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상수학 에서 그물 (영어 : net 네트[* ] ) 또는 무어-스미스 열 (Moore-Smith列, 영어 : Moore–Smith sequence )은 점렬 의 일반화이다. 점렬 과 달리, 그 지수가 자연수 대신 임의의 상향 원순서 집합 일 수 있다.
집합
X
{\displaystyle X}
위의 그물 은 어떤 상향 원순서 집합
I
{\displaystyle I}
에 대하여
I
{\displaystyle I}
에서
X
{\displaystyle X}
로 가는 함수
x
∙
:
I
→
X
{\displaystyle x_{\bullet }\colon I\to X}
이다. 이는 흔히 점렬 과 유사하게 첨자로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와 같이 표기한다.
점렬 은 전순서 집합
(
N
,
≤
)
{\displaystyle (\mathbb {N} ,\leq )}
에서 어떤 집합으로 가는 함수 이므로, 그물은 점렬 의 일반화이다.
상향 원순서 집합
I
{\displaystyle I}
와 집합
X
{\displaystyle X}
및
X
{\displaystyle X}
속의 그물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및
X
{\displaystyle X}
의 부분 집합
S
⊆
X
{\displaystyle S\subseteq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
x
i
:
i
≳
i
0
}
⊆
S
{\displaystyle \{x_{i}\colon i\gtrsim i_{0}\}\subseteq S}
가 성립하는
i
0
∈
I
{\displaystyle i_{0}\in I}
가 존재한다면,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가 최종적으로
S
{\displaystyle S}
에 속한다 (영어 : eventually in Y )고 한다.
만약 임의의
i
∈
I
{\displaystyle i\in I}
에 대하여
x
j
∈
S
{\displaystyle x_{j}\in S}
인
j
≳
i
{\displaystyle j\gtrsim i}
가 존재한다면,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가 빈번히
S
{\displaystyle S}
에 속한다 고 한다.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가 극대 그물 (極大-, ultranet, universal net)일 필요충분조건은, X의 임의의 부분 집합
S
⊆
X
{\displaystyle S\subseteq X}
에 대하여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가 최종적으로
S
{\displaystyle S}
에 속하거나 최종적으로 여집합
X
∖
S
{\displaystyle X\setminus S}
에 속하는 것이다. 이는 극대 필터 에 대응되는 개념이다.
상향 원순서 집합
I
{\displaystyle I}
와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및
X
{\displaystyle X}
속의 그물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및 점
x
∈
X
{\displaystyle x\in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다음 조건이 성립한다면,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가
x
{\displaystyle x}
로 수렴한다 (영어 : converges toward
x
{\displaystyle x}
) 또는 극한
x
{\displaystyle x}
를 갖는다 (영어 : has limit
x
{\displaystyle x}
)고 한다.
x
{\displaystyle x}
의 임의의 근방
U
∋
x
{\displaystyle U\ni x}
에 대하여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는 최종적으로
U
{\displaystyle U}
에 속한다.
그물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가
x
{\displaystyle x}
로 수렴할 경우, 점렬 의 경우처럼 다음과 같이 쓴다.
lim
i
∈
I
x
i
=
x
{\displaystyle \lim _{i\in I}x_{i}=x}
만약
X
{\displaystyle X}
에 기저 가 주어져 있을 경우, 그물이
x
{\displaystyle x}
로 수렴하는 것을 보이기 위해서는 그물이 최종적으로
x
{\displaystyle x}
를 포함하는 기저의 원소들에 속한다는 것만 보이면 된다.
상향 원순서 집합
(
I
,
≲
)
{\displaystyle (I,\lesssim )}
에서 실수로 가는 그물의 경우, 상극한 ·하극한 을 점렬 의 경우와 유사하게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1] :32 [ 2] :217, 221, Exercises 2.53-2.55 [ 3] :2
lim sup
i
∈
I
x
i
=
lim
i
∈
I
sup
i
≲
j
x
j
=
inf
i
∈
I
sup
i
≲
j
x
j
{\displaystyle \limsup _{i\in I}x_{i}=\lim _{i\in I}\sup _{i\lesssim j}x_{j}=\inf _{i\in I}\sup _{i\lesssim j}x_{j}}
lim inf
i
∈
I
x
i
=
lim
i
∈
I
inf
i
≲
j
x
j
=
sup
i
∈
I
inf
i
≲
j
x
j
{\displaystyle \liminf _{i\in I}x_{i}=\lim _{i\in I}\inf _{i\lesssim j}x_{j}=\sup _{i\in I}\inf _{i\lesssim j}x_{j}}
그물의 상극한과 하극한은 점렬 에서와 비슷한 성질을 갖는다. 예를 들어, 다음이 항상 성립한다.
lim sup
(
x
α
+
y
α
)
≤
lim sup
x
α
+
lim sup
y
α
,
{\displaystyle \limsup(x_{\alpha }+y_{\alpha })\leq \limsup x_{\alpha }+\limsup y_{\alpha },}
이 부등식 에서 두 그물 중 하나가 수렴하면 등호가 성립한다.
