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희진(閔熙珍, 1978년 12월 16일~)은 대한민국의 기업인, 연예기획자, 프로듀서다.
1978년 12월 16일 대한민국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아 어렸을 때부터 그림에 관심이 있었고 디자인과 가까운 환경에서 자랐다고 한다. 어릴 당시 아버지가 가지고 있었던 여러 나라의 LP들을 포함하여 방송에 나오는 영화의 OST를 들었고 유럽을 포함한 제 3세계 재즈 음악들에 관심이 있었다고 한다.[1][2] 서울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를 졸업했다.[3]
2002년 SM 엔터테인먼트에 공채로 입사했다. 입사 당시 민희진은 아이돌 음악보다 음반 커버 작업에 관심이 있어 SM에 지원한 것으로 알려졌다.[3] 민희진은 소녀시대를 시작으로 f(x), 샤이니, EXO, 레드벨벳과 같은 아이돌 그룹의 브랜딩을 담당했다.[4] 대표적으로 소녀시대의 'Gee', 엑소 '으르렁'의 교복과 레드벨벳 'Ice Cream Cake'의 뮤직 비디오 등이 민희진의 손을 거쳤다. 2017년 3월에 SM엔터테인먼트의 등기이사로 선임되었으나, 1년만인 2018년말에 퇴사했다.[5][6][7]
2019년에 하이브로 영입되어 브랜딩 실무의 총괄자로 활동했다. 2021년 11월에 하이브의 자회사인 쏘스뮤직을 물적분할하여 설립한 어도어의 대표로 임명되었다.[7] 2022년 8월 1일에 5인조 다국적 걸그룹인 NewJeans가 데뷔했다.
2024년 8월 27일 어도어 이사회를 통해 어도어 대표에서 해임되었고, 10월 29일 어도어 대표 복귀가 법적으로 불가능하다는 법원의 결정이 나왔다.[8] 11월 20일 어도어 사내이사에서 사임했다.[9]
“
|
사랑은 존재한다. 하지만 영원한 것은 아니다. 사랑을 처음 접한 순간에는, 그것이 사랑이라고 확언한다.심리적으로 광기, 공허, 공황, 이 순간이 영원할 것이라는 환상. 나는 욕망에 사로잡혀 있다. 나는 뒤에 숨어 모든 답을 회피하고 있다.
|
”
|
SM엔터테인먼트에 소속된 다양한 아티스트의 앨범 콘셉트를 담당, 브랜딩을 수행하여 미디어로부터 "콘셉트 장인" 등으로 표현된 적이 있다[10].
소녀시대의 "Gee"의 컬러 스키니진이나 "Genie"의 통일된 백색의 제복 스타일, 엑소의 "으르렁 Growl"의 학교 교복 등의 의상 스타일부터 뉴진스의 "New Jeans"에서 삼색의 원형 가방이나 에프엑스의 "Pink Tape"의 분홍색의 테이프 등과 같은 앨범 제작까지 케이팝 아티스트의 시각적 프로모션을 독창적인 아이디어로 통괄했다.[11]. 특히 에프엑스의 "Pink Tape"는 멜론 선정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에서 노미네이트, 독일의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2014에서 8개 작품을 수상했다.[12]
《유 퀴즈 온 더 블럭》의 인터뷰에서 "이 친구들이 어떤 그룹으로 보여지는 게 장기적으로 좋을까를 고민했다. 단순히 옷을 어떻게 입느냐가 아니라 우리가 뭘 말하고 싶은지를 구체적으로 담는 작업의 중요성을 생각해서 이전과 다른 프로세스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중략) 이전의 그룹과 대비하는 차별점은 무엇인가 생각했다. 그런 맥락을 최대한으로 끌어내기 위해 디테일에 굉장히 신경썼다고" 말했다.[13][14]
대중음악평론가인 정민재는 "민희진 대표는 워낙 포트폴리오에 걸출한 작품이 많다. 민 대표는 자신의 개성이 분명하면서도 아티스트의 개성을 잘 살리는 편이다. 콘셉트 측면에선 감각적인 소품 사용이 기억에 남는다"고 평가했다.[11]
미국 잡지 "Variety"의 세계의 엔터테인먼트 업계에 영향을 미친 여성에 선정되었다.[15]
2023년 4월 미국 빌보드의 "The 2023 Billboard International Power Players"로 선정되었다.[16]
- 다시 만난 세계(2007)
- Gee(2009년)
- Genie(2009년)
- The Boys(2011년)
- Replay(2008년)
- Romeo(2009년)
- ODD(2015년)
- Married to the music(2015년)
- NU ABO(2010년)
- Pinoquio(2011년)
- Hot Summer(2011년)
- Electric Shock(2012년)
- Pink Tape(2013년)
- Red Light(2014년)
- 4 Walls(2015년)
- Growl(2013년)
- EXODUS(2015년)
- LOVE ME RIGHT(2015년)
- EX'ACT(2016년)
