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 태종
Lê Thái Tông 黎太宗 | |
---|---|
![]() | |
대월 황제 | |
재위 | 1433년 10월 20일 ~ 1442년 9월 7일 |
즉위식 | 투언티엔(順天) 6년 9월 8일 (1433년 10월 20일) |
전임 |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 |
후임 | 인종선황제(仁宗宣皇帝) |
후 레 왕조의 황태자 | |
재위 | 1429년 2월 9일 ~ 1433년 10월 20일 |
즉위식 | 투언티엔(順天) 2년 1월 6일 (1429년 2월 9일) |
후임 | 양산왕(諒山王) 레응이전(黎宜民) |
이름 | |
휘 | 레응우옌롱(Lê Nguyên Long/黎元龍/여원룡) |
이칭 | 레런(Lê Lân/黎麟/여린) |
별호 | 양군공(Lương Quận Công/梁郡公) 계림동주(Quế Lâm Động Chủ/桂林洞主) |
묘호 | 태종(Thái Tông/太宗) |
시호 | 계천체도현덕성공흠명문사영예인철소헌건중문황제 (Kế Thiên Thể Đạo Hiển Đức Thánh Công Khâm Minh Văn Tư Anh Duệ Nhân Triết Chiêu Hiến Kiến Trung Văn Hoàng Đế /繼天體道顯德聖功欽明文思英睿仁哲昭憲建中文皇帝) |
능호 | 우릉(Hựu Lăng/祐陵) |
연호 | 티에우빈(紹平) 1434년 ~ 1439년 다이바오(大寶) 1440년 ~ 1442년 |
신상정보 | |
출생일 | 명 영락(永樂) 21년 11월 20일 (1423년 12월 22일) |
사망일 | 다이바오(大寶) 3년 8월 4일 (1442년 9월 7일) (18세) |
왕조 | 후 레 왕조 |
부친 |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 |
모친 | 공자황태후(恭慈皇太后) |
배우자 | 선자황태후(宣慈皇太后) 광숙황태후(光叔皇太后) |
레 태종(베트남어: Lê Thái Tông / 黎太宗, 1423년 12월 22일(음력 11월 20일) ~ 1442년 9월 7일(음력 8월 4일))은 베트남 후 레 왕조의 제2대 황제(재위: 1433년 ~ 1442년)이다. 성명은 레응우옌롱(베트남어: Lê Nguyên Long / 黎元龍 여원룡)이며, 또 다른 이름은 레런(베트남어: Lê Lân / 黎麟 여린)이라고 한다. 레러이의 둘째 아들이다. 절일은 만수성절(萬壽聖節)이다.
1433년, 즉위 당시 나이가 어렸기 때문에 보정 대신 레삿(黎察)이 조정의 정사를 처리하였다. 다음 해인 1434년에 연호를 티에우빈으로 개원하였다.
1442년 7월, 지령현(至靈縣, 현재 찌린시)에서 군사를 사열 하였는데, 당시 응우옌짜이(阮廌)가 지령현에 은거하고 있었으므로 태종은 그를 찾아가 만나보았다. 이때 태종은 응우옌짜이를 모시고 있던 계집종(일설에는 첩) 응우옌티로(阮氏路)의 자색이 아름다운 것을 보고 강제로 그녀를 데려가 자신을 시봉하게 하였다. 태종의 행차가 가정현(嘉定縣, 현재 자빈현)에 이르렀는데, 갑자기 태종이 죽었다. 향년 18세였다. 조정에서는 응우옌티로가 태종을 시해하였다고 여겨 응우옌짜이를 체포한 뒤 죽이고 그의 삼족을 멸했다.
태종 |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7년 | 8년 | 9년 |
---|---|---|---|---|---|---|---|---|---|
서력 (西曆) |
1434년 | 1435년 | 1436년 | 1437년 | 1438년 | 1439년 | 1440년 | 1441년 | 1442년 |
간지 (干支) |
갑인(甲寅) | 을묘(乙卯) | 병진(丙辰) | 정사(丁巳) | 무오(戊午) | 기미(己未) | 경신(庚申) | 신유(辛酉) | 임술(壬戌) |
연호 (年號) |
소평(紹平) 원년 |
2년 | 3년 | 4년 | 5년 | 6년 | 대보(大寶) 원년 |
2년 | 3년 |
전 임 태조 |
제2대 베트남 후 레 왕조의 황제 1433년 ~ 1442년 |
후 임 인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