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화국영웅(共和國英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당과 국가에 대하여 위훈을 세우고 대중적 영웅주의와 애국주의를 보여준 자에게 수여되는 최상급의 명예 칭호이다.[1] '공화국 영웅 금별메달'과 국기훈장 제1급, 그리고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명의의 영웅증서가 함께 수여된다.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직후인 6월 30일에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정령으로 제정됐다. 김일성은 휴전 협정 체결 무렵인 1953년 7월 28일을 포함하여 총 4회를 받아[2] '4중 공화국영웅'이며, 김정일은 1982년 2월 16일 40회 생일 때 영웅 칭호를 받았다.
초기에는 강건 등 한국 전쟁 전사자들에게 주로 칭호를 수여했으나 점차 범위가 넓어졌다. 백학림은 '2중 공화국영웅'이며 김책, 김용순은 사망 후 추서 받았다. 야세르 아라파트와 같은 외국인이나 마라톤 선수 정성옥도 이 칭호를 받았다.
최다 수훈자는 김일성(1953, 1965, 1969, 1978)과 김정일(1971, 1972, 1982, 2011)로 각각 4회 수훈했으며 3회 수훈자는 강릉지역 무장공비 침투사건의 해상처장인 김동원(1980, 1995, 1997)이다. 현재까지 공화국영웅을 3회 이상 수훈한 자는 이 3명이 전부이다.
년도 | 제조국 | 재질 | 패용 방식 |
---|---|---|---|
1950년 7월 | 소련 | 스털링 실버에 금 도금 | 스크류백(Screw-back) |
1950년 후반 - 1960년대 | 소련 | 스털링 실버에 금 도금 | 스크류백(Screw-back) |
1960년대 - 현재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스털링 실버에 금 도금 | 스크류백(Screw-back) 혹은 핀 백(Pin back) |
![]() |
이 글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