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모바일 헬스는 주로 선진국을 대상으로 적용되었으나, 개발도상국에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7]
결과적으로 모바일 헬스는 개발도상국의 국민들에게 건강 정보에 대해 더 많은 접근을 제공하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하여 보건 시스템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건강 불평등을 완화하는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8]
모바일 헬스케어는 건강 관리 및 건강 관련 정보에 대하여 접근성을 증가시키는 등 다양한 목표로 운영된다. 특히 지리적, 물리적, 사회적 요인 등으로 발생한 건강소외계층에 대하여 건강문해력을 증가시키고, 질병의 적절한 진단 및 추적관찰, 정확하고 실행이 용이하며 시기적절한 공중보건 및 건강 정보를 공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4] 동시에 의료 종사자를 위한 지속적인 보건 교육 및 임상 훈련에 대한 접근성을 확대하고자 한다.[9]
전 세계 디지털 헬스 시장의 전체 규모는 2018년 430억 파운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0]
전세계 모바일 헬스 앱 시장은 2018년 기준으로 283억 달러의 규모를 가진 것으로 추산되며,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29.3%의 연평균 성장률(CAGR)을 보이며 2023년에는 1023.5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11] 또한 전세계의 모바일 의료기기 시장은 2015년의 3710억 달러 규모에서 5%의 연평균 성장률(CAGR)과 함께 2030년에는 7950억 달러 규모에 이르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12] 원격 모니터링 의료장치를 사용하는 인원은 2016년 기준 710만 명에 달하며, 2021년에는 5020만 명이 사용할 것으로 예측된다.[13] 원격 모니터링을 통하여 환자들은 불필요하게 병원 및 의원을 방문하는 횟수가 줄어들게 되며, 2025년까지 총 190억 달러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12]
↑Cipresso, P.; Serino S.; Villani D.; Repetto C.; Selitti L.; Albani G.; Mauro A.; Gaggioli A.; Riva G. (2012). “Is your phone so smart to affect your states? An exploratory study based on psychophysiological measures”. 《Neurocomputing》 84: 23–30. doi:10.1016/j.neucom.2011.12.027.
↑
Pimmer, Christoph; Tulenko, Kate (2016). “The convergence of mobile and social media: Affordances and constraints of mobile networked communication for health worker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Mobile Media & Communication》 4 (2): 252–269. doi:10.1177/2050157915622657.
↑Fagerberg, Johan; 외. “mHealth and Home Monitoring”(PDF). 《Berg Insight》. 2019년 8월 19일에 원본 문서(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9월 30일에 확인함. CS1 관리 - et al.의 직접적인 사용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