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도시대, 키타가와 우타마로 「대형거울 7인 화장 머리 고치기」
무로마치 시대 의 헤어스타일의 예 『역세여장고』 1847
메이지 시대 니혼가미 콘테스트 (1900년 )
메이지 시대 의 헤어스타일
메이지 중기, 니혼가미를 한 신부
신니혼가미 (1953년 )
니혼가미 (일본어 : 日本髪 にほんがみ[* ] )는 넓은 의미에서는 고분 시대 에서 쇼와 시대 전쟁 전 시기까지 일본 고유의 헤어스타일 이다, 좁은 의미에서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후기부터 에도 막부 말기 까지의 여자 머리 모양을 가리킨다. 이 문서에는 일본의 헤어스타일의 변천이나, 남성의 풍속을 알기 쉽게 나타내기 위해, 넓은 의미의 "일본에서 과거에 존재했던 헤어스타일"의 목록을 가리킨다.
남성의 머리는 바짝 묶고, 훗날의 이쵸마게 에 가까운 형태가 주류였다.
여성의 머리 모양은, 타테효고 立兵庫), 겐로쿠시마다(元禄島田), 겐로쿠카츠야마(元禄勝山) 등 가늘고 긴 머리 모양이 주류였으며, 츠도(髱) (니혼가미를 했을 때, 후두부 부분의 머리카락를 가리킴)도 카모메지리츠도(鴎髱), 세키레이타보(鶺鴒髱) 등 뒤로 내미는 형태가 유행하였다.
남성의 머리 모양은 혼다마게 가 대세가 되었다.
여성의 머리 모양은 토로빈 (灯籠鬢)이라고 하는 옆으로 돌출되어, 비친 느낌의 빈(鬢)이 주류를 이루며, 틀어올린 머리도 시마다마게 (島田髷), 카츠야마 (勝山) 등 옆으로 넓고 큰 머리가 되는 반면, 츠도(髱) 쪽은 빈(鬢)의 돌출과 반비례하여 대체로 작은 부피가 되거나, 아예 없는 것이 되거나, 혹은 나중에는 아닌 아래로 부풀어 오르게 되어, 이때부터 누키에몬 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남성의 머리는 다시 이쵸마게 가 주류를 이루었고, 여성과 마찬가지로 빈(鬢)을 부풀린 두툼한 빈(鬢)이 되었고, 쵸닌의 경우는 후쿠로츠키 라는 아래를 부풀린 츠도(髱) 가 주류가 되었다 (단, 남성은 누키에몬 을 하지 않았다).
여성의 머리는 토로빈 (灯籠鬢)의 유행이 시들해졌지만, 타카시마다 (高島田), 츠부시시마다 (つぶし島田), 유이와타 (結綿), 모모와레 (桃割れ), 마루마게 (丸髷), 삿코 (先笄) 등 거의 현행의 머리 스타일이 이 시기에 정착했다. 츠도(髱) 는 공가 ㆍ다이묘 가에서는 시이타케빈이 주류를 이루었고, 일반 무가 ㆍ쵸닌 은 간토 에서는 아래로 부풀리는 모양, 간사이 에서는 조금만 둥글게 부풀리는 것이 주류가 되었다.
서양화의 영향으로, 남성들은 대부분 서양식 머리 모양이 등장하기 시작하면서, 절충이라 할 수 있는 소쿠하츠 (束髪), 야카이마키 (夜会巻き), 미미카쿠시 (耳隠し), 유쿠에후메이마게 (行方不明髷) 등 양복ㆍ일본식 머리 모양도 고안되었다.
203고지 마게는 러일전쟁 이후, 일본에서 유행한 머리 모양으로, 앞머리를 내는 동시에 정수리에 묶은 머리를 높게 정리했다. 당시 보급되기 시작하던 양장에도 맞는 헤어스타일로 탄생해 유행했다.
라지오마키 (ラヂオ巻き) 등 모던한 명칭의 서양식 머리도 생겨나, 전시 체제에 들어가기 전까지는 일본식 옷의 경우에 한해 종래의 니혼가미(와 시로누리의 두꺼운 화장)도 여전히 이어졌다.
니혼마게는 가부키 , 시대극 , 화류계 , 결혼 산업 이외에서는 대부분 쇠퇴했지만, 현재는 정월 등 나들이 옷의 경우에는 신니혼가미를 묶는 경우가 많다.
