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후어

데후어
qene drehu [ʍene ɖehu]
사용 국가 누벨칼레도니의 기 누벨칼레도니 (프랑스의 기 프랑스)
사용 지역 리푸섬
언어 인구 불명 비모어 화자 포함 13,000명으로 추정
언어 계통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오세아니아어군
   남오세아니아어군
    누벨칼레도니루아요테제도어군
     루아요테제도어군
      데후어
언어 부호
ISO 639-3 dhv 데후어

데후어(Drehu[1]/Dehu[2]) 또는 리푸어(Lifou[3]/Lifu[4])는 누벨칼레도니 루아요테 제도리푸섬에서 주로 사용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이다. 데후어는 약 12,000명이 유창하게 구사하며, 프랑스의 지역어 지위를 가지므로, 누벨칼레도니프랑스 본토의 학생들이 바칼로레아에서 고를 수 있는 선택 주제이다.[5] 또한 1973년부터 파리국립 동양어문화대(이날코)에서 데후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2000년부터는 누벨칼레도니대 Archived 2007년 10월 12일 - 웨이백 머신에서도 데후어를 가르친다. 현재 다른 카나크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데후어는 2007년에 공식 설립된 "카나크언어학술원"의 어문 규정을 따르고 있다.

데후어에는 "qene miny"라는 존대를 표현하는 사용역도 존재한다.[6] 예전에는 족장(joxu)을 상대할 때 이 언어로 말했다. 오늘날까지 이 언어를 알고 사용하는 사람은 매우 적다.

음운론

[편집]

모음

[편집]
전설 중설 후설
고모음 i iː u uː
중모음 e eː ø øː o oː
저모음 æ æː ɑ ɑː

자음

[편집]
양순음 순치음 치음 치경음 권설음 치경구개음 연구개음 성문음
파열음
파찰음
p (b) t d ʈ ɖ t͡ʃ (d͡ʒ) k ɡ
비음 m̥ m n̥ n ɲ̊ ɲ ŋ̊ ŋ
마찰음 f (v) θ ð s z x h
설측음 l̥ l
반모음 ʍ w

/b d͡ʒ v/차용어에서만 나타난다.

문자

[편집]

데후어는 1840년대에 폴리네시아인[7]런던선교사회 출신 잉글랜드인 선교사들이 원주민들의 도움을 받아 로마자로 처음 기록했다. 데후어 완역본 성경은 1890년에 출판되었다. 데후어 성경의 표기법은 (<d t>로 쓰는) 치음과 (<dr tr>로 쓰는) 치경/권설음을 구별하지 않았고, 이후에도 오랫동안 이 두 계열의 자음들은 똑같이 <d t>로 표기되었다. 새 표기법은 1970년대에 만들어졌다.

문법

[편집]

인칭대명사

[편집]

단수

  • Eni/ni : 나
  • Eö/ö : 너
  • Nyipë/nyipëti : 당신 (족장(joxu)이나 남성 연장자에 대한 공손한 지칭)
  • Nyipo/nyipot(i) : 당신 (여성 연장자에 대한 공손한 지칭)
  • Angeic(e) : 그
  • Nyidrë/nyidrët(i) : 당신 (족장(joxu)이나 남성 연장자에 대한 공손한 지칭)
  • Nyidro/nyidrot(i) : 당신 (여성 연장자에 대한 공손한 지칭)
  • Ej(e) : 그것

쌍수

  • Eaho/ho : 우리 둘 (청자 제외)
  • Easho/sho (easo/so) : 우리 둘 (청자 포함)
  • Epon(i)/pon(i) : 너희 둘
  • Eahlo : 그 둘
  • Lue ej(e) : 그것 둘

복수

  • Eahun(i)/hun(i) : 우리 (청자 제외)
  • Eashë/shë, easë/së : 우리 모두 (청자 포함)
  • Epun(i)/pun(i) : 너희
  • Angaatr(e) : 그들
  • Itre ej(e) : 그것들

각주

[편집]
  1. 자언어명 "qene drehu"에서 "qene"는 언어라는 뜻으로, 직역하면 "qe"는 '입'이라는 뜻이고 "ne"는 피소유물에 붙는 접사이다.
  2. 선교사 시기의 표기
  3. 프랑스어식
  4. 영어식
  5. 28개 (1999년 보고서 기준, 카나크언어학술원(Académie des langues kanak)에 따르면 40개) 카나크 언어들 중 데후어(리푸섬), 넹오네어(마레섬), 안지어어(와일루 일대), 파이칭어(푸앵디미에 일대), 항랑츠어(카날라와 티오 일대) 총 다섯 개 언어만이 이러한 지위를 가진다.
  6. "Langues et dialectes de l'Austro Mélanésie" (1946)에서 Maurice Leenhardt가 그러했듯, 학술원에서는 qene miny를 단순히 존대어가 아니라 독자적인 언어로 본다.
  7. 대부분 쿡 제도 출신

참고 문헌

[편집]
  • 《Notes Grammaticales sur la langue de Lifu (Loyaltys)》 (프랑스어). Paris. 1882. 
  • Ray, Sidney H. (Jul–Dec 1917). “The People and Language of Lifu, Loyalty Islands”. 《Journal of the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Royal Anthropological Institute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47: 239–322. doi:10.2307/2843343. JSTOR 2843343. 
  • Walsh, D. T. (1967). 《Dehu Grammar》. Canberra: Pacific Linguistics. 
  • Le drehu, langue de Lifou (Iles Loyauté): phonologie, morphologie, syntaxe. ISBN 2-85297-142-9
  • Maurice Lenormand, Dictionnaire de la langue de Lifou. Le Qene Drehu, 1999, Nouméa, Le Rocher-à-la-Voile, 533p
  • Tryon, Darrell T. English-Dehu Dictionary, Pacific Linguistics, 1971. ISBN 0-85883-059-0
  • Tryon, Darrell T. Dehu-English Dictionary, Pacific Linguistics,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