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장변연부림프종(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SMZL)은 림프종의 일종으로 B세포가 비장의 백비수에 축적되어 발생한다. 림프구와 비교적 큰 림프모구가 종양세포가 되어 비장 소포(follicle)의 외투구역(mantle zone)으로 침투한 뒤 비장 변연부(marginal zone)를 융기시키는데, 궁극적으로 적비수까지 침투한다. 혈액을 타고 골수와 비장문 부근의 림프절까지 이르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말초혈액을 타고 순환하는 세포들을 그 형태를 따 융모성 림프구(villous lymphocytes)라 한다.[1]
백비수의 반응성 배중심이 종양성 림프구로 대체됨에 따라 외투구역이 상실되고, 궁극적으로는 림프모구를 닮은 커다란 세포들까지 종양에 참여하여 변연부를 흐릿하게 덮어버린다.[5][6] 모든 경우에서 크고 작은 림프구들로 구성된 결절성 침윤이 적비수에 발생한다. 이외에는 정맥굴(sinus)에 침투, 상피 조직구, 종양세포의 형질세포 분화가 특징이다.
비장에 붙어있는 비장문 림프절에서는 변연부 구조가 사라져있는 것을 볼 수 있다.[1] 또한 결절과 유사한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골수에 침유한 SMZL에서도 볼 수 있는 형태다.[7]
해당 질병의 면역표현형은 좌측 표와 같다.[9][10] CD5의 음성반응은 SMZL과 만성림프모구백혈병/소림프구림프종을 구분하는 기준이 되고, CD10의 음성반응은 소포성림프종과 구분하는 기준이 된다. CD5와 cyclin-D1에서 모두 음성반응이 나타나므로 외투세포림프종과도 구분된다.[11]
↑ 가나Mollejo M, Menárguez J, Lloret E, 외. (October 1995).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a distinctive type of low-grade B-cell lymphoma. A clinicopathological study of 13 cases”. 《Am. J. Surg. Pathol.》 19 (10): 1146–57. doi:10.1097/00000478-199510000-00005. PMID7573673.
↑
Jaffe ES, Costa J, Fauci AS, Cossman J, Tsokos M (November 1983). “Malignant lymphoma and erythrophagocytosis simulating malignant histiocytosis”. 《Am. J. Med.》 75 (5): 741–9. doi:10.1016/0002-9343(83)90402-3. PMID6638043.
↑
Savilo E, Campo E, Mollejo M, 외. (July 1998). “Absence of cyclin D1 protein expression in splenic marginal zone lymphoma”. 《Mod. Pathol.》 11 (7): 601–6. PMID96881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