마에가미 (前髪)와 빈(鬢)은 앞으로 내밀었다. 츠도(髱) 는 아래로 내밀었다. 카모지 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무거워운 경향이 있다. 전체적으로 두껍다.
마에가미 (前髪)와 빈(鬢)은 앞으로 내밀지 않고, 뒤로 자연스럽게 흘러내리게 했다. 츠도(髱) 는둥글게 수납한다. 카모지 를 최소한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벼운 경향이 있다. 앞에서 보면 작고 둥그스름한 느낌이라 가련한 느낌이 든다.
※소녀 : 2차 성징 전, 묘령 : 2차 성징 후 미혼 여성, 기혼 : 18세 이상의 미혼을 포함하는 경우 있음
스베라카시 (垂髪) - 헤이안 시대 중기 ~ 무로마치 시대 / 공가 , 무가 → 현대 신부
사게가미 (下げ髪) - 에도 시대 중기 ~ 후기 / 다이묘 가 기혼자
키리카미 (切り髪) - 에도 시대 중기 ~ 후기 / 다이묘가 미망인
챠센마게 (茶筅髷) - 에도 시대 중기 ~ 후기 / 다이묘가 미망인
오스베라카시 (大垂髪) - 에도 시대 중기 ~ 현대 / 황족 , 공가 → 현대 신부
타테효고 (立兵庫) - 에도 시대 전기 / 유녀
토로빈 (灯籠鬢) 요코효고 (横兵庫) - 에도 시대 중기 / 유녀
다테효고 (伊達兵庫) - 에도 시대 후기 / 유녀
코훈시마다 (古墳島田) - 고훈 시대 / 무녀
겐로쿠시마다 (元禄島田) - 에도 시대 전기 / 유녀 → 쵸닌 묘령
하루노부후우시마다 (春信風島田) - 에도 시대 전기 / 유녀 → 쵸닌 묘령
토로빈 (灯籠鬢) 시마다마게 (島田髷) - 에도 시대 중기 / 유녀 → 쵸닌 묘령
츠부이치 (つぶいち) - 에도 시대 후기 / 공가 소녀 ~ 묘령
타카시마다 (高島田) - 에도 시대 후기 / 무가 소녀 ~ 묘령 → 현대 신부
츠부시시마다 (つぶし島田)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묘령 ~ 기혼 → 현대 에도 시대 게이샤
유이와타 (結綿)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소녀 ~ 묘령 → 현대 하레기
스이샤마게 (水車髷)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소녀 ~ 묘령 → 현대 마이코
이쵸쿠즈시 (銀杏崩し)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소녀 → 쵸닌 중년
코우가이와게 (笄髷) - 에도 시대 전기 / 유녀 → 쵸닌 기혼
토로빈 (灯籠鬢) 코우가이와게 (笄髷) - 에도 시대 중기 / 유녀 → 쵸닌 기혼
下げ下 - 에도 시대 후기 / 다이묘 내기혼 (来既婚)
카타하즈시 (片外し) - 에도 시대 후기 / 다이묘 내기혼 (来既婚)
삿코 (先笄)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기혼 → 현대 마이코
료와 (両輪)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기혼)
粋書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기혼 (교토 한정)
시마다쿠즈시 (島田崩し)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기혼
치고마게 (稚児髷) - 에도 시대 후기 / 무가 소녀 →쵸닌 소녀 → 현대 마츠리
이쵸마게 (銀杏髷)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소녀 → 현대 마츠리
이쵸가에시 (銀杏返し)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묘령 ~ 기혼
모모와레 (桃割れ)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소녀 → 현대 하레기
와레시노부 (割れしのぶ)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소녀 → 현대 마이코
와리카노코 (割り鹿の子)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기혼
