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콜레라로 죽는 사람을 표현한 그림
3차 콜레라 전염병 은 19세기 인도에서 시작한 콜레라의 세번째 주요 발병으로, 국경을 넘어서 여러 나라에 전파되었다. UCLA 연구자들은 3차 유행이 1837년에 시작해서 1863년까지 지속되었다고 연구했다.[ 1] 러시아에서는 백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콜레라로 사망했다. 1853~54년에 런던에서 10,000명이 넘는 사람이 사망했으며, 영국 전역에서는 23,000명이 사망했다. 이 전염병은 19세기 전염병 중 가장 치명적인 전염병으로 인식된다.[ 2]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및 북미 지역에서 높은 사망률을 보였다. 최악의 해로 여겨지는 1854년에 23,000명이 영국에서 사망했다.
1854년 런던의 가난한 지역에서 의사로 일하는 존 스노 (John Snow)는 오염된 물이 질병의 전염 수단임을 확인했다. 1854년 브로드 스트리트 콜레라가 발생한 후, 그는 런던의 소호 지역에서 콜레라 사태를 연구했다. 한 지역의 수도 펌프 근처의 사례를 지속적으로 기록했다. 자신의 주장을 확신하기 위해서 공무원들에게 물 펌프의 손잡이를 제거하도록 설득해서 오염된 물을 마시지 않도록 조정하였고, 콜레라는 즉시 줄어들었다. 그의 이론은 전염병 통제에 큰 도움을 주었다. 존 스노는 1849년 콜레라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런던 역학 협회의 창립인이었으며, 역학의 아버지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3] [ 4] [ 5]
1846년 사우디아라비아 의 메카 에서는 15,000명이 넘는 사람이 콜레라 로 사망했다.[ 6]
1847년에서 1851년 사이에 러시아 에서는 백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콜레라로 사망했다.[ 7]
1848년 영국 과 웨일즈 에서 2년 동안 52,000명이 사망했다.[ 2]
1848년에 런던 발병은 14,137명이 사망했으며, 1832년 발병보다 2배가 많았다.
1849년 기근 으로 약해진 아일랜드 를 강타했고, 아일랜드의 기근 생존자를 죽였다.[ 8]
1849년 영국의 리버풀 에서 5,308명, 북미 이민자가 출발하는 영국 킹스턴어폰헐 에서 1,834명이 죽었다.[ 9]
1849년 파리 에서 두번째로 큰 유행이 발생했다.
미국인들은 아일랜드 이민자들이 콜레라를 가져왔다고 생각했다. 미국 미시시피강 을 따라서 질병이 퍼졌으며, 세인트루이스 에서 4,500명 이상, 뉴올리언즈 에서 3,000명 이상이 사망했다.[ 9] 아일랜드인이 가장 많이 이민을 간 뉴욕 에서는 수천명이 사망했다.[ 9] 1849년에서 1850년까지 내쉬빌 을 강타한 이 사건은 전 미국 대통령 제임스 K. 포크 도 사망에 이르게 만들었다.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 동안 콜레라는 캘리포니아 트레일, 몰몬 트레일, 오레곤 트레일을 따라서 확산되었고, 약 6,000~12,000명이 사망했다. 1832년에서 1849년 전염병을 통해서 미국에서만도 약 150,000명이 사망했다고 하며,[ 10] [ 11] 멕시코에서도 200,0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
1847년에 시작한 러시아의 콜레라 전염병은 1851년까지 지속되어 약 백만명이 사망했다.
1851년 쿠바 에서 온 배가 그란 카나리아 에 전염병을 전파했다.[ 13] 58,000명의 인구 중에 여름에만 6,000명이 넘는 사람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14]
1852년에 콜레라는 인도네시아 에 상륙했다.
1853~54년 런던 에서는 236,000명 이상이 콜레라로 사망했다.[ 15]
1854년에는 중국 과 일본 에 영향을 끼쳤다.
1854~55년에 베네수엘라 와 브라질 을 통해 남아메리카 에 전파되었다.[ 16]
1854년 시카고 에서 콜레라가 발생하여 인구의 5.5%(약 3,500명)가 사망했다.[ 17] [ 18]
1854년 로드 아일랜드주 에서는 콜레라의 해로 불리며, 향후 30년간 콜레라가 전파되었다.[ 19]
1858년에 필리핀 에 전파되었다.
1859년에 한국 에 전파되었다.
1859년에 벵갈 에서의 발병은 콜레라의 이란, 이라크, 아라비아, 러시아로의 전파에 기여했다.[ 20]
1858~60년에 도쿄 에서 10만~20만명이 콜레라로 사망했다. 1858~1902년 일본 에서 콜레라가 7번 이상 발생했다.[ 21]
↑ “ASIATIC CHOLERA PANDEMICS” .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Cholera's seven pandemics” . 2008년 12월 16일. 2008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Origin of London Epidemiological Society” .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Dunnigan, M. (2003년 6월). “Commentary: John Snow and alum-induced rickets from adulterated London bread: an overlooked contribution to metabolic bone disease” .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2 (3): 340–341. doi :10.1093/ije/dyg160 . ISSN 0300-5771 . PMID 12777415 .
↑ Snow, John (2003년 6월). “On the adulteration of bread as a cause of rickets. 1857” .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32 (3): 336–337. doi :10.1093/ije/dyg153 . ISSN 0300-5771 . PMID 12777413 .
↑ “Asiatic Cholera Pandemic of 1817” .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Hosking, Geoffrey A. (2001). 《Russia and the Russians : a history》 . Cambridge, MA: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0-674-00473-6 .
↑ “The Irish Famine” . 2009년 10월 27일. 2009년 10월 2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Rosenberg, Charles E. (1987). 《The cholera years : the United States in 1832, 1849, and 1866》 .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0-226-72677-0 .
↑ Beardslee, G. William. “The 1832 Cholera Epidemic - Part 2” (영어).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Jiang, Sunny C. (2001년 9월 1일). “Vibrio cholerae in recreational beach waters and tributaries of Southern California” . 《Hydrobiologia》 (영어) 460 (1): 157–164. doi :10.1023/A:1013152407425 . ISSN 1573-5117 .
↑ 《Encyclopedia of pestilence, pandemics, and plagues》 .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2008. ISBN 978-0-313-34101-4 .
↑ “미국 카나리아 역사” .
↑ “Historia de la medicina en Gran Canaria :: Memoria Digital de Canarias - Textos” . 2020년 3월 2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Encyclopedia of pestilence, pandemics, and plagues》 .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2008. ISBN 978-0-313-34101-4 .
↑ 《Encyclopedia of pestilence, pandemics, and plagues》 . Westport, Conn.: Greenwood Press. 2008. ISBN 978-0-313-34101-4 .
↑ Rosenberg, Charles E. (1987). 《The cholera years : the United States in 1832, 1849, and 1866》 .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0-226-72677-0 .
↑ “the lifting of chicago: nuts & bolts” . 2009년 8월 31일. 2009년 8월 31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McKenna, Ray. “My Turn: Ray McKenna: R.I. residents of 1854 would relate” (영어). 2020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Asiatic Cholera Pandemic of 1817” . 2020년 4월 22일에 확인함 .
↑ Sugihara, Kaoru; Robb, Peter G.; Yanagisawa, Haruka (1996). 《Local Agrarian Societies in Colonial India: Japanese Perspectives》 (영어). Psychology Press. ISBN 978-0-7007-04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