- THE WAR(2017년)
- DON'T MESS UP MY TEMPO(2018년)
- Happiness(2014년)
- Ice Cream Cake(2015년)
- The Red(2015년)
- The Velvet(2016년)
- Russian Roulette(2016년)
- Rookie(2017년)
- The Red Summer(2017년)
- Perfect Velvet(2017년)
- The Perfect Red Velvet(2018년)
- Summer Magic(2018년)
- RBB(2018년)
- The 7th Sence(2016년)- NCT U
- NCT #127(2016년)- NCT 127
- Chewing Gum(2016年년)- NCT DREAM
- NCT #127 LIMITLESS(2017년)- NCT 127
- THE FIRST(2017년)- NCT DREAM
- NCT #127 CHERRY BOMB(2017년)- NCT 127
- We Young(2017년)- NCT DREAM
- New Jeans(2022년)
- Ditto(2022년)
- OMG(2023년)
- Zero(2023년)
- Get Up(2023년)
- 2016년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 베스트 비주얼&아트 디렉터
- 2022년 엠넷 아시안 뮤직 어워즈 브레이크아웃 프로듀서상
- 제72회 서울특별시 문화상 대중예술부문
- 2024년 제 38회 골든디스크 시상식 제작자상
- ↑ 박수윤 (2018년 7월 11일). “[음악계 우먼파워] ③SM엔터테인먼트 민희진 이사”.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K-POP制作所】SMミン・ヒジン室長「SMは怖い組織ではなく、純粋で一生懸命な組織」”. 2013년 9월 10일.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뉴스속 인물]'뉴진스' 만든 콘셉트 장인 '민희진'”. 2023년 1월 9일.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HI★초점] 민희진 걸그룹, 하이브의 틀을 깨라”. 2022년 7월 7일.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기자, 이승길. “'SM→하이브 이직' 민희진 "15년만의 퇴사, 이수만과 함께 울기도" ('유퀴즈')”.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조선일보 (2021년 12월 1일). “민희진 “SM 대표이사 1년만 퇴사→하이브로 이직(ft.방시혁)”… 이유는? (‘유퀴즈’) [종합]”.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머니투데이 (2021년 12월 2일). “민희진, SM 이사 되자 퇴사…"번아웃 고통스러워" 하이브 이직”. 2024년 4월 28일에 확인함.
- ↑ “‘각하’ 결정문 뜯어보니… 민희진 대표 복귀, 법적으로 원천 봉쇄”. 조선비즈. 2024년 11월 4일.
- ↑ “민희진, 이사 사임하고 하이브 떠난다…어도어 "안타깝다"”. 《연합뉴스》. 2024년 11월 20일.
- ↑ “'K팝 콘셉트 장인' 민희진 걸그룹 뉴진스, 멤버명 최초 공개..'신선한 시도' [공식]”. 《언론사 뷰》. 2022년 10월 1일에 확인함.
- ↑ 가 나 “하이브 CBO '민희진'표 걸그룹, 드디어 탄생한다![SS뮤직]|스포츠서울”. 《스포츠서울》. 2022년 7월 21일에 확인함.
- ↑ “SM, 獨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서 8개 본상 수상”. 《inews24》. 2022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HYBE新レーベル代表”ミン・ヒジン、SMの統括取締役に就任も…1年で辞職した理由とは「全部やめたくなった」”. 《Kstyle》. 2022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유퀴즈온더블럭] 케이팝에 신드롬을 일으킨 전설의 아트디렉터 민희진 자기님의 한 마디 한 마디에서 느껴지는 일에 대한 남다른 열정 | #Diggle #갓구운클립》 (일본어), 2022년 10월 12일에 확인함
- ↑ “美 매체 버라이어티, 국내 엔터업계 여성들의 글로벌 영향력 조명|스포츠서”. 《스포츠서울》. 2022년 3월 3일에 확인함.
- ↑ “박지원 하이브 CEOㆍ신영재 빅히트뮤직 대표ㆍ민희진 어도어 대표, 빌보드 '인터내셔널 파워 플레이스' 선정”. 《비즈엔터》. 2023년 4월 27일. 2024년 6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