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은 초창기 5회 대회 동안은 FIFA가 관여하였으나 1954년 5월 8일, 아시아 축구 연맹이 창립되고 그 해 6월 21일 FIFA에 참여하면서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은 두 연맹이 관여하고 있다.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에서 FIFA는 3차 예선과 플레이오프를 관여하고 1,2차 예선과 최종예선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관여하고 있다.
대회 | 출전권 배분 | 참가팀 | 비고 |
---|---|---|---|
1930년 | 0 / 13 | 없음 | 별도의 지역 예선 없이 참가 신청만으로 참가가 가능했으나 아시아에서는 어느 팀도 참가 신청을 하지 않음 |
1934년 | 1 / 16 | 없음 | 아프리카와 예선을 같이 치름 ( 이집트가 1장을 차지함) |
1938년 | 1 / 16 | 네덜란드령 동인도 | 현재의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
1950년 | 1 / 16 | 없음 | 인도가 예선 통과를 하였으나 기권 당시 인도는 축구를 할 때 맨발로 뛰려고 했으나 국제축구연맹 규정 상 축구를 할 때 축구화를 반드시 착용하게 되어있어 기권함[출처 필요] |
1954년 | 1 / 16 | 대한민국 | 대한민국, 일본 중화민국이 출전신청을 하나 중화민국은 도중에 기권을 선언 이 후 대한민국과 일본간 홈 앤드 어웨이를 치르기로 했지만 이승만 대통령의 일본선수단 입국 거절로 두경기 모두 일본에서 개최 첫 경기는 5:1로 대한민국이 이기고 두 번째 경기는 2 :2로 무승부를 기록하여 1승 1무로 대한민국이 본선에 진출함 |
1958년 | 1 / 16 | 없음 | 아프리카와 예선을 같이 치름 ( 이스라엘은 상대팀들이 전원 기권하게 되어 특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웨일스에 패배) |
1962년 | 0.5 / 16 | 없음 | 유럽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름 ( 대한민국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유고슬라비아에 패배) |
1966년 | 0.25 / 16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오세아니아와 예선을 같이 치름 아프리카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름 (아프리카가 모두 기권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오스트레일리아와 중립경기 2경기들을 다 이겨서 본선 진출) |
1970년 | 1 / 16 | 이스라엘 | 오세아니아와 예선을 같이 치름 참고: 이스라엘은 현재 UEFA으로 소속을 옮김 |
1974년 | 1 / 16 | 없음 | 오세아니아와 예선을 같이 치름 ( 오스트레일리아가 1장을 차지함) |
1978년 | 1 / 16 | 이란 | 오세아니아와 예선을 같이 치름 |
1982년 | 2 / 24 | 쿠웨이트 | 오세아니아와 예선을 같이 치름 ( 뉴질랜드가 나머지 1장을 차지함) |
1986년 | 2 / 24 | 대한민국, 이라크 | |
1990년 | 2 / 24 | 대한민국, 아랍에미리트 | |
1994년 | 2 / 24 |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 |
1998년 | 3.5 / 32 |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일본 | 오세아니아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름 ( 이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오스트레일리아에 승리) |
2002년 | 4.5 / 32 (개최국 포함) |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일본, 중화인민공화국 | 대한민국과 일본은 개최국으로 자동 진출 유럽과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름 ( 이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아일랜드에 패배) |
2006년 | 4.5 / 32 |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일본 | 북중미카리브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름 ( 바레인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패배) 참고: 오스트레일리아는 당시 AFC 소속이긴 했으나,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통해서 본선에 진출했음. |
2010년 | 4.5 / 32 | 대한민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오세아니아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름 ( 바레인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뉴질랜드에 패배) |
2014년 | 4.5 / 32 | 대한민국, 이란,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 남아메리카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름 ( 요르단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우루과이에 패배) |
2018년 | 4.5 / 32 | 대한민국, 이란, 일본, 사우디아라비아, 오스트레일리아 | 북아메리카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름 ( 오스트레일리아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온두라스에 승리) |
2022년 | 5.5 / 32 (개최국 포함) |
카타르, 대한민국,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일본, 오스트레일리아 | 카타르는 개최국으로 자동 진출 남미와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름 ( 아랍에미리트와 오스트레일리아간 승자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페루와 맞대결 예정) |
진출 횟수 | 팀 |
---|---|
11 | 대한민국 |
7 | 일본 |
6 |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
3 | 오스트레일리아 (5) |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 | 네덜란드령 동인도( 인도네시아) 이라크 이스라엘 *(1) 중화인민공화국 카타르 쿠웨이트 아랍에미리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