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Utricularia warburgii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
(미분류): | 국화군 | |
목: | 꿀풀목 | |
과: | 통발과 | |
속: | 통발속 | |
아속: | 비발바리아아속 | |
절: | 니그레스켄테스절 (Nigrescentes) (Oliv.) Komiya | |
모식종 | ||
U. caerulea | ||
L. | ||
학명이명 | ||
Pelidnia Barnhart | ||
종 | ||
|
니그레스켄테스절(Utricularia sect. Nigrescentes)은 통발과 통발속에 속하는 속씨식물 분류군의 하나이다. 3종의 육상 식충식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열대 아프리카와 아시아 그리고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발견된다. 1859년 올리버(Daniel Oliver)가 처음 유효한 분류군으로 이 절을 기재하고 출판했지만, 사용되지는 않았다. 그리고 1973년 코미야(Sadashi Komiya)에 의해 개정되었다. 1989년 테일러(Peter Taylor)가 통발속에 관한 분류학 논문에서 니그레스켄테스절을 통발아속(Utricularia)에 포함시켜 분류했다. 그리고 좀더 최근에는 계통 분류학 연구에 의해 니그레스켄테스절을 비발바리아아속(Bivalvaria)으로 옮겨 분류하고 있다.[1][2]
다음은 통발속에 속하는 다양한 하위 아속(Subgenus)과 절(Section)의 관계를 표시한 계통도이다. 2003년 존슨 등(Jobson et al.)과 2004년과 2006년의 뭘러 등(Müller et al.)의 연구를 기초로 요약한 내용이다.[3] 아라렐라절(Aranella)과 베시툴리나절(Vesiculina)은 다계통군으로 분지도에 별표(*)를 표시했다.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일부 단형절은 계통 분류학적 위치가 명확하지 않다. 통발아속(Utricularia)의 칸돌레아절(Candollea), 켈리돈절(Chelidon), 코리스토테테카이절(Choristothecae), 카미엔스키아절(Kamienskia), 마르티니아절(Martinia), 메이오눌라절(Meionula), 미라빌레스절(Mirabiles), 올리베리아절(Oliveria), 세티스카펠라절(Setiscapella), 스프루케아절(Sprucea), 스테예르마르키아절(Steyermarkia), 스틸로테카절(Stylotheca)과 비발바리아아속(Bivalvaria)의 미누타이절(Minutae), 폴리폼폴릭스아속(Polypompholyx)의 트리덴타타리아절(Tridentaria)은 아래에 포함되지 않았다.
통발속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