토로빈 (灯籠鬢) 바이마게 (貝髷) - 에도 시대 중기 / 유녀
바이마게 (貝髷)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기혼
신분에 따른 머리 스타일의 차이
미즈라 (角髪) - 고훈 시대 ~ 헤이안 시대 / 황족, 공가 (나라 이후 소년)
칸무리시타노모토도리 (冠下の髻) - 나라 시대 ~ 에도 시대 후기 / 황족, 공가, 다이묘가
치고마게 (稚児髷) - 헤이안 시대 중기 ~ 에도 시대 후기 / 치고 @ 대규모 사원
챠센마게 (茶筅髷)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무장
이쵸마게 (銀杏髷) - 에도 시대 전기 / 무가, 쵸닌
혼다마게 (本多髷) - 에도 시대 중기 / 쵸닌
와카슈마게 (若衆髷) - 에도 시대 전기 / 쵸닌 소년
스미마에가미 (角前髪) - 에도 시대 후기 / 무가 소년
소우하츠 (総髪) - 에도 시대 후기 / 의사, 학자 등
오오이쵸 (大銀杏) - 에도 시대 후기 / 쵸닌, 스모선수
여관 헤어스타일의 한 예. 『역사여장고』에서
아마소키 (尼削ぎ) - 헤이안 시대 의 비구니나, 동녀의 머리 모양
오스베라카시 (大垂髪) - 헤이안 부터 근세에 걸친 귀족이나 다이묘가 등의 여성의 머리 모양
오스베라카시 (おすべらかし) - 근대부터 현대 황족 여성의 머리 모양
츠부이치 (つぶいち) - 시마다마게 의 일종. 막부 말기 부터 메이지 에 걸쳐 유행. 공가의 묘령의 딸이 한 머리 모양
치고마게 (稚児髷) - 막부 말기부터 메이지에 걸쳐 유행. 공가나 무가의 어린 딸의 머리 모양
히토츠모토도리 (一髻) - 나라 시대 부터 근세까지 이어진 남성 귀족의 머리 모양. 칸무리시타노모토도리 라고도 불렸다.
잇케이 (一髻) - 나라 시대 의 여성 귀족의 머리 모양. 중국풍의 묶음 머리. 상세한 것은 코우케이 에서.
후타케이 (双髻) - 나라 시대의 여성 귀족의 머리 모양. 계를 2개 만드는 것. 상세한 것은 코우케이 에서.
코우케이 (高髻) - 잇케이 중에서도 머리칼을 넣는 등의 상투를 높게 묶는 것.
미즈라 (角髪) - 고훈 시대 (나이 불문)부터 사용된 머리 모양. 나라 시대 이후에는 귀족의 자제의 머리 모양
타마무스비 (玉結び)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중류 부인 등이 한 머리 모양. 사게가미의 끝을 둥글게 묶은 것.
오사후네 (長船) - 에도 시대 후기 무가의 측실의 머리 모양
카타하즈시 (片外し) - 에도 시대 후기의 다이묘 가내의 여성 머리 모양
마루마게 (丸髷) - 에도 시대 전기부터 근대까지 대표적인 여자 머리 모양. 카츠야마마게라고도 한다. 무가의 정실이 많이 했다. 메이지 이후 일반화 되었다.
시마다마게 (島田髷) - 에도 시대부터 현재까지 남아있다. 원래는 와카슈마게였는데 무가의 여성을 중심으로 넓게 퍼져 쓰인 머리 모양이다
후키와 (吹輪) - 에도 시대 전기부터 등장한 다이묘가의 히메들의 머리 모양
챠센마게 (남성) (茶筅髷) - 주로 다이묘, 무가의 미망인의 머리 모양
챠센마게 (여성) (茶筅髷) - 아츠지모모야마 시대에 유행
오오이쵸 (大銀杏) - 시골 고위 무사풍의 이쵸마게. 현재는 세키토리 의 마게로 유명하다. 무가의 상투로써의 자세한 내용은 이쵸마게 에서.
細刷毛 - 작은 이쵸마게로, 무가와도 쵸닌과도 어울리지 않는 세련된 인상. 요리키 등이 즐겨 한 스타일. 자세한 내용은 이쵸마게 에서.
스미마에가미 (角前髪) - 원복을 앞둔 소년의 머리 모양
와카슈마게 (若衆髷) - 와카슈가 묶은 헤어스타일. 또한, 원복 전의 젊은이
쵼마게 (丁髷) - "시대극 남성의 머리 모양"이라고 하면 먼저 떠오르는 머리
토진마게 (唐人髷) - 막부 말기에서 메이지에 걸쳐 유행. 부유한 집안의 딸의 머리 모양
와리카노코 (割り鹿の子) - 치고마게 를 뒤로 눕힌 느낌의 멋과 가련을 겸비한 머리 모양. 대상인의 부인이 묶는 경우가 많았다
미츠와마게 (三輪髷) - 막부 말기 이후 대상인의 숨겨진 첩이 한 머리 모양. 마루마게 와 이쵸가에시 를 합성한 것. 무가의 오사후네 와 같다.
