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X-새마을 | |
---|---|
![]() | |
![]() ITX-새마을 전동차 | |
개요 | |
국가 | ![]() |
종류 | 급행여객열차 |
현황 | 영업중 |
지역 | ![]() |
기간 | 2014년 5월 12일~현재 |
운영자 | ![]() |
노선 | |
기점 | 서울 · 용산 · 청량리 |
종점 | 부산 · 신해운대 · 진주 · 목포 · 광주 · 여수엑스포 · 안동 |
운행 노선 | 경부선 · 호남선 · 경전선 · 전라선 · 동해선 · 중앙선 |
차내 서비스 | |
장애인 접근성 | 지원 |
좌석 | 376석 |
세부 정보 | |
철도 차량 | 한국철도공사 210000호대 간선 전기 동차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전철화 | 교류 25,000V 60Hz |
운행 속도 | ATS/ATP 구간 150km/h |
ITX-새마을(ITX-Saemaeul)은 한국철도공사의 열차 등급 명칭이다. 새마을호를 대체할 목적으로 등장했으며, 2014년 5월 12일부터 경부선, 호남선, 전라선, 동해선, 경전선 등에서 운행을 시작했고 이후 중앙선에 투입되기 시작했다. 법적으로 새마을호와 등급이 동일하고 운임도 기존 새마을호와 동일한 요금으로 책정했다. 현대로템이 제작한 간선 전기 동차(EMU-150)가 운행되며, 명칭은 대국민 열차명 공모를 통해 선정됐다.
퇴역을 앞둔 새마을호를 대체하는 EMU-150의 명칭을 정하기 위하여 코레일이 실시한 대국민 열차명 공모에 총 1941건이 접수되었다. 이후 2013년 2월 21일, 이후 전문가 심사와 경영진 회의를 거쳐 'ITX-새마을'이 최종 선정되었다.[1]
간선 전기 동차로 6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자판기가 설치되어 있다.
알루미늄 더블스킨 차체를 적용하였다. 선두부는 유선형 강철차체며, 전공일체형 밀착식 연결기가 있다. 연결기 마개는 일반적인 탈착식이다.
누리로의 200000번대에 이어 210000번대 차호를 부여받아 운행된다. 총 23편성이 도입되었다.
노선 | 구간 | 번호 | 비고 |
---|---|---|---|
경부선 | 서울 - 부산 | 1001~1014 | 1003과 1010은 운행하지 않는다. |
서울 - 동대구 | 1035, 1036 | ||
동해선 | 서울 - 신해운대 | 1021~1024 | |
경전선 | 서울 - 진주 | 1031~1034 | |
호남선 | 용산 - 목포 | 1061~1064 | |
광주선 | 용산 - 광주 | 1071~1078 | |
전라선 | 용산 - 여수엑스포 | 1081~1084 | |
중앙선 | 청량리 - 안동 | 1091~1094 |
필수 정차역은 굵은 글씨로 표현하였다.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편도정차
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