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해석학 에서 샤우데르 기저 (Schauder基底, 영어 : Schauder basis )는 위상 벡터 공간 에 대하여 정의되는, 벡터 공간 의 기저 와 유사한 개념이다.[ 1] :§10, 89–102 그러나 벡터 공간 의 기저 에서는 모든 원소가 유한 개의 기저 벡터의 합으로 나타내어지는 반면, 샤우데르 기저의 경우 모든 원소는 샤우데르 기저 벡터들의 무한 급수 로 나타내어진다.
N
∈
{
0
,
1
,
2
,
…
,
∞
}
{\displaystyle N\in \{0,1,2,\dots ,\infty \}}
라고 하자. 위상체
K
{\displaystyle K}
위의 위상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위의 샤우데르 기저
{
e
i
}
i
=
1
N
⊂
V
{\displaystyle \{e_{i}\}_{i=1}^{N}\subset V}
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원소들의 열 이다.
임의의 원소
v
∈
V
{\displaystyle v\in V}
에 대하여,
v
=
∑
i
=
1
N
a
i
e
i
{\displaystyle \textstyle v=\sum _{i=1}^{N}a_{i}e_{i}}
가 되는 수열
{
a
i
}
i
=
1
N
⊂
K
{\displaystyle \{a_{i}\}_{i=1}^{N}\subset K}
이 유일하게 존재한다.
여기서
N
=
∞
{\displaystyle N=\infty }
일 경우 급수 의 수렴 은
V
{\displaystyle V}
의 위상으로 정의된다.
N
=
∞
{\displaystyle N=\infty }
일 경우, 샤우데르 기저의 순서가 중요한데, 이는 위 급수 의 수렴이 절대 수렴 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N
<
∞
{\displaystyle N<\infty }
일 경우 샤우데르 기저의 순서는 중요하지 않으며, 이 경우 벡터 공간 의 일반적 기저 의 개념와 일치한다.
바나흐 공간
(
V
,
‖
−
‖
)
{\displaystyle (V,\|{-}\|)}
위의 샤우데르 기저
{
e
i
}
i
=
1
N
{\displaystyle \{e_{i}\}_{i=1}^{N}}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정규 샤우데르 기저 (正規Schauder基底, 영어 : normalized Schauder basis )