혼다마게 (本多髷) - 에도 시대 중기에 유행. 상가의 장남이 자주한 우아한 마게
코이쵸 (小銀杏) - 상인풍의 이쵸마게. 자세한 것은 이쵸마게 에서
케시보우즈 (芥子坊主) - 어린 소년, 소녀의 머리. 머리 (소녀는 눈썹도)를 깎고, 정수리나 앞머리만 남긴 것
이쵸마게 (소녀) (銀杏髷) - 머리카락이 길어질 때까지의 소녀의 머리 모양. 이 마게 사이는 눈썹을 깎는다
아타바코본 (おたばこぼん) - 막부 말기에서 메이지에 걸쳐 유행. 마게를 두개 만들고, 그 사이에 카노코를 씌운 간단한 머리 모양. 쵸닌의 어린 소녀가 묶었다.
모모와레 (桃割れ) - 막부 말기에서 다이쇼에 걸쳐 유행. 많은 쵸닌 딸들이 묶었다. 현대에는 성인식 등의 하레기에 맞추는 경우가 많다.
유이와타 (結綿) - 시마다의 변형. 막부 말기 무렵, 케이한을 중심으로 쵸닌의 딸이 묶었다. 현대에는 성인식 등 하레기에 맞추는 경우가 많다
오시토리 (おしどり) - 위의 유이와타에 아부라츠케의 하시를 놓은 것. 막부 말기 이후에 케이한의 소녀가 묶었다.
료와 (両輪) - 출산 후 여성의 머리 모양
야카이마키 (夜会巻き) - 메이지부터 정기적으로 유행. 부인의 머리 모양으로 선호되었다.
소쿠하츠 (束髪) - 메이지부터 정기적으로 유행. 부인의 머리 모양으로 선호되었다
미미카쿠시 (耳隠し) - 다이쇼에 대 유행. 타케히사 유메지 의 그림에서도 자주 볼 수 있다.
이쵸마게 (銀杏髷) - 마게사키를 펼진 에도 시대 쵸닌의 일반적인 상투
지렛타무스비 (じれった結び) - 에도 시대의 딸의 머리 모양. 목욕 후 등에 머리를 묶은 것 뿐
코훈시마다 (古墳島田) - 고훈 시대의 무녀의 머리 모양
토쿠토우 (禿頭) - 출가나 노인 등이 머리를 깎은 것
치고마게 (稚児髷) - 절에 맡겨진 귀족과 무가의 자제 등이 묶었다. 나중에 일반화 됨
소우하츠 (総髪) - 예로부터 존재했지만, 막부 말기에 일반적으로 유행. 앞머리를 뒤로 쓸어넘긴 장발로, 존황파 젊은이들이 좋아했다
유녀의 머리 모양
유녀의 머리 모양
카무로 (禿) - 단발 머리. 에도 시대 전기부터 유곽의 소녀 "카부로"의 머리 모양으로서 알려졌다
카무로시마다 (禿島田) - 가늘고 긴 타카시마다. 에도 시대 후기부터 유곽의 소녀 "카부로"의 머리 모양을로서 알려져 있다
카라와 (唐輪) - 에도 시대 전기 케이한에서 유행
타테효고 (立兵庫) - 에도 시대 전기 케이한을 중심으로 유행
요코효고 (横兵庫) - 타테효고의 파생. 오이란 (다유급 유녀)의 머리 모양으로 유명
카츠야마마게 (勝山髷) - 유녀 카츠야마 가 유행시킨 무가풍 마게
쿠루와츠부시 (くるわつぶし) - 츠부시시마다 의 일종. 중급 유녀가 묶은 머리 모양. 마게의 가로폭이 넓다.
이쵸가에시 (銀杏返し) - 막부 말기에서 메이지에 걸쳐 유행. 게이샤가 자주 한 머리 모양
쿠시마키 (櫛巻き) - 에도 시대 중기부터 쇼와까지 남은 간한한 마게. 주로 세련된 여성이 한 머리 모양
게이샤시마다 (芸者島田) - 에도 시대 게이샤 머리 모양. 츠부시시마다 의 일종으로 머리 장식은 최소한으로 한다
츄다카시마다 (中高島田) - 간사이 게이샤의 머리 모양. 약간 낮고 작은 타카시마다 가 된다
쿄후시마다 (京風島田) - 본래 교토 게이샤의 머리 모양. 현대에는 다석(茶席) 때에만 국한된다.
