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숨바와어군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하위 어군 가운데 말레이어군, 참어군, (자와어를 제외한) 자와와 소순다열도 서부의 언어들을 한데 묶는 가설상의 분류군이다(Adelaar 2005).[2][3] 만약 이 가설이 증명된다면,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안에서 오세아니아어군 다음으로 큰 분기군이 될 것이다. 그러나 말레이숨바와어군이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고, Blust (2010) 및 Smith (2017)에서는 이 가설을 기각한다.[4][5]
Adelaar (2005)에 따르면, 말레이숨바와어군은 다음과 같은 언어들로 구성된다.[2]
- 말레이숨바와어군
자와어는 제외되어 있는데, 이는 자와어와 발리사삭어군 사이의 연관성이 주로 '높은' 사용역에서만 나타나고, '낮은' 사용역을 가져다 비교하면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은 영어에서도 볼 수 있는데, 영어에서 '고급' 어휘는 프랑스어와 관련 있어 보이지만, 영어의 기본 구조를 통해서는 독일어나 네덜란드어와 더 가깝다는 사실이 증명되는 것과 비슷하다.
순다어는 람풍어와 음운 변화를 공유하는 것으로 보이나, 람풍어는 아델라르의 말레이숨바와어군에는 들어맞지 않는다.[6]
Larish (1999)[7]에서는 아래와 같이 모켄어와 모클렌어를 모클렌아체참말레이("MACM")라는 더 큰 어군의 일부로 분류한다. 그러나 Smith (2017: 459)[5][8]에서는 모클렌어군이 말레이폴리네시아조어에서 바로 갈라져 나왔다고 본다.
- 모클렌아체참말레이어군
- ↑ Hammarström, Harald; Forkel, Robert; Haspelmath, Martin; Bank, Sebastian, 편집. (2023). 〈Malayo-Sumbawan〉. 《Glottolog 4.8》. Jena, Germany: Max Planck Institute for the Science of Human History.
- ↑ 가 나 Adelaar, Alexander. 2005. Malayo-Sumbawan. Oceanic Linguistics, Vol. 44, No. 2 (Dec., 2005), pp. 357-388.
- ↑ K. Alexander Adelaar and Nikolaus Himmelmann, The Austronesian languages of Asia and Madagascar. Routledge, 2005
- ↑ Blust, Robert (2010). “The Greater North Borneo Hypothesis”. 《Oceanic Linguistics》 49 (1): 44–118. doi:10.1353/ol.0.0060. JSTOR 40783586.
- ↑ 가 나 Smith, Alexander D. (2017). “The Western Malayo-Polynesian Problem”. 《Oceanic Linguistics》 56 (2): 435–490. doi:10.1353/ol.2017.0021.
- ↑ Karl Andebeck, 2006. 'An initial reconstruction of Proto-Lampungic'
- ↑ Larish, Michael David. 1999. The Position of Moken and Moklen Within the Austronesian Language Famil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
- ↑ Smith, Alexander (2017a). The Languages of Borneo: A Comprehensive Classification.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wai‘i at Māno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