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제비

꽃제비대한민국 내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후 ‘북한’)의 가난한 어린이들을 일컫는 말이다. 현재로서는 러시아어 ‘코체비예’(кочевье 유랑, 유목)나 ‘코체브니크’(кочевник 유목자, 방랑자)에서 유래했다는 의견이 유력하다고 알려져 있으나, 어원과 등장시기가 확실치는 않다. 우익 성향의 언론인들은 이 단어가 1985년 이후 경제난이 심화되면서 널리 사용되었고, 1990년대의 북한을 상징하는 단어가 됐다고 주장한다.[1][2] 하지만, 꽃제비 설은 일본인 언론인에 의해 처음으로 쓰여진 용어이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에서 실제로 쓰여지는 개념인지, 또한, 그 실체가 있는지에 대해 증명이 되지 않았기에 학술적으로 인정되는 개념은 아니다.

어원

[편집]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으나 명확한 근거가 제시되고 있지 않으며, 등장 시기도 불분명하다. 유력하다고 여겨지는 러시아어 어원설의 경우에도 현재 2001년 평양 문학예술종합출판사에서 출간한 장편소설 <열병광장>이 유일한 근거이다. 하지만 <열병광장>이 단순한 역사소설이라기 보다 김일성을 찬양하며 꽃제비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담고 있기 때문에 꽃제비에 대한 정확한 어원연구에 근거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존재한다.[3] 또한 꽃제비라는 단어의 등장시기를 1940년대로 보는 시각 또한 <열병광장>에 근거하고 있는데, 동시기 자료가 아니므로 정확한 근거로 보기 어려우며 꽃제비가 실질적으로 널리 사용된 것은 80년대 이후이기 때문에 모순된다는 의견도 있다.[4] 그 외 꽃제비의 어원에 대한 다른 설명으로는, 소매치기를 뜻하는 ‘잽이’ ‘잡이’에서 유래해 '제비'가 되었다는 설[5]과 먹을 것을 찾아 따뜻한 곳으로만 떠돌아다니는 부랑자를 철새에 비유해 '제비'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으며[6], ‘꽃’이란 접두어는 거지를 뜻하는 중국어 화쯔(花子)에서 따온 말이라는 설이 있다.[7]

소설

[편집]

대한민국의 김바다 작가가 쓴 '꽃제비'라는 책이 있다.[8]

소설에 등장한 ‘꽃제비’

[편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편집]

어원과 관련해 2001년 3월에 발표된 북한의 장편소설 〈열병광장〉에 설명이 있다. 이 소설은 김일성의 일대기를 다룬 총서 《불멸의 력사》 시리즈의 하나로, 광복 후 북한 정권 수립과정을 다루고 있다. 이 소설은 넝마 같은 옷을 입고 시장 바닥을 헤매는 집 없는 아이들을 꽃제비로 부르고 있다.

해외에서

[편집]

LA타임즈의 바바라 데믹 기자는 청진 출신 탈북자 여섯 명을 취재해 '세상에 부럼 없어라(Nothing to envy)'라는 책을 펴낸 바 있다. 책 제목은 북한 사람은 누구나 외워 부르도록 되어 있는 가요 제목이기도 하다. 그 중 한 부분을 발췌하면 다음과 같다.

  • 준상의 눈에 꽃제비 아이들이 들어왔다. 노래를 부르며 재주를 부리고 있었다. (중략) 아이의 마르고 가냘픈 몸은 성인용 공장 작업복 속에 푹 잠겨 있었다. (중략) 아이는 비에 쫄딱 젖은 채 땟국물을 흘리며 굶주린 배를 움켜쥐고 노래를 부르고 있었다.[9]

각주

[편집]
  1. 문화일보, 오피니언 꽃제비 여성[1]
  2. BookDB 칼럼, 꽃제비란 존재가 우리에게 알려지기까지[2]
  3. BookDB 칼럼, 꽃제비란 존재가 우리에게 알려지기까지[3]
  4. BookDB 칼럼, 꽃제비란 존재가 우리에게 알려지기까지[4]
  5. NK chosun, ‘꽃제비’ 북한 장편소설에 등장 [5] Archived 2015년 1월 14일 - 웨이백 머신
  6. 문화일보, 오피니언 꽃제비 여성 [6]
  7. 문화일보, 오피니언 꽃제비 여성 [7]
  8. https://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9788939524903
  9. <망치로 정치하기> 박성현 저, 38쪽

같이 보기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