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 |||
| |||
약칭 | DP (영문) | ||
---|---|---|---|
상징색 | 초록 | ||
이념 | 자유주의 사회자유주의 사회보수주의 | ||
스펙트럼 | 중도 (중도우파~중도좌파) | ||
당직자
| |||
대표 | 손학규 | ||
최고위원 | 김민석 송영길 안희정 박주선 김진표 | ||
원내대표 | 김진표 | ||
역사
| |||
창당 | 2008년 2월 17일 | ||
해산 | 2011년 12월 23일 | ||
선행조직 | 대통합민주신당 민주당 | ||
통합된 정당 | 민주통합당 | ||
이전 당명 | 통합민주당 (2008년 2월 17일 ~ 2008년 7월 6일) | ||
내부 조직
| |||
중앙당사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16 | ||
|
민주당(民主黨, Democratic Party)은 대한민국의 민주당계 정당이었다. 2008년 2월 17일 대통합민주신당이 당명을 통합민주당이라는 당명으로 변경했고, 2년 후 2010년 10월 3일 강령을 개정하면서 "민주·자유·복지·평화·환경을 당의 기본가치로 삼아 중산층과 서민의 권익을 적극 대변하는 진정한 '중산층·서민'의 정당"임을 선언하고, "보편적 복지를 통해 갈수록 심화되는 경제사회적 양극화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무상급식·무상의료·무상보육+대학 반값 등록금'을 내용으로 하는 무상복지 3+1 정책을 발표했다.
2011년 12월 16일 민주당은 통합 수임기관 합동회의에서 당명을 민주통합당으로 최종 확정하며 통합 의결을 마치고,[1] 2011년 12월 2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최종 등록되었다.
연도 | 선거 | 지역구 | 비례대표 | 정원 | |||||||||
---|---|---|---|---|---|---|---|---|---|---|---|---|---|
당선 | 당선비율 | 당선 | 득표율 | 당선 | 당선비율 | ||||||||
2008년 | 제18대 | 66/245 |
|
15/54 |
|
81/299 |
|
연도 | 선거 | 광역단체장 | 기초단체장 | 광역의원 | 기초의원 | ||||||||||||
---|---|---|---|---|---|---|---|---|---|---|---|---|---|---|---|---|---|
당선 | 당선비율 | 당선 | 당선비율 | 당선 | 당선비율 | 당선 | 당선비율 | ||||||||||
2010년 | 5회 | 7/16 |
|
92/228 |
|
362/762 |
|
1025/2888 |
|
대수 | 역대 대표 | 직함 | 임기 | 비고 |
---|---|---|---|---|
1 | 손학규 | 공동대표최고위원 | 2008년 2월 17일 ~ 2008년 7월 6일 | 대통합민주신당 대표 |
1 | 박상천 | 공동대표최고위원 | 2008년 2월 17일 ~ 2008년 7월 6일 | 민주당 대표 |
2 | 정세균 | 대표최고위원 | 2008년 7월 7일 ~ 2010년 8월 2일 | 7.28 재보선 패배로 사퇴 |
(임시) | 박지원 | 비상대책위원장 | 2010년 8월 3일 ~ 2010년 10월 2일 | 7.28 재보선 패배로 비대위 구성 |
3 | 손학규 | 대표최고위원 | 2010년 10월 3일 ~ 2011년 12월 22일 | 민주통합당으로 신설합당 |
2008년 2월 17일, 신당-민주당 수임기구 합동회의는 양당의 합당을 통한 통합민주당 창당을 선언하고, 신당 손학규 대표와 민주당 박상천 대표를 전당대회까지 공동대표로 선출했다.
득표순위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1 | 정세균 | 5,495 | 57.4% | 대표 |
2 | 추미애 | 2,528 | 26.5% | |
3 | 정대철 | 1,517 | 15.9% | |
총투표수 | 9,540 |
2008년 7월 6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당명을 통합민주당에서 민주당으로 개정한 뒤, 대의원 투표를 통해 정세균 전 열린우리당 의장을 대표로 선출했다.
순위 | 기호 | 이름 | 당원 여론조사(30%) | 대의원(70%) | 합산 | 비고 |
---|---|---|---|---|---|---|
득표율 | 득표율 | 득표율 | ||||
1 | 8 | 손학규 | 9,643 | 3,827 | 13,470 | 대표최고위원 |
54.5 | 37.7 | 42.7 | ||||
2 | 1 | 정동영 | 9,442 | 3,289 | 12,731 | 최고위원 |
53.3 | 32.4 | 38.7 | ||||
3 | 2 | 정세균 | 6,468 | 3,749 | 10,217 | 최고위원 |
36.5 | 37 | 36.9 | ||||
4 | 7 | 이인영 | 1,609 | 2,963 | 4,572 | 최고위원 |
9.1 | 29.2 | 23.2 | ||||
5 | 6 | 천정배 | 3,873 | 1,962 | 5,835 | 최고위원 |
21.9 | 19.3 | 20.1 | ||||
6 | 4 | 박주선 | 2,152 | 2,303 | 4,455 | 최고위원 |
12.2 | 22.7 | 19.6 | ||||
7 | 3 | 최재성 | 1,415 | 1,761 | 3,176 | |
8 | 17.4 | 14.6 | ||||
8 | 9 | 조배숙 | 802 | 436 | 1,238 | 여성 몫 최고위원 |
4.5 | 4.3 | 4.5 | ||||
합계 | - |
2010년 10월 3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1인 2표제로 사전 당원 여론조사 30%, 대의원 투표 70%로 최고위원 선거를 실시한 결과, 손학규 전 대표를 대표로 정동영 전 열린우리당 의장, 정세균 전 대표, 이인영 의원, 천정배 전 법무장관, 박주선 의원, 조배숙 의원 등을 최고위원으로 선출하였다.
2011년 12월 11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시민통합당, 한국노동조합총연맹과의 통합을 의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