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색역(서울기관차사무소)의 2004호 기관차 | |
제작 및 운영 | |
---|---|
주 용도 | 본선, 소운전 및 입환 |
제작사 | EMD |
제작 연도 | (도입기준)1955년~1957년 |
생산량 | 41 |
도입단가 |
|
제원 | |
전장 | 13,414 mm |
전폭 | 3,100 mm |
전고 | 4,425 mm |
차량 중량 | 94.5 t |
대차간 거리 | 6,706 mm |
축중 | 23.5 t |
성능 | |
엔진 | EMD 8-567C |
차륜 배열 | Bo-Bo |
영업 최고 속도 | 105 km/h |
출력 | 800 hp |
구동 장치 | 디젤-전기식 |
제동 방식 | 공기제동 6BL |
2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대한민국 철도청에서 운행했던 소형 디젤 기관차로서, 대한민국에 도입된 최초의 디젤 기관차이다. 원 제작사는 EMD이며, EMD 측의 기종명은 SW8이다. 현재는 국내에 보존된 1량과 미국에 보존된 5량을 제외하고 모두 폐차되었다.
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 | |
지정번호 | 국가등록문화재 제416호 |
소재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범천동 |
제작시기 | 1951년 5월 |
비고 | 2008년 10월 17일 지정 |
2000호대의 원 모델은 미국 EMD사에서 제작한 입환용의 디젤 전기 기관차 SW1 계열의 파생형 차량인 SW8 모델이다. 800마력형 입환기로서, 원 제작사에서는 1950년부터 1954년까지 생산된 기종이었다. 대한민국에서의 SW8, 즉 2000호대는 1951년 4월-6월에 제작되어 미군이 사용하던 SW8 기관차 41량을, 1951년 7월 15일 한국 전쟁 당시 UN군이 군사수송 목적으로 양륙한 것이 운행의 시초이다. 이후 1955년 3월에 UN군으로부터 이 중 4량을 기증받아 공식적인 운행을 개시하였다.
1956년에 부산공작창 기관차공장 제천분공장(현 제천기관차사무소)을 창설하여 검수 운용을 시작하였다. 디젤 기관차의 투입은 뛰어난 등판능력 및 적은 매연, 운전의 편리함 및 운전실 환경의 쾌적함 등으로 높게 평가받았다. 이에 1957년 10월, 미 국제협력처 차관(ICA)으로 10량을 추가로 도입하여 본선 운행에 투입하였다.
이후 성능 개량이 이뤄지고 중량이 조정된 2100호대, 또 본선용의 중·대형 디젤 기관차들이 투입되면서 차츰 소운전 및 구내 입환 용도로 전용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대에 들어 차츰 폐차되어, 보존 처리중인 2001호 기관차를 제외하고 2003년까지 전 차량이 폐차되었다. 대한민국 최초로 운용된 디젤 기관차라는 데에 의의가 있다.
2000호대 디젤 기관차는 디젤-전기식의 동력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축당 중량이 크며 프레인 베어링을 유일하게 적용한 입환기이다. 주발전기로는 D15C형식을 사용하며 본선 운행 때 사용하는 운행스위치가 있고, 후방전이를 수동으로 하여야 하며, 특히 TM 고장시 한 대차를 차단할 수 있는 대차차단스위치와 기관냉각 팬을 벨트로 구동하는 방식이다. 공기 압축기는 WXE 형식으로 3개의 실린더가 공기를 압축하는 방식이며 총 용량은 분당 약 5,000리터를 압축할 수 있다.[1] 제동배율은 5.58이며 4개의 제동통수가 작동하는 방식이다.[2]
운전실은 차량 한쪽에 배치된 구조로, 차체의 기준면보다 한 단 높게 설치되어 있다. 단폐단 방면으로는 완전히 탁 트인 구조이며, 장폐단 방향으로는 엔진실이 일부 시야를 가리지만 전방 조망이 어느 정도 확보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입환용 차량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양 끝단 및 측면에 난간과 발판이 설치되어 있다. 초기 도입시에는 엔진실 상부에 미국식 증기 기관차와 유사한 경고용 종이 설치되어 있었으나, 사용 도중에 폐지되어 철거되었다.
사진으로 확인되는 2000호대 디젤 기관차의 도색은 크게 세 종류가 존재한다. 1955년 최초 도입시 1호 차량의 흑색 바탕에 당시 철도국 마크 및 "KNR" 레터링이 새겨진 도색, 1957년 이후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흑색 바탕에 주황색 횡선이 두 개 그어진 도색(일명 '호랑이 도색'), 그리고 90년대 이후 도입된 구 철도청 CI도색(녹색+백색)이 존재한다.
