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망상증

거울망상증(Mirrored-self misidentification)은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이 어린 자아 혹은 제2의 자아, 이방인, 친척 등 다른 사람이라고 믿는 망상적 신념이다.[1] 치매 환자에게서 가장 흔히 보인다.[2] 환자는 거울 속 타인의 모습을 인지하는 능력은 유지한다.[3]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혹은 일반 신경질환이 원인인 우뇌 두개골 부전(right hemisphere cranial dysfunction)이 원인이다.[4] 단일주제 망상(monothematic delusion)의 한 예시이다. 단일주제 망상은 모든 비정상적인 믿음이 하나의 주제가 있는 증상이다. 반면 복합주제 망상(polythematic delusion)은 다양한 무관한 망상적 믿음들이 존재하도 있는 것이다.[1] 또한 거울망상증은 망상적 오인 증후군(delusional misidentification syndrome, DMS)의 하나로 분류되기도 한다.[4] 거울망상증 환자는 장소, 물체, 사람, 사건을 잘못 인식한다.[4] 환자는 심리적 증상에 대해 인지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를 바로 잡는 것도 저항하며, 증상이 뇌질환, 특히 우반구 뇌손상(right hemisphere brain damage) 및 기능부전과도 연관되어 있다.[5]

각주

[편집]
  1. Coltheart, M (2011). “The mirrored-self misidentification delusion”. 《Neuropsychiatry》 1 (6): 521–523. doi:10.2217/npy.11.55. 
  2. Connors, Michael H.; Barnier, Amanda J.; Langdon, Robyn; Cox, Rochelle E.; Polito, Vince; Coltheart, Max (2013). “Delusions in the Hypnosis Laboratory: Modeling Different Pathways to Mirrored-Self Misidentification”. 《Psychology of Consciousnes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1 (2): 184–198. doi:10.1037/css0000001. 
  3. Feinberg, Keenan (2005). 《Lost self: Pathologies of the brain and identity》. Cary, NC: Oxford University Press. 131–147쪽. 
  4. Villarejo, Alberto; Martin, Verónica Puertas; Moreno-Ramos, Teresa; Camacho-Salas, Ana; Porta-Etessam, Jesús; Bermejo-Pareja, Félix (2011). “Mirrored-self misidentification in a patient without dementia: evidence for right hemispheric and bifrontal damage”. 《Neurocase》 17 (3): 276–284. doi:10.1080/13554794.2010.498427. 
  5. Feinberg, Todd E.; Roane, David M. (2005). “Delusional Misidentification”.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28 (3): 665–683. doi:10.1016/j.psc.2005.05.002. PMID 161225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