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세리 | |
---|---|
![]() | |
출생 | 1977년 9월 28일 대한민국 충청남도 대전 광역시 유성구 봉명동[1] | (47세)
성별 | 여성 |
국적 | 대한민국 |
본관 | 경주 |
학력 | 숙명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 학사 |
경력 | SBS골프 해설위원 제31·32회 올림픽 여자 골프 국가대표팀 감독 |
직업 | 골프 선수 |
소속 | 바즈인터내셔널(CEO) 대전광역시체육회(부회장) |
종교 | 불교 |
부모 | 아버지 박준철 |
상훈 | 체육훈장 청룡장(1등급, 2010) 체육훈장 맹호장(2등급, 1998) |
박세리(1977년 9월 28일~)는 대한민국의 골프 선수였고, 올림픽 여자부 골프 감독이다.[2]
출생지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봉명동이며 초등학교 시절 육상 선수로 입문하였으나, 아버지 박준철의 권유로 1989년 골프를 시작했다. 초등학교 시절 어린 나이에 훈련장에서 새벽 2시까지 혼자 남아 훈련을 하는 등 스스로 최고가 되기 위해 쉬는 날도 없이 엄격한 훈련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1996년에 프로로 전향했으며, 당시 언론은 박세리를 향해 "무서운 10대"로 불렀다. Q스쿨을 통과한 후 1998년에 LPGA 투어에 참가했다. 투어 참가 첫 해에 LPGA 챔피언십과 US 여자 오픈에서 우승하면서 신인상을 수상했다.[5] 특히 IMF 구제금융시대에 실의에 빠진 국민들에게 악전고투 끝에 우승하는 모습이 생중계되면서 국민적인 영웅으로 떠올랐다. 박세리의 선전을 시작으로 김미현 등 대한민국의 여러 여자 골프선수들이 등장하면서, 박세리는 대한민국 여자 프로골프계의 선구자로 회자되고 있다. 또한 박세리의 활약상을 보면서 골프클럽을 잡기 시작한 박인비 등의 몇몇 여자 골프 선수들을 "박세리 키즈"라고도 한다.[6]
그 뒤 각종 LPGA 경기에 참가한 박세리는 2003년에는 베어 트로피를 수상하였고, 2006년에는 헤더 파 어워드를 수상하였다.[7] 2007년 세계 골프 명예의 전당과 LPGA 명예의 전당에 동시가입 되었으며 같은 해 7월에는 KLPGA 명예의 전당에도 가입되었다. 2021년 기준 세계 골프 명예의 전당에 입성한 유일한 코리안이다. 세계 골프 명예의 전당 라커룸에는 1998년 US 여자오픈 우승 트로피를 든 박세리의 앳된 모습을 볼 수 있다.[8]
2016 시즌을 마지막으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으며,[5] 2016년 하계 올림픽과 2020년 하계 올림픽에는 대한민국 여자 골프대표팀의 감독으로 선임되어 팀을 이끌기도 하였다.[9][10]
토너먼트 | 1997 | 1998 | 1999 | 2000 |
---|---|---|---|---|
크래프트 나비스코 챔피언십 | DNP | DNP | T13 | T15 |
맥도날드 LPGA 챔피언십 | DNP | 1 | T6 | T3 |
U.S. 여자 오픈 | T21 | 1 | T14 | T15 |
du Maurier Classic | DNP | T41 | T13 | T7 |
토너먼트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크래프트 나비스코 챔피언십 | T11 | T9 | T15 | T16 | T27 | T45 | T10 | T10 | T40 | T15 |
LPGA 챔피언십 ^ | T39 | 1 | T46 | T17 | CUT | 1 | T33 | T46 | T65 | CUT |
U.S. 여자 오픈 | 2 | 5 | 50 | T32 | T45 | T3 | T4 | CUT | CUT | CUT |
리코 브리티시 여자 오픈 ^ | 1 | T11 | 2 | T21 | WD | WD | T5 | CUT | T20 | DNP |
^ du Maurier Classic은 2001년에 브리티시 여자 오픈으로 메이저 승격되었다.
^ 메이저 대회인 맥도날드 LPGA 챔피언십은 2010년에 LPGA 챔피언십으로 바뀌었다.
DNP = did not play. 플레이하지 않음.
CUT = missed the cut. 2라운드 후 컷 탈락
WD = withdrew. 기권
"T" = tied. 공동
녹색은 우승한 게임. 노란색은 상위 10위 안에 든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