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 93250은 HD 93268, HDE 303311 등 좀 더 어두운 별 일곱 개와 같은 영역에 있다. 이 밝은 별들이 별개의 성단인 콜린더 232의 중심부 항성들이라는 주장도 제기되어 왔으나 해당 영역에 이들보다 더 어두운 별들이 밀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콜린더 232는 실존하는 성단이 아니며 HD 93250은 기존 성단의 외곽에 위치하는 항성일 가능성이 더 높아 보인다.[10]
트럼플러 16의 구성원이라는 점에서 HD 93250의 나이와 지구로부터 이 별까지의 거릿값은 일정범위 내로 제약을 받는다.[4]
HD 93250은 쌍성으로 알려져 있지만 구성원 둘의 개별적 스펙트럼은 분리되어 관측된 바 없다.(다만 둘의 스펙트럼은 서로 매우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HD 93250의 분광형은 O5,[11] O6/7,[12] O4,[13] O3[14] 등 다양하게 제시되어 왔으며 광도분류상으로도 주계열 혹은 거성으로 분류되기도 한다.[13][14] 은하계 O형 항성 분광계 조사(Galactic O-Star Spectroscopic Survey)는 이 별을 새로 도입한 'O4형 준거성'의 표준별로 사용하고 있다.[7]
HD 93250은 용골자리 성운에서 가장 밝은 엑스선원이다.[6] 서로 가까이 있는, 뜨겁고 광도 높은 쌍성계 구성원들이 뿜는 항성풍이 서로 충돌하여 이 엑스선이 발생하는 것이라는 학설이 오래 전부터 제기되어 왔으나 이 가설을 입증할 분명한 시선속도 변화를 아직 잡아내지 못했다.[5]
2010년 VLT의 AMBER 간섭계는 HD 93250의 구성원들을 둘로 구별하여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상대운동 혹은 시선속도상의 변화가 관측되지 않아 두 항성의 궤도 및 특성은 아직 불확실하다. 두 별 사이 거리는 1.5 밀리초각으로 대략 3.5 천문단위에 해당된다. 구성원 둘은 측정 가능한 색채상 차이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둘 다 뜨거운 O형 항성에 상대별과의 질량차는 자기 질량의 10%를 넘지 않을 것 같다.[6]
지금까지 HD 93250의 물리적 특성은 이 별이 단독성이라는 가정하에서만 계산된 값들로 표면 온도는 50,000 켈빈, 광도는 태양의 100만 배 정도이다. HD 93250의 질량을 계산한 결과 분광 조사 모형과 항성진화 모형 사이에 불일치가 발생했는데 이 불일치는 쌍성계의 구성원 둘을 분석하여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8]
↑ 가나Rauw, G.; Nazé, Y.; Fernández Lajús, E.; Lanotte, A. A.; Solivella, G. R.; Sana, H.; Gosset, E. (2009). “Optical spectroscopy of X-Mega targets in the Carina nebula - VII. On the multiplicity of Tr16-112, HD93343 and HD93250”.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98 (3): 1582. arXiv:0906.2681. Bibcode:2009MNRAS.398.1582R. doi:10.1111/j.1365-2966.2009.15226.x.
↑ 가나다라Sana, H.; Le Bouquin, J.-B.; De Becker, M.; Berger, J.-P.; De Koter, A.; Mérand, A. (2011). “The Non-thermal Radio Emitter HD 93250 Resolved by Long Baseline Interferometry”.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740 (2): L43. arXiv:1110.0831. Bibcode:2011ApJ...740L..43S. doi:10.1088/2041-8205/740/2/L43.
↑ 가나Maíz Apellániz, J.; Sota, A.; Arias, J. I.; Barbá, R. H.; Walborn, N. R.; Simón-Díaz, S.; Negueruela, I.; Marco, A.; Leão, J. R. S.; Herrero, A.; Gamen, R. C.; Alfaro, E. J. (2016). “The Galactic O-Star Spectroscopic Survey (GOSSS). III. 142 Additional O-type System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224 (1): 4. arXiv:1602.01336. Bibcode:2016ApJS..224....4M. doi:10.3847/0067-0049/224/1/4.
↑Tapia, Mauricio; Roth, Miguel; Vázquez, Rubén A.; Feinstein, Alejandro (2003). “Imaging study of NGC 3372, the Carina nebula - I. UBVRIJHK photometry of Tr 14, Tr 15, Tr 16 and Car I”.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39 (1): 44–62. Bibcode:2003MNRAS.339...44T. doi:10.1046/j.1365-8711.2003.06186.x.
↑Thackeray, A. D.; Tritton, S. B.; Walker, E. N. (1973). “Radial velocities of southern B stars determined at the Radcliffe Observatory—VII”. 《Memoir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77: 199. Bibcode:1973MmRAS..77..199T.
↑Houk, N.; Cowley, A. P. (1975). “University of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 I. Declinations -90_ to -53_ƒ0”. 《University of Michigan Catalogue of Two-dimensional Spectral Types for the HD Stars. Volume I. Declinations -90_ to -53_ƒ0》. Bibcode:1975mcts.book.....H.
↑ 가나Walborn, Nolan R.; Sota, Alfredo; Maíz Apellániz, Jesús; Alfaro, Emilio J.; Morrell, Nidia I.; Barbá, Rodolfo H.; Arias, Julia I.; Gamen, Roberto C. (2010). “Early Results from the Galactic O-Star Spectroscopic Survey: C III Emission Lines in of Spectra”.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 711 (2): L143. arXiv:1002.3293. Bibcode:2010ApJ...711L.143W. doi:10.1088/2041-8205/711/2/L143.
↑ 가나Williams, S. J.; Gies, D. R.; Hillwig, T. C.; McSwain, M. V.; Huang, W. (2011). “Radial Velocities of Galactic O-type Stars. I. Short-term Constant Velocity Stars”. 《The Astronomical Journal》 142 (5): 146. Bibcode:2011AJ....142..146W. doi:10.1088/0004-6256/142/5/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