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라리횬(일본어: ぬらりひょん)은 일본의 요괴 또는 모노노케이다.[1]
어디 한 곳에 매여있지 않는 요괴로 알려져 있다.[2] 본고장은 오카야마현과 아키타현으로, 오카야마에서는 허깨비의 일종으로, 아키타에서는 백귀야행을 인솔하는 요괴의 총대장으로 전승되고 있다.[1]
오카야마현에서 전승되는 누라리횬은 우미보즈와 유사한 것으로서,[3] 세토 내해에 떠 있는 사람 머리통 크기의 공 모양 요괴이다. 잡으려고 하면 가라앉았다가 떴다가를 반복하면서 사람을 놀리려고 한다.[4] "누라리"는 손에서 미끄덩 빠져나가는 모습을 나타낸 말이고, "횬"은 물속에서 불쑥 떠오르는 모습을 나타낸 말이다. 이것을 반복하기에 누라리횬이라고 한다.[1] 작은부레관해파리나 문어해파리 류의 대형 해파리나[4] 문어 따위를 요괴로 보아 만들어진 전승으로 보이며,[1] 후술할 노인 모습의 "누라리횬"과는 별개의 요괴인 것으로 생각된다.[5]
아키타현의 전승은 에도 시대의 박물학자인 스가에 마스미가 쓴 『관강 마스미 유람기』에 실려 있다.[1][6]
우키요조시의 하나인 《호색패독산》에 묘사된 누리리횬은 다음과 같다.[1]
라고 하여 눈코입이 없는 놋페라보 같은 모노노케로 당대 사람들에게 이해되고 있었다.[1] 《바케모노즈쿠시》, 《백귀도권》 등의 고전 요괴도첩에는 특징적인 모양을 한 대머리에 고급스러운 옷 또는 승복 차림을 한 노인으로 그려졌다. 해설이 전혀 없긱 때문에 어떤 요괴를 의도하고 그려진 것인지는 불명이지만, 이름의 "누라리"는 미끌미끌한 모양, "횬"은 기묘한 것이나 뜻밖의 모양을 의미하므로, "누라리횬"이라는 이름은 이리저리 종잡을 수 없는 요괴라는 것을 의미한다.[4]
토리야마 세키엔은 《화도 백귀야행》의 〈풍 전편〉에서 누라리횬을 그리기는 했지만, 이 작품은 그림으로 모든 것을 느낀다는 의도 하에 아무것도 기록되어 있지 않다. 옆에 가마가 한 대 그려져 있기는 한데 이것은 가마에서 내리는 것을 "누라링"이라고 했기에 모노노케의 이름과 동작을 연결시키려고 그려넣은 것으로 보인다.[1] 또는 유곽을 출입하는 난봉꾼을 의도하고 그렸다는 설도 있다.[4]
일반적으로 "누라리횬"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화도 백귀야행》에는 "누우리횬"이라고 되어 있다.[3] 이것은 "누라리횬"의 오기라고 보지만,[7] 어떤 의미가 있어서 의도적으로 이름을 바꿔 적었다는 설도 존재한다.[8]。
문학연구자 시무라 아리히로(志村有弘)는 누라리횬에 관한 정보가 본래 전승에서 멀어져 인위적으로 왜곡되고 있다고 말한다.[1] 그는 최근의 요괴 관련 문헌에서 묘사되는 누라리횬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꼽았다.
이 설의 원전은 사토 아리후미의 저서 《제일 상세 일본 요괴 도감》의 "연말 바쁜 집에 함부로 들어앉아 주저앉는다"는 내용이다.[4] 야마다 노리오의 저서 《괴물 문고》에 따르면 "와카야마현의 산중에 사는 요괴로 산골의 바쁜 해질녘에 인가에 나타난다"고 한다.[4]
또 총대장이라는 설은 후지사와 모리히코의 저서 《요괴화담 전집 일본편 상》에서 "괴물들의 두목"이라고 한 것이 유래로,[3] 이후 《게게게의 기타로》에서 주인공 기타로의 숙적으로 등장하여 총대장 이미지가 유명해지게 되었다.[9][8]
이상의 문제에 대해서 교고쿠 나츠히코는 현재의 형태로 요괴로서 기능하고 있으니 문제 없다,[10] 요괴를 살아있는 문화로 파악하면 시대에 맞춰서 변화하는 것일 뿐 상관 없다는 의견을 밝혔다.[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