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별칭 | O Sol Nascente (떠오르는 태양) | ||
협회 | 동티모르 축구 협회 | ||
대륙 연맹 | AFC | ||
주장 | 필로메누 주니오르 | ||
최다 출전자 | 하무스 막산체스 닐루 소아레스 (18) | ||
최다 득점자 | 무힐루 데 알메이다 엔히크 크후즈 (3) | ||
홈 구장 | 동티모르 국립 경기장 | ||
FIFA 코드 | TLS | ||
| |||
첫 국제 경기 출전 | |||
![]() ![]() (태국 방콕; 2005년 8월 30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
![]()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2011년 11월 5일, 2011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2011년 11월 7일, 2011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
최다 점수차 패배 | |||
![]() ![]() (라오스 비엔티안; 2009년 12월 2일, 2009년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
아시안 게임 | |||
출전 횟수 | 2회 (2014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조별리그 | ||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 |||
출전 횟수 | 6회 (2009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6위 (2011년) | ||
아세안 U-23 챔피언십 | |||
출전 횟수 | 3회 (2005년에 처음 출전) | ||
최고 성적 | 4강 (2022년) |
동티모르 U-23 축구 국가대표팀은 동티모르를 대표하는 23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아시아 축구 최약체로 평가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하계 올림픽과 AFC U-23 아시안컵 본선 기록은 전무하다.
아시안 게임에는 2번(2014년, 2018년) 참가했지만 2번의 대회에서 단 1점의 승점도 획득하지 못한 채 통산 6전 전패, 5득점·28실점의 처참한 성적을 남기며 조별리그 탈락의 쓴 잔을 마셨다.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에는 6번 참가하여 6번의 대회 모두 조별리그에서 탈락했지만 그나마 2011년 대회에서 2승 3패·6위(B조 3위)를 기록하며 동티모르 축구 역사상 동남아시아 경기 대회 역대 최고 성적을 남겼고 이 과정에서 브루나이와 필리핀을 상대로 승리를 쟁취했다.
아세안 U-23 챔피언십에는 3번 참가하여 이 중 2022년 대회에서 2승 2무로 4강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며 성인대표팀과 U-23 대표팀을 통틀어 동남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 대회 역사상 첫 토너먼트 진출과 함께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1] | ||||||||
![]() |
예선 탈락 | |||||||
![]() |
예선 탈락 | |||||||
![]() |
예선 탈락 | |||||||
![]() |
예선 탈락 | |||||||
![]() |
예선 탈락 | |||||||
![]() |
예선 탈락 | |||||||
![]() |
? | |||||||
합계 | 0/4 | 0 | 0 | 0 | 0 | 0 | 0 |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2] | ||||||||
![]() |
예선 탈락 | |||||||
![]() |
예선 탈락 | |||||||
![]() |
예선 탈락 | |||||||
![]() |
예선 탈락 | |||||||
![]() |
? | |||||||
합계 | 0/4 | 0 | 0 | 0 | 0 | 0 | 0 |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
예선 탈락 | ||||||
![]() |
예선 탈락 | ||||||
![]() |
예선 탈락 | ||||||
![]() |
예선 탈락 | ||||||
합계 | 0/4 | 0 | 0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