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 | MPEG |
---|---|
발표일 | 2013년 |
포맷 종류 | 디지털 컨테이너 포맷 |
다음의 컨테이너 |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 |
표준 | ISO/IEC 23008-1 |
MPEG 미디어 트랜스포트(MPEG media transport, MMT)는 ISO/IEC 23008-1(MPEG-H 파트 1)로 정의되어 있으며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 동영상을 지원하기 위해 동화상 전문가 그룹(MPEG)이 개발한 디지털 컨테이너 표준이다.[1][2][3] MMT는 올(All)-인터넷 프로토콜(올-IP)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설계되었다.[4]
2013년 4월, MMT를 위한 요구 목록이 공개되었으며 일반 요구사항은 MMT가 기존 컨테이너 포맷과 비교할 때 분명한 장점이 있어야 하며 낮은 연산 수요를 가져야 한다고 명시하였다.[5][6] 또, 2013년 4월, MMT의 유스케이스 목록이 공개되었으며 여기에는 울트라 HD 동영상 콘텐츠, 3차원 동영상 콘텐츠, 대화식 콘텐츠, 사용자 생성 콘텐츠(UCC), 다중 디바이스 프레젠테이션을 지원하는 애플리케이션, 자막, 픽처 인 픽처 동영상, 다중 오디오 트랙에 대한 지원 요구가 포함되었다.[5][7] MPEG는 MMT 제1판이 2013년 11월 최종 초안 국제 표준(Final Draft International Standard, FDIS)에 도달할 것이라 추정하였다.[8][9]
2013년 5월 30일, NHK는 NHK 방송 기술 연구소 오픈 하우스 2013에서 MMT 기반 테스트 장비의 시연을 시작하였다.[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