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닉 42(영어: Melnick 42, Mk 42)는 황새치자리의 타란툴라 성운에 위치한 거대한 청색초거성으로 크기는 태양의 21배에 불과하지만 47,300 K의 높은 온도로 인해 3,600,000 L☉의 광도를 가져 타란툴라 성운에서 가장 광도가 높은 별 중 하나다. 이 별은 중심핵에서 훨씬 바깥인 위치지만 R136 성단의 중심에서 2파섹도 안되는 거리에 위치한다.
멜닉 42는 원래 발견 당시 분광형 WN으로 분류되었으나 이후에는 O3 If로 분류되었고 빗금표 항성이 정의되며 분광형 O3 If*/WN6으로 분류되었으며 마지막으로 분광형 O2의 도입과 빗금표 항성 분류의 개선으로 인해 O2 If*로 분류되었다. 초거성광도계급으로 분류되지만 아직 중심핵에서 수소 연소 과정이 진행중인 주계열성이며 나이는 100만년 미만인 것으로 생각된다.[8]
↑ 가나다Doran, E. I.; Crowther, P. A.; De Koter, A.; Evans, C. J.; McEvoy, C.; Walborn, N. R.; Bastian, N.; Bestenlehner, J. M.; Gräfener, G.; Herrero, A.; Köhler, K.; Maíz Apellániz, J.; Najarro, F.; Puls, J.; Sana, H.; Schneider, F. R. N.; Taylor, W. D.; Van Loon, J. Th.; Vink, J. S. (2013). “The VLT-FLAMES Tarantula Survey. XI. A census of the hot luminous stars and their feedback in 30 Doradus”. 《Astronomy & Astrophysics》 558: A134. arXiv:1308.3412. Bibcode:2013A&A...558A.134D. doi:10.1051/0004-6361/201321824. S2CID118510909.
↑ 가나다라마Bestenlehner, J. M.; Gräfener, G.; Vink, J. S.; Najarro, F.; De Koter, A.; Sana, H.; Evans, C. J.; Crowther, P. A.; Hénault-Brunet, V.; Herrero, A.; Langer, N.; Schneider, F. R. N.; Simón-Díaz, S.; Taylor, W. D.; Walborn, N. R. (2014). “The VLT-FLAMES Tarantula Survey. XVII. Physical and wind properties of massive stars at the top of the main sequence”. 《Astronomy & Astrophysics》 570: A38. arXiv:1407.1837. Bibcode:2014A&A...570A..38B. doi:10.1051/0004-6361/201423643. S2CID118606369.
↑Schnurr, O.; Moffat, A. F. J.; St-Louis, N.; Morrell, N. I.; Guerrero, M. A. (2008). “A spectroscopic survey of WNL star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General properties and binary statu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89 (2): 806. arXiv:0806.2801. Bibcode:2008MNRAS.389..806S. doi:10.1111/j.1365-2966.2008.13584.x. S2CID6590534.
↑Hainich, R.; Rühling, U.; Todt, H.; Oskinova, L. M.; Liermann, A.; Gräfener, G.; Foellmi, C.; Schnurr, O.; Hamann, W. -R. (2014). “The Wolf-Rayet stars in the Large Magellanic Clou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WN class”. 《Astronomy & Astrophysics》 565: A27. arXiv:1401.5474v1. Bibcode:2014A&A...565A..27H. doi:10.1051/0004-6361/201322696. S2CID55123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