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자일룰로스 환원효소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
식별자
EC 번호1.1.1.10
데이터베이스
IntEnzIntEnz view
BRENDABRENDA entry
ExPASyNiceZyme view
KEGGKEGG entry
MetaCycmetabolic pathway
PRIAMprofile
PDB 구조RCSB PDB PDBj PDBe PDBsum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영어: L-xylulose reductase) (EC 1.1.1.10)는 사람에서 17번 염색체에 위치한 DCXR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는 효소이다.

구조[편집]

DCXR 유전자는 크기가 대략 34 kDa이고, 22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막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단백질콩팥에서 고도로 발현되며, 세포질 막에 국한된다.[1]

기능[편집]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L-자일룰로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오탄당, 사탄당, 삼탄당, α-다이카보닐 화합물의 환원을 촉매한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탄수화물 대사, 포도당 대사, 우론산 회로에 관여하며, 자일리톨을 생성함으로써 콩팥의 근위 세뇨관에서 수분 흡수 및 세포 삼투압 유지에 역할을 할 수 있다.[2]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EC 1.1.1.10)는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촉매하는 효소이다.

자일리톨 + NADP+ L-자일룰로스 + NADPH + H+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2가지 기질자일리톨, NADP+이며, 3가지 생성물L-자일룰로스, NADPH, H+이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는 산화환원효소 부류에 속하며, 특히 공여체가 CH-OH기이며 수용체가 NAD+ 또는 NADP+인 효소에 속한다.

명명법[편집]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계통명은 자일리톨:NADP 4-산화환원효소 (L-자일룰로스 형성)(영어: xylitol:NADP+ 4-oxidoreductase (L-xylulose-forming))이다.

다음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이름들이다.

  • 자일리톨 탈수소효소(영어: xylitol dehydrogenase)

임상적 중요성[편집]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결핍은 오탄당뇨증과 관련이 있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활성 부족은 L-자일로스의 과도한 소변 배설을 특징으로 하는 선천성 대사 이상을 일으킨다.

L-자일룰로스 환원효소의 과발현 및 이소성 발현은 전립선암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3]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Nakagawa J, Ishikura S, Asami J, Isaji T, Usami N, Hara A, Sakurai T, Tsuritani K, Oda K, Takahashi M, Yoshimoto M, Otsuka N, Kitamura K (2002).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ammalian dicarbonyl/L-xylulose reductase and its localization in kidney”. 《J. Biol. Chem.》 277 (20): 17883–91. doi:10.1074/jbc.M110703200. PMID 11882650. 
  2. Zhao HT, Endo S, Ishikura S, Chung R, Hogg PJ, Hara A, El-Kabbani O (2009). “Structure/function analysis of a critical disulfide bond in the active site of L-xylulose reductase”. 《Cell. Mol. Life Sci.》 66 (9): 1570–9. doi:10.1007/s00018-009-9065-y. PMID 19337691. 
  3. Cho-Vega JH, Tsavachidis S, Do KA, Nakagawa J, Medeiros LJ, McDonnell TJ (2007). “Dicarbonyl/L-xylulose reductase: a potential biomarker identified by laser-capture microdissection-micro serial analysis of gene expression of human prostate adenocarcinoma”.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6 (12): 2615–22. doi:10.1158/1055-9965.EPI-07-0684. PMID 18086765.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