것이 발각되어 징계를 받게 되었다. 처음에 모로코 왕립 축구 연맹이 제기한 고소장은 증거 불충분으로 기각되었으나, 나중에 세네갈 축구 연맹과 나이지리아 축구 연맹이 기니 축구 연맹을 다시 고소했다.
이에 따라 기니 축구 연맹은 아프리카 축구 연맹으로부터 징계를 받아, 본 대회에서 받은 은메달을 반납하게 됨과 동시에 향후 두 차례의 아프리카 U-17 네이션스컵 및 2019년 FIFA U-17 월드컵 출전 자격을 박탈당했으며, 두 명의 부정 출전 선수는 2년간 대표팀 출전 금지 처분을 받게 되었다. 이로서 기니의 박탈된 U-17 월드컵 출전권은 B조 3위였던 세네갈에게 승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