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사 | 삼성전자, 모토로라 모빌리티, 화웨이 |
---|---|
정식 명칭 | Flash-Friendly File System |
도입 | v3.8, 2012-12-20[1] - 리눅스 |
구조 | |
디렉터리 내용 | 멀티 레벨 해시 테이블 |
파일 할당 | 비트맵 (여유 공간), 테이블 |
제약사항 | |
최대 볼륨 크기 | 16 TB |
최대 파일 크기 | 3.94 TB |
최대 파일 수 | 볼륨 크기에 따라 다름 |
최대 파일 이름 길이 | 255 바이트 |
기능 | |
날짜 사용 권한 | 수정 (mtime), 특성 수정 (ctime), 접근 (atime) |
날짜 정밀도 | 1 ns |
특성 | POSIX, 확장 특성(extended attributes) |
파일 시스템 권한 | POSIX, ACL |
투명한 압축 | 아니오 |
투명한 암호화 | 예 |
기타 | |
지원 운영 체제 | 리눅스 |
웹사이트 | f2fs |
F2FS(Flash-Friendly File System)는 삼성전자가 리눅스 커널을 위해 개발한 플래시 파일 시스템이다.[2]
F2FS를 개발한 동기는 파일 시스템을 모바일 장치부터 서버에 이르는 컴퓨터 시스템에 널리 사용되는 NAND 플래시 메모리 기반 스토리지 장치(예: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 eMMC, SD 카드)의 특징을 염두에 둔 파일 시스템을 처음부터 만드는 것이다.
F2FS는 로그 구조 파일 시스템 접근법에 기초하여 설계되었으며 더 새로운 형태의 스토리지에 채택된다. F2FS의 개발자는 wandering tree의 눈덩이 효과라든지 high cleaning 부하와 같은 로그 구조 파일 시스템의 일부 알려진 문제[2]를 해결한다고 언급하였다. 또, NAND 기반 기억 장치가 내부적인 플래시 메모리 관리 스킴에 따라 다른 특징(플래시 번역 계층, 즉 FTL 등)을 보이기 때문에 디스크 상의 설계 구성뿐 아니라 할당/cleaning 알고리즘을 선택하기 위한 다양한 매개변수를 지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