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Methyl (3Z)-3-{[(4-{methyl[(4-methylpiperazin-1-yl)acetyl]amino}phenyl)amino](phenyl)methylidene}-2-oxo-2,3-dihydro-1H-indole-6-carboxylat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656247-17-5 |
ATC 코드 | L01EX09 |
PubChem | 9809715 |
드러그뱅크 | DB09079 |
ChemSpider | 7985471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31H33N5O4 |
분자량 | ? |
유의어 | BIBF 1120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4.7% |
단백질 결합 | 97.8% |
동등생물의약품 | ? |
약물 대사 | 에스터화효소, 글루쿠론산화 |
생물학적 반감기 | 10~15시간 |
배출 | 93% 대변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D(오스트레일리아)[1] |
법적 상태 | |
투여 방법 | 경구 투여 |
닌테다닙(Nintedanib)은 오페브(Ofev)와 바르가테프(Vargatef)라는 특발성 폐 섬유증과 일부 비소세포 폐암(NSCLC) 치료에 사용하는 약물이다.[5] 2020년 3월에는 미국에서 진행성 표현형인 만성 섬유화 간질성 폐질환(ILD) 치료 목적으로도 사용 승인되었다.[6] 이는 시간이 지날수록 악화되기만 하는 해당 종류의 폐 섬유증에 대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허가한 최초의 치료제이다.[6]
흔한 부작용은 복통, 구토, 설사이다.[7] 닌테다닙은 소분자 티로신 인산화효소 억제제에 속하며, 억제하는 표적 분자는 혈관내피 성장인자 수용체(VEGFR),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수용체(FGFR),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 수용체(PDGFR)이다.[5]
베링거인겔하임에서 개발했으며, 특발성 폐 섬유증 치료 목적으로 2014년 미국에서 사용 허가를 받았다. 현재까지 특발성 폐 섬유증 치료제로 허가를 받은 약물은 닌테다닙과 피르페니돈뿐이다. 여러 연구에서 닌테다닙이 진행성 말기 폐 질환의 악화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