당시 이 차량은 대개 전 노선에 걸쳐 투입된 것으로 생각되나, 어느 노선의 어느 선구에 투입되었는지는 불명확하다. 다만, 차량의 배치가 제천인 것으로 미루어 충북선, 중앙선 등에 화물 및 여객 양용으로 초기에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경부선 구간에도 투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선 운행용으로는 이후 중형 및 대형 디젤기관차 도입으로 일찌감치 철수한 듯하며, 이후 동해, 제천, 청량리 등 주요 역에서 입환 및 소운전 용도로 전환되어 사용되었다.
1951년 한국 전쟁 중 UN군이 미국 내에서 미 육군이 사용하던 40량을 임시로 상륙시켜 운용한 것이 시초이다. 이 중 종전 이후 4량과 10량이 차례로 기증되었고, 나머지는 다시 미국으로 보내졌다. 전 차량이 퇴역하였으나 대한민국 내에서는 2001호 1량이 보존되고 있다.
차호 | 시리얼[3][4] | 도입 시기[5][6][7] | 운행 중단 시기[6] | 비고[8] |
---|---|---|---|---|
2001호 | 15006 | 1955년 3월 15일 (1951년 7월 15일) |
2003년 11월[9] | 구 2011호.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보존 중이다. 부산철도차량정비단에서 말끔히 고쳐서 까끔식 입환작업을 한다고 한다. 수색에서 입환 도중에 고장이 난 적도 있다. |
2002호 | 15026 | 1993년 | 구 2031호. 미국 미주리 교통박물관에 보존되었다. | |
2003호 | 15028 | 1997년 | 구 2033호. 2004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004호 | 15034 | 2003년 | 구 2039호. 2005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005호 | 15018 | 1957년 10월 | 1997년 | 구 2023호. |
2006호 | 15027 | 1997년 | 구 2032호. | |
2007호 | 14999 | 1997년 | 구 2004호. | |
2008호 | 14996 | 1997년 | 구 2001호. 미국 캘리포니아 에서 운행 중이거나 보존되었다. | |
2009호 | 15001 | 1997년 | 구 2006호. 2005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010호 | 14998 | 1997년 | 구 2003호. | |
2011호 | 15035 | 1997년 | 구 2040호. | |
2012호 | 15012 | 1997년 | 구 2017호. 2005년 고철 매각되었다. | |
2013호 | 15020 | 1997년 | 구 2025호. | |
2014호 | 15021 | 1997년 | 구 2026호. | |
2000호 | 14995 | 1951년 7월 15일 | 한국 전쟁 중 임시 운용됨. | 미국 복귀 이후 미공군 2000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3] |
2002호 | 14997 | |||
2005호 | 15000 | 미국 복귀 이후 RSCX의 133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 ||
2007호 | 15002 | 미국 복귀 이후 미공군 2007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 ||
2008호 | 15003 | |||
2009호 | 15004 | 미국 복귀 이후 미해병대 289538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 ||
2010호 | 15005 | |||
2012호 | 15007 | |||
2013호 | 15008 | |||
2014호 | 15009 | |||
2015호 | 15010 |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박물관에서 보존되었다.[10] | ||
2016호 | 15011 | |||
2018호 | 15013 | |||
2019호 | 15014 | 미국 복귀 이후 Acipco의 2019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현재 동태보존되어 앨라배마주의 박물관에서 이벤트용으로 사용중이다.[11] | ||
2020호 | 15015 | 미국 복귀 이후 RSSM의 2020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 ||
2021호 | 15016 | 미국 복귀 이후 미공군 2021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4] 미국 플로리다에서 보존되었다. | ||
2022호 | 15017 | 미국 복귀 이후 Acipco의 2022호 기관차로 전용되었다가, 다시 칼레라-셸비 철도의 2022호 기관차가 되었다.[4] 현재 동태보존되어 앨라배마주의 박물관에서 이벤트용으로 사용중이다.[11] | ||
2024호 | 15019 | |||
2027호 | 15022 | |||
2028호 | 15023 | 현재 사우스캐롤라이나주의 박물관에서 보존되었다.[10] | ||
2029호 | 15024 | |||
2030호 | 15025 | . 미국 캘리포니아 에서 운행 중이거나 보존되었다. | ||
2034호 | 15029 | 미국 복귀 이후 1987년 9월에 재생되었다. 현재 오클라호마주의 박물관에서 보존되었다.[12] | ||
2035호 | 15030 | |||
2036호 | 15031 | |||
2037호 | 15032 | |||
2038호 | 15033 | 미국 복귀 이후 TCRX의 52호 기관차로 전용되었으나 보존되었다.[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