점렬 은 위상 공간의 각종 특성을 정의하는 데 자연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다. 이는 점렬 이 자연수 를 정의역 으로 갖는데, 자연수 집합은 가산 집합 이므로 지나치게 작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두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
Y
{\displaystyle Y}
사이의 함수
f
:
X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동치 가 아니다.
연속 함수 이다.
임의의 점렬
(
x
n
)
n
∈
N
⊆
X
{\displaystyle (x_{n})_{n\in \mathbb {N} }\subseteq X}
이 만약
x
∈
X
{\displaystyle x\in X}
에 수렴한다면,
(
f
(
x
n
)
)
n
∈
N
{\displaystyle (f(x_{n}))_{n\in \mathbb {N} }}
역시
f
(
x
)
{\displaystyle f(x)}
로 수렴한다.
전자는 후자를 항상 함의하며, X, Y가 제1 가산 공간 일 경우에는 후자가 전자를 함의하지만, 일반적 위상 공간에 대해서는 후자가 전자를 함의하지 못할 수 있다.
그물을 사용하면 이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임의의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
Y
{\displaystyle Y}
및 함수
f
:
X
→
Y
{\displaystyle f\colon X\to Y}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연속 함수 이다.
임의의 그물
(
x
i
)
i
∈
I
⊆
X
{\displaystyle (x_{i})_{i\in I}\subseteq X}
이 만약
x
∈
X
{\displaystyle x\in X}
에 수렴한다면, 그물
(
f
(
x
i
)
)
i
∈
I
{\displaystyle (f(x_{i}))_{i\in I}}
역시
f
(
x
)
{\displaystyle f(x)}
로 수렴한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의 부분 집합
S
⊆
X
{\displaystyle S\subseteq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닫힌집합 이다.
S
{\displaystyle S}
속의 임의의 그물의 임의의 (
X
{\displaystyle X}
속에서 취한) 극한은
S
{\displaystyle S}
의 원소이다. 즉, 그물 극한은
S
{\displaystyle S}
를 벗어나지 않는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의 부분 집합
S
⊆
X
{\displaystyle S\subseteq X}
및 점
x
∈
X
{\displaystyle x\in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x
∈
cl
(
S
)
{\displaystyle x\in \operatorname {cl} (S)}
. 여기서
cl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
은 폐포 이다.
x
{\displaystyle x}
로 수렴하는
S
{\displaystyle S}
속의 그물이 존재한다.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에 따르면,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콤팩트 공간 이다.
X
{\displaystyle X}
속의 임의의 그물은 수렴하는 부분 그물을 갖는다.
일반적인 위상 공간 에서 임의의 그물은 극한을 0개·1개·2개 이상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하우스도르프 공간 속의 그물의 극한은 0개 또는 1개이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속의 그물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이 극한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모든 부분그물이 극한을 갖는 것이다. 이때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의 모든 극한은 모든 부분그물의 극한이 된다.
곱위상 이 주어진 곱공간 의 그물이 극한을 가질 필요충분조건은 그물의 각 사영(projection, 정확히 말해 어떤 공간들의 곱공간에서 원래의 공간 중 하나로 내리는 사영사상과 원래 그물의 합성함수 로 이루어지는 그물)이 극한을 갖는 것이다. 이 성질과 볼차노-바이어슈트라스 정리 를 이용하면 티호노프 정리 를 쉽게 증명할 수 있다.
위상 공간
X
{\displaystyle X}
속의 그물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및 점
y
∈
X
{\displaystyle y\in X}
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y
{\displaystyle y}
가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의 집적점 이라고 한다.
y
{\displaystyle y}
의 임의의 근방
U
∋
y
{\displaystyle U\ni y}
에 대하여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가 빈번히
U
{\displaystyle U}
에 속한다.
그물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의 집적점 의 집합은
(
x
i
)
i
∈
I
{\displaystyle (x_{i})_{i\in I}}
의 부분그물의 극한들을 모두 모은 집합과 같다.
미국 수학자 일라이어킴 헤이스팅스 무어 와 허먼 라일 스미스 (영어 : Herman Lyle Smith )가 1922년 처음 도입하였다.[ 4]
유사한 목적으로 개발된 개념으로 필터 가 있다.
↑ Aliprantis, Charalambos D.; Border, Kim C. (2006). Infinite dimensional analysis: A hitchhiker's guide (Third ed.). Berlin: Springer. pp. xxii+703 pp.. ISBN 978-3-540-32696-0 , 3-540-32696-0. MR 2378491 .
↑ Megginson, Robert E. (1998). An Introduction to Banach Space Theory .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193 . New York: Springer. ISBN 0-387-98431-3
↑ Beer, Gerald (1993). Topologies on closed and closed convex sets . Mathematics and its Applications 268. Dordrecht: Kluwer Academic Publishers Group. pp. xii+340. ISBN 0-7923-2531-1 . MR 1269778
↑ Moore, E. H. ; Smith, H. L. (1922). “A general theory of limits”. 《American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44 (2): 102–121. doi :10.2307/2370388 . JSTOR 237038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