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재 이 문서는 특정 국가나 지역에 한정된 내용만을 다루고 있습니다.(2010년 4월) |
산림철도(山林鐵道)는 경편철도의 일종으로, 주로 목재를 운반하기 위해 건설, 운영된다.
한국에는 일제강점기에 자원 조달을 위해 다수 건설, 운영되었다. 이들은 산지에 있어 철거하기 어려워 흔적이 일부 남아있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산림 경편철도는 존재하지 않는다.
삼척의 가곡천(柯谷川)을 따라 건설된 철도로, 일제가 이곳의 금강송을 벌목하여 동해안을 통해 반출하기 위해 이 지역 백성들의 노동력을 이용하여 만들었다.[1]
역시 삼척 지역의 마읍천(麻邑川)을 따라 건설된 철도로, 중간에 동해중부선의 교각과 90˚ 입체교차하는 곳이 있다. 이는 마읍천 철도의 운영 시기와 동해중부선의 건설 시기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 |
이 글은 철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