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개발자 | IBM 이머징 테크놀로지 • Nick O'Leary • Dave Conway-Jones |
---|---|
발표일 | 2013[1] |
안정화 버전 | 4.0.2
/ 2024년 7월 1일[2] |
저장소 | |
프로그래밍 언어 | 자바스크립트 |
운영 체제 | 크로스 플랫폼 |
플랫폼 | Node.js |
종류 | 사물인터넷 와이어링을 위한 플로 기반 프로그래밍 |
라이선스 | 아파치 라이선스 2.0 |
상태 | 개발 중 |
웹사이트 | nodered |
Node-RED(노드 레드)는 하드웨어 장치들, API, 온라인 서비스를 사물인터넷의 일부로 와이어링(배선화)시키기 위해 본래 IBM이 개발한 시각 프로그래밍을 위한 플로 기반 개발 도구이다.[3]
Node-RED는 브라우저 기반 플로 편집기를 제공하므로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개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의 요소들은 재사용을 위해 저장하거나 공유할 수 있다. 런타임은 Node.js 위에서 개발되어 있다. Node-RED에서 만든 플로는 JSON을 사용하여 저장된다. 버전 0.14 이후 MQTT 노드들은 적절하게 구성된 TLS 연결을 만들 수 있다.[4]
2016년에 IBM은 Node-RED를 오픈 소스 "JS Foundation" 프로젝트로 기여했다.[5][6][7]
이름 | 설명 | URL |
---|---|---|
Node-RED | 사물 인터넷 와이어링을 위한 시각화 도구 | https://github.com/node-red/node-red |
Node-RED 대시보드 | Node-RED용 대시보드 UI | https://github.com/node-red/node-red-dashboard |
노드 제네레이터(Node generator) | 개방형 API 문서 및 함수 노드의 소스를 포함한 다수의 다양한 소스로부터 Node-RED 노드 모듈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 줄 도구이다. | https://github.com/node-red/node-red-nodegen |
Node-RED 명령 줄 도구 | 명령 줄 도구를 사용하여 Node-RED 인스턴스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 | https://github.com/node-red/node-red-admin |
MQTT with TLS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