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학자 정보
| |
출생 | 1924년![]() |
사망 | 1967년![]() |
시대 | 20세기 철학 |
지역 | 서양철학 |
노우드 러셀 핸슨(영어: Norwood Russell Hanson, 1924년 ~ 1967년)은 미국의 과학철학자이다. 핸슨은 관측 및 관찰이 특정 학설에 준거해 있으며 관측 언어와 이론 언어가 깊이 뒤섞여 있다는 주장의 선구자이다. 핸슨은 과학적 발견의 논리의 이해와 발전에 많은 관심을 가졌으며, 과학적 발견이 일어나는 것에 대한 논리적 설명을 구축하려고 했다.
핸슨은 원래 트럼펫 연주자였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면서 미국 해안경비대에 입대, 나중에 미국 해병대로 옮겨 가 항공모함 USS 프랭클린의 제452 해병대 전투기 중대에서 근무했다. 1945년 3월 19일에 USS 프랭클린 호가 폭격당해 거의 파괴되자 핸슨은 콜세어를 몰고 거의 마지막에 빠져나왔다.
2,000 시간 이상을 비행한 뒤 핸슨은 민간인 생활로 돌아갔으나, 음악을 다시 하지 않고 철학자로서 새 삶을 시작했다. 핸슨은 시카고 대학교, 콜롬비아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1957년에 인디애나 대학교 과학사과학철학과 교수가 되었으며,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학회원이 되었다. 1963년에 핸슨은 예일 대학교로 가서 교수가 되었는데, 이때도 취미삼아 비행기를 몰고 다녔다. 베어캣 전투기를 몰고 다니는 핸슨의 기행에 학생들은 그를 ‘비행 교수’(The Flying Professor)라고 불렀다.
1967년에 베어캣 전투기를 몰고 뉴욕 상공을 비행하던 핸슨은 안개로 인해 뉴욕주 이사카에 추락하여 사망하였다.
핸슨의 개념은 토머스 쿤이 《과학혁명의 구조》에서 핸슨을 인용하게 되면서 그의 생각도 학계에 알려지게 된다.[1]
그러나 핸슨은 쿤의 패러다임 전환 모형이 개념적으로 순환적이어서 반증이 불가능하다고 비판하였다.[2]
이후 로버트 노직(Robert Nozick)이 1974년 《무정부, 국가, 그리고 유토피아》(Anarchy, State, and Utopia)에서 하이젠베르크와 핸슨을 인용하면서 이를 인식론적 바탕으로 하여 책을 저술하게 된다.[3]
![]() |
이 글은 철학자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