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지스틱 사상의 분기도
동역학계 이론 에서 로지스틱 사상 (영어 : logistic map )은 간단한 2차 다항식으로 주어지는 이산 시간 동역학계 이다. 이는 매개 변수의 값을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주기가 2배가 되는 분기 가 일어나는 주기배가 분기 들의 열을 보이며, 이들은 파이겐바움 상수 로 묘사되는 보편적인 성질을 보인다. 주기배가 분기들이 끝나는 값부터는 혼돈 현상이 나타난다.
임의의 실수 매개 변수
r
∈
R
{\displaystyle r\in \mathbb {R} }
에 대하여, 로지스틱 사상 은 다음과 같은 함수이다.
f
:
R
↦
R
{\displaystyle f\colon \mathbb {R} \mapsto \mathbb {R} }
f
:
x
↦
r
x
(
1
−
x
)
{\displaystyle f\colon x\mapsto rx(1-x)}
이는 다음과 같이 이산 시간 동역학계 로 생각할 수 있다.
x
n
+
1
=
f
(
x
n
)
{\displaystyle x_{n+1}=f(x_{n})}
로지스틱 사상은 로지스틱 방정식 을 이산화한 방정식이다. 이 경우,
x
n
{\displaystyle x_{n}}
은
n
{\displaystyle n}
번째 세대의 개체 수
N
n
{\displaystyle N_{n}}
와, 가능한 최대 개체 수
N
max
{\displaystyle N_{\max }}
의 비
x
n
=
N
n
/
N
max
∈
[
0
,
1
]
{\displaystyle x_{n}=N_{n}/N_{\max }\in [0,1]}
를 나타낸다. 로지스틱 사상에 따르면,
n
+
1
{\displaystyle n+1}
번째 세대의 인구는
n
{\displaystyle n}
번째 세대의 인구의 함수이며, 다음과 같은 성질들을 보인다.
만약 개체 수가 매우 작다면 (
0
≤
x
n
≪
1
{\displaystyle 0\leq x_{n}\ll 1}
), 개체 수는 매개 변수
r
{\displaystyle r}
에 따라 기하급수 적으로 증가하거나 (
r
>
1
{\displaystyle r>1}
) 감소한다 (
0
<
r
<
1
{\displaystyle 0<r<1}
).
만약 개체 수가 최댓값
x
=
1
{\displaystyle x=1}
에 매우 가깝다면, 개체 수는 과밀도로 인하여 급격히 감소한다.
즉, 로지스틱 사상에서는 개체의 수가
r
{\displaystyle r}
배로 늘어나지만, 그 가운데
(
N
max
−
N
)
/
N
max
)
{\displaystyle (N_{\max }-N)/N_{\max })}
는 과밀도로 사망하게 된다.
로지스틱 사상을 개체 수 모형으로 생각한다면, 초기 조건은
x
0
∈
[
0
,
1
]
{\displaystyle x_{0}\in [0,1]}
이며,
r
∈
[
0
,
4
]
{\displaystyle r\in [0,4]}
이어야 한다. 이를 벗어나면, 개체 수가 음수가 되는 등의 기현상이 발생한다.
r
{\displaystyle r}
에 따라 로지스틱 사상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보인다.
0
≤
r
≤
1
{\displaystyle 0\leq r\leq 1}
일 경우,
x
{\displaystyle x}
는 0으로 수렴한다.
1
≤
r
<
3
{\displaystyle 1\leq r<3}
일 경우,
x
{\displaystyle x}
는
1
−
1
/
r
{\displaystyle 1-1/r}
로 수렴하며, 수렴하는 속도는 선형이다. 이 가운데
r
=
2
{\displaystyle r=2}
인 경우는 해석적으로 풀 수 있다.
r
=
3
{\displaystyle r=3}
일 경우
x
{\displaystyle x}
는
1
−
1
/
3
{\displaystyle 1-1/3}
으로 수렴하지만, 수렴하는 속도는 매우 느리다.
3
<
r
<
1
+
6
{\displaystyle 3<r<1+{\sqrt {6}}}
일 경우, 거의 모든 초기 조건은 주기 2의 주기점 에 도달한다.
1
+
6
<
r
<
3.54409
{\displaystyle 1+{\sqrt {6}}<r<3.54409}
일 경우, 거의 모든 초기 조건은 주기 4의 주기점 에 도달한다.
3.54409
<
r
<
3.56995
{\displaystyle 3.54409<r<3.56995}
일 경우,
r
{\displaystyle r}
가 증가하면서 거의 모든 초기 조건은 주기 2n 의 주기점 에 도달한다. 주기는
r
{\displaystyle r}
가 증가하면서 두 배씩 증가(주기배가 분기 )하며, 주기가 일정한
r
{\displaystyle r}
의 구간 의 길이는 제1종 파이겐바움 상수
δ
≈
4.669201609
{\displaystyle \delta \approx 4.669201609}
의 역수로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한다.
3.56995
≤
r
<
4
{\displaystyle 3.56995\leq r<4}
일 경우, 대부분의
r
{\displaystyle r}
값들은 혼돈 을 보인다. 거의 모든 초기 조건은 무한한 주기를 가진다.
다만, 이 구간에서도 일부
r
{\displaystyle r}
값은 혼돈을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r
=
1
+
8
{\displaystyle r=1+{\sqrt {8}}}
부터 시작하는 작은 구간에서는 거의 모든 초기 조건은 주기 3의 주기점으로 수렴한다. (다만, 샤르코우스키 정리 에 따라 이 경우 모든 주기의 주기점이 존재한다.) 이보다
r
{\displaystyle r}
가 더 커지면 주기는 6, 12, 24 등으로 증가(주기배가 분기 )하여, 결국 다시 혼돈 현상을 보이게 된다.
r
=
4
{\displaystyle r=4}
인 경우는 혼돈 적이지만, 해석적으로 풀 수 있다.
r
>
4
{\displaystyle r>4}
일 경우, 거의 모든 초기 조건은
±
∞
{\displaystyle \pm \infty }
로 발산한다.
