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는 각 단량체가 8개의 소단위체로 구성된 이량체이다.[3] 이들은 PetG, PetL, PetM, PetN이라는 4개의 작은 소단위체(3~4 kDa)와 함께 c형 사이토크롬을 포함하는 32 kDa 사이토크롬 f, 저전위 및 고전위 헴기를 포함하는 25 kDa 사이토크롬 b6, [2Fe-2S] 클러스터를 포함하는 리에스케 철-황 단백질, 17 kDa의 소단위체 IV라는 4개의 큰 소단위체로 구성된다.[3][4] 총 분자량은 217 kDa이다.
클라미도모나스 레인하르드티이(Chlamydomonas reinhardtii) 마스티고클라두스 라미노수스(Mastigocladus laminosus), 노스톡속의 종으로부터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의 결정 구조를 얻었다. PCC 7120이 결정되었다.[2][5][6][7][8][9]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의 코어는 사이토크롬 bc1 복합체의 코어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사이토크롬 b6와 소단위체 IV는 사이토크롬 b와 상동성이고,[10] 두 복합체의 리에스케 철-황 단백질은 상동성이다.[11] 그러나 사이토크롬 f와 사이토크롬 c1은 상동성이 아니다.[12]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에는 7개의 보결분자단이 포함되어 있다.[13][14] 4개는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와 사이토크롬 bc1 복합체 모두에서 발견(사이토크롬 c1과 f의 c형 헴, bc1과 b6f의 두 b형 헴(bp 및 bn), 리에스케 단백질의 [2Fe-2S] 클러스터이다.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에는 엽록소 a, β-카로틴, 헴 cn (헴 x라고도 함)이라는 3가지 독특한 보결분자단이 있다.[5]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 이량체의 코어 내의 단량체 간 공간은[9] 단백질 내 유전 환경의 조절을 통해 헴-헴 전자 전달에 방향성을 제공하는 지질에 의해 점유된다.[15]
별도의 반응에서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는 NADP+가 환원된 페레독신으로부터 전자를 수용할 수 없을 때 순환적 광인산화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1]P700+의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이 순환은 ATP 합성을 추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양성자 기울기의 형성에 기여한다. 이 순환은 광합성에 필수적이며,[16]탄소 고정을 위한 ATP/NADPH 생산의 적절한 비율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7][18]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 내의 p쪽 퀴놀 탈양성자화-산화 반응은 활성 산소의 생성과 관련되어 있다.[19] 퀴놀 산화 부위 내에 위치한 필수 엽록소 분자는 활성 산소의 생성 속도를 향상시키는 구조적, 비광화학적 기능을 수행하고 세포 내 통신을 위한 산화환원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20]
이 반응은 복합체 III에서와 같이 Q 회로를 통해 일어난다.[21] 플라스토퀴놀은 전자 운반체 역할을 하며 전자 분기라고 불리는 메커니즘을 통해 2개의 전자를 고전위 및 저전위 전자전달계로 전달한다.[22] 이 복합체에는 Q 회로의 작동과 광합성에서 산화환원 감지 및 촉매 기능을 담당하는 전자 전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최대 3개의 플라스토퀴논 분자가 포함되어 있다.[23]
복합체 III와 달리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는 순환적 광인산화의 핵심인 또 다른 전자 전달 반응을 촉매한다. 페레독신(Fd)의 전자는 플라스토퀴논으로 전달된 다음 사이토크롬 b6f 복합체로 전달되어 플라스토사이아닌을 환원시키며 이는 광계 I의 P700에 의해 재산화된다.[24] 페레독신에 의한 플라스토퀴논의 환원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조사 중이다. 한 가지 제안은 페레독신:플라스토퀴논 환원효소 또는 NADP 탈수소효소가 존재한다는 것이다.[24] 헴 x는 Q 회로에 필요한 것으로 보이지 않고 복합체 III에서도 발견되지 않기 때문에 다음의 메커니즘에 의해 순환적 광인산화에 사용되는 것으로 제안되었다.[22][25]
Fd (환원형) + 헴 x (산화형) → Fd (산화형) + 헴 x (환원형)
헴 x (환원형) + Fd (환원형) + Q + 2H+ → 헴 x (산화형) + Fd (산화형) + QH2
↑ 가나다Berg, Jeremy M.; Tymoczko, John L.; Stryer, Lubert; Stryer, Lubert (2007). 《Biochemistry》. New York: W.H. Freeman. ISBN978-0-7167-8724-2.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ame-list-style= (도움말)
↑Carrell CJ, Zhang H, Cramer WA, Smith JL (Dec 1997). “Biological identity and diversity in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structure of the lumen-side domain of the chloroplast Rieske protein”. 《Structure》 5 (12): 1613–25. doi:10.1016/s0969-2126(97)00309-2. PMID9438861.
↑Martinez SE, Huang D, Szczepaniak A, Cramer WA, Smith JL (Feb 1994). “Crystal structure of chloroplast cytochrome f reveals a novel cytochrome fold and unexpected heme ligation”. 《Structure》 2 (2): 95–105. doi:10.1016/s0969-2126(00)00012-5. PMID8081747.
↑Munekage Y, Hashimoto M, Miyake C, Tomizawa K, Endo T, Tasaka M, Shikanai T (Jun 2004). “Cyclic electron flow around photosystem I is essential for photosynthesis”. 《Nature》 429 (6991): 579–82. doi:10.1038/nature02598. PMID15175756. S2CID4421776.
↑Bendall, Derek (1995). “Cyclic photophosphorylation and electron transport”.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Bioenergetics》 1229: 23–38. doi:10.1016/0005-2728(94)00195-B.지원되지 않는 변수 무시됨: |name-list-style= (도움말)
↑Cramer WA, Soriano GM, Ponomarev M, Huang D, Zhang H, Martinez SE, Smith JL (Jun 1996). “Some New Structural Aspects and Old Controversies Concerning the Cytochrome b6f Complex of Oxygenic Photosynthesis”. 《Annual Review of Plant Physiology and Plant Molecular Biology》 47: 477–508. doi:10.1146/annurev.arplant.47.1.477. PMID15012298.
↑Cramer WA, Yan J, Zhang H, Kurisu G, Smith JL (2005). “Structure of the cytochrome b6f complex: new prosthetic groups, Q-space, and the 'hors d'oeuvres hypothesis' for assembly of the complex”. 《Photosynthesis Research》 85 (1): 133–43. doi:10.1007/s11120-004-2149-5. PMID15977064. S2CID207316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