하케사키 (刷毛先) - 테코마이 의 머리모양. 매우 굵은 이쵸마게
와레시노부 (割れしのぶ) - 현대 젊은 마이코의 일반적인 머리 모양. 앞머리, 빈, 마게 (두정부를 좌우로 가른다), 츠토(후부)의 네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오후쿠 (おふく) - 와레시노부보다 연상의 언니 마이코의 머리 모양.
츄시마다 (中島田) - 얏코시마다와 쿄후시마다 의 중간. 미야코오도리 기간 중의 기온 갑부의 마이코의 머리 모양
카츠야마 (勝山髷) - 기온마츠리 기간 중의 언니 마이코의 머리 모양.
얏코시마다 (奴島田) - 쿠로몬츠키 를 입을 때의 언니 마이코의 머리 모양.
삿코 (先笄) - 마이코가 에리카에 (한에리 참조) 전 1~4주간 묶는 마게. 이 머리일 때는 반드시 오하구로 를 발라야 한다.
가쿠야이쵸 (楽屋銀杏) - 하와세, 마에와레라고도 불리는 마에가미를 세우지 않고, 중앙에서 나눈 머리 모양. 마게는 이쵸가에시 와 같다. 원래는 가부키 온나가타 의 일상 머리 모양. 현대에는 무용의 스오도리 에서 여성이 남자역을 할 때의 머리모양.
바이마게 (貝髷) - 고둥을 닮은 세로로 긴 마게. 온나다유 (토리오이 ) 등 예인 머리 모양.
바이쵸쵸 (貝蝶々) - 바이마게 와 이쵸가에시 를 합성한 머리모양. 텐신마게라고도 불린다. 위와 같은 예인 머리 모양.
센니치마게 (千日鬘) - 실제 머리 모양이 아닌, 연극 머리 모양으로, 도적 역 등이 묶는다. 낭인 등이 사카야키 를 계속 미룬 머리 모양.
마게 (髷) : 후두부의 머리를 묶어서 접은 것. 나중에는 그냥 묶은 것도 말한다.
빈 (鬢) - 여성이라면 측두부를 내민 부분. 남성이라면 뒤로 끌어당기겠지만, 머리 밑 처리에 무가와 쵸닌의 차이가 있었다.
타보 (髱) - 후두부의 머리칼을 뒤로 밀어낸 것. "츠토"라고도 한다. 위의 세가지에 마에가미를 합쳐 5개의 파츠가 여성의 머리 모양을 구성한다.
칸자시 (簪) - 머리칼에 꽂는 장신구
쿠시 (櫛) - 머리를 빗거나 장신구로도 사용
코가이 (笄) - 머리를 끌어 올리는 도구 겸 장신구
모토유이 (元結) - 머리를 묶는 끈. 예전에는 마로 된 끈이 많았지만, 에도 시대에는 봉서지, 기장지 등의 일본 종이의 코요리가 된다.
타케나가 (丈長) - 마게의 높이를 높여주는 부분에 감는 종이. 금과은이 많다.
테가라 (手絡) - 여자가 마게에 감는 천. 미혼 여성이라면 붉은 새끼사슴 시보리, 기혼이라면 엷은 남색 또는 연보랏빛의 치리멘 을 즐겨 이용한다.
카미아부라 (髪油) - 동백기름 등의 머리칼 정리 용품
아부라츠케 (油付け) - 빈츠케아부라로 평평하고 얇고 길게 곧힌 헤어피스. 마게 위에 이것을 붙히면 마게 이름이 바뀐다.
카미유이 (髪結い) - 에도 시대의 미용사. 기본적으로 남성은 이발점 에 다니고, 여성은 카미유이가 돌아다니며 받고 있었다.
토코야마 (床山) - 연극이나 영상 제작 현장 또는 스모 에서 니혼가미나 상투, 가발을 묶는 스탭
시대극 - 각종 니혼가미를 볼 수 있음
시대 행렬 - 마츠리 속에서 각종 니혼가미를 관찰, 촬영할 수 있다.
대중 연극 - 각종 니혼가미를 관찰할 수 있어 촬영 허가가 나오는 경우가 많다
시로우토 가부키 - 각종 니혼가미를 관찰할 수 있어 촬영할 수 있다
가부키 무용 - 각종 니혼가미를 관찰, 발표회에서는 촬영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