임의의
r
{\displaystyle r}
값에 대하여, 안정적인 주기적 궤도는 0개 또는 1개밖에 없다. 만약 안정적인 주기적 궤도가 존재한다면, 거의 모든 초기 조건은 이 궤도로 수렴한다. (일부 경우, 샤르코우스키 정리 에 따라서 다른 불안정한 주기적 궤도의 존재를 유추할 수 있다.)
로지스틱 사상은
r
≠
0
{\displaystyle r\neq 0}
일 경우 두 개의 고정점 을 가진다.
x
=
0
{\displaystyle x=0}
x
=
1
−
1
/
r
{\displaystyle x=1-1/r}
집단생태학적으로, 이는 멸종 상태이거나 평형 상태에 해당한다. 이 고정점은
r
{\displaystyle r}
의 값에 따라 안정할 수도, 불안정할 수도 있다.
로지스틱 사상은
a
∉
[
−
1
,
3
]
{\displaystyle a\not \in [-1,3]}
이면 다음과 같이 주기가 2인 주기적 궤도를 가진다.
x
=
1
2
r
(
1
+
r
±
r
2
−
2
r
−
3
)
{\displaystyle x={\frac {1}{2r}}\left(1+r\pm {\sqrt {r^{2}-2r-3}}\right)}
로지스틱 사상
x
n
+
1
=
r
x
n
(
1
−
x
n
)
{\displaystyle x_{n+1}=rx_{n}(1-x_{n})}
에서, 다음과 같은 치환을 가하자.
y
=
1
−
2
x
{\displaystyle y=1-2x}
그렇다면 로지스틱 사상은 다음과 같이 된다.
y
n
+
1
=
1
+
1
2
r
(
y
n
2
−
1
)
{\displaystyle y_{n+1}=1+{\frac {1}{2}}r(y_{n}^{2}-1)}
함수
F
{\displaystyle F}
가 다음 방정식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F
(
r
x
)
=
1
+
1
2
r
(
F
(
x
)
2
−
1
)
{\displaystyle F(rx)=1+{\frac {1}{2}}r(F(x)^{2}-1)}
그렇다면, 로지스틱 사상의 해석적 해는 다음과 같다.
y
n
=
F
(
r
n
x
)
{\displaystyle y_{n}=F(r^{n}x)}
x
n
=
1
2
(
1
−
F
(
r
n
θ
)
)
{\displaystyle x_{n}={\frac {1}{2}}\left(1-F(r^{n}\theta )\right)}
여기서
F
−
1
{\displaystyle F^{-1}}
는
F
{\displaystyle F}
의 역함수이며,
θ
{\displaystyle \theta }
는 초기 조건의 매개 변수이다. 따라서, 이러한 함수를 찾을 수 있다면 해당
r
{\displaystyle r}
에 대한 로지스틱 사상의 해석적 해를 적을 수 있다.
로지스틱 사상에서,
r
∈
{
−
2
,
2
,
4
}
{\displaystyle r\in \{-2,2,4\}}
인 경우는 이러한 꼴의 해석적 해가 가능하다.
r
=
4
{\displaystyle r=4}
인 경우, 해석적 해는 다음과 같다.
F
(
x
)
=
cos
(
x
)
{\displaystyle F(x)=\cos({\sqrt {x}})}
x
n
=
sin
2
(
2
n
θ
)
=
1
2
(
1
−
cos
(
2
n
+
1
θ
)
)
{\displaystyle x_{n}=\sin ^{2}(2^{n}\theta )={\frac {1}{2}}\left(1-\cos(2^{n+1}\theta )\right)}
이는 삼각 함수 의 두배각 공식 으로 쉽게 보일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θ
/
π
{\displaystyle \theta /\pi }
가 유리수 라면 주기적 궤도를 이루지만,
θ
/
π
{\displaystyle \theta /\pi }
가 무리수라면 이는 주기적 궤도에 수렴하지 않는다.
이 경우, 임의의 양의 주기에 대하여, 이를 최소 주기로 갖는 주기적 궤도가 존재한다. 양의 정수
n
{\displaystyle n}
에 대하여, 최소 주기가
n
{\displaystyle n}
인 주기적 궤도의 수는 다음과 같다.
2, 1, 2, 3, 6, 9, 18, 30, 56, 99, 186, 335, 630, 1161, … (OEIS 의 수열 A1037 )
즉, 두 개의 고정점 이 존재하며, 하나의 주기 3인 주기적 궤도가 존재한다. 이 경우 샤르코우스키 정리 에 의하여 나머지 궤도들의 존재를 알 수 있다. 이 모든 주기적 궤도들은 불안정하다.
r
=
2
{\displaystyle r=2}
인 경우, 해석적 해는 다음과 같다.
F
(
x
)
=
exp
(
x
)
{\displaystyle F(x)=\exp(x)}
x
n
=
1
2
(
1
−
exp
(
2
n
θ
)
)
{\displaystyle x_{n}={\frac {1}{2}}\left(1-\exp(2^{n}\theta )\right)}
r
=
−
2
{\displaystyle r=-2}
인 경우, 해석적 해는 다음과 같다.
F
(
x
)
=
2
cos
(
π
/
3
−
x
/
3
)
{\displaystyle F(x)=2\cos(\pi /3-x/{\sqrt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