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금나무

능금나무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장미목
과: 장미과
속: 사과나무속
종: 능금나무
학명
Malus asiatica
Nakai (1915)

학명이명
이명 목록[1]
  • Malus domestica var. asiatica (Nakai) Ponomar.
  • Malus domestica var. rinkii (Koidz.) Ohle
  • Malus dulcissima var. asiatica (Nakai) Koidz.
  • Malus dulcissima var. rinkii (Koidz.) Koidz.
  • Malus matsumurae Koidz.
  • Malus prunifolia var. rinkii (Koidz.) Rehder
  • Malus pumila var. rinkii Koidz.
  • Pyrus matsumurae (Koidz.) Cardot
  • Pyrus prunifolia var. rinkii (Koidz.) L.H.Bailey
  • Pyrus ringo (Siebold) Wenz.

능금나무(학명: Malus asiatica 말루스 아시아티카[*], 영어: Chinese pearleaf crabapple)는 장미과과일 나무이다. 한국에 자생하는 야생 사과나무로, 열매는 능금이다.[2]

어원

[편집]

능금은 사과 또는 능금을 뜻하는 중국어 ‘임금(林檎)’에서 비롯했다. 고려를 기록한 《계림유사》(12세기)에 임금(林檎)이란 표현이 등장하며,[3]훈몽자회》(1527)에는 ‘니ᇰ금’이라는 표기가 수록되어 있다.[4] ‘사과’를 뜻하는 일본어 ‘링고(林檎, りんご)’에도 대응한다. 19세기까지는 능금나무와 사과나무(Malus domestica)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크기 등의 차이로만 구분해서 불렀으나, 20세기 초 능금나무가 다른 종으로 분류된 뒤에 ‘능금’이라는 단어는 Malus asiatica를 부르는 말로 정착하였다.

분포

[편집]

한국중국이 원산지이다.[2] 대한민국의 능금나무 분포지는 서울(노원구, 서초구, 중구), 경기도(부천), 강원특별자치도(양양, 평창), 대구(동구, 북구, 수성구), 경상북도(울릉), 경상남도(밀양시, 창원시)이다.[2]

특징

[편집]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키는 10m 정도로 자란다.[2]

줄기는 곧게 서며, 원뿔모양의 수형을 이룬다.[2] 가지는 홍갈색이고, 일년생 가지에 털이 빽빽히 난다.[2]

은 어긋나기한다.[5] 잎 모양은 난형(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길이 5~11cm, 폭 4.5~5cm 정도이다.[2] 잎끝은 첨두(뾰족끝)이며, 잎밑은 예저(뾰족밑) 또는 원저(둥근밑)이고, 잎가장자리에는 잔톱니가 있다.[5] 잎표면에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뒷면에는 솜털이 있다.[2] 잎자루는 길이 1~4cm 정도이며, 털이 있다.[2]

은 암수한그루로, 분홍색 꽃 4~7개가 5월에 짧은 가지에 산형(우산모양)으로 핀다.[2] 꽃받침조각은 뒤로 젖혀지며, 광피침형(넓은 바소모양)으로 길이는 6~9mm 정도이며, 양면에 융털이 있다.[2] 꽃자루는 길이 1.8~2.8cm 정도이며 털이 있고, 꽃부리는 지름 3~4cm이며 연한 홍색을 띤다.[2] 꽃받침통은 종형(종모양)이며 털이 있고 길이는 4mm이다.[2] 꽃잎은 연한 홍색이고 타원형 또는 도란상(거꿀달걀모양) 타원형으로, 밑부분이 좁으며 길이는 13~16mm이다.[2] 수술은 길이 5~10mm이고, 암술대는 5개로, 밑부분이 합쳐지며 털이 있다.[2]

열매인 능금은 지름 4~5.5cm로, 10월에 황홍색으로 익으며 겉에 흰가루가 덮여 있다.[5] 꽃받침의 기부가 혹처럼 부푼 것이 사과와 다르다.[5]

재배

[편집]
능금 열매.

한국중국에서 과수로 재배한다.[5][6]

능금나무는 내한성이 강하여 전국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양수로, 화강암계, 화강편마암계, 변성퇴적암계, 경상계 등의 토질을 선호하며, 내건성이 약하나 공해에는 강하다.[2]

봄에 를 심기도 하지만 접붙이기하는 경우가 더 많은데, 대목으로는 아그배나무야광나무 등이 쓰인다.[2]

이용

[편집]

능금나무는 정원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 원예 식물이다.[2] 방향성 나무이므로 향료를 뽑아 화장품의 원료로 쓰기도 한다.[2]

열매인 능금은 단맛과 신맛이 어우러진 과일로, 날것으로 먹기도 하고, 이나 주스를 만들어 먹거나 제과에 쓰기도 한다.[2] 한의학에서 열매는 임금(林檎), 뿌리는 임금근(林檎根), 잎은 화홍엽(花紅葉)이라 부르며 약재로 쓴다.[2]

각주

[편집]
  1. Malus asiatica Nakai”. 《The Plant List》 (영어). 2011년 10월 18일. 2019년 2월 21일에 확인함. 
  2. “능금나무 Malus asiatica Nakai”.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국립수목원. 2019년 2월 21일에 확인함. 
  3. 권영재 (2018년 10월 29일). “[권영재의 대구음악유사]능금노래”. 《매일신문. 2019년 2월 21일에 확인함. 
  4. 檎 니ᇰ그ᇝ 금, s:훈몽자회/菓實
  5.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생물II·식물·관찰 > 식물의 계통과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 식물 > 장미과 > 능금나무〉
  6. Malus ×asiatica Nakai”. 《GRIN-Global Web v 1.10.3.6》 (영어). 미국 농무부. 2017년 3월 13일. 2019년 2월 21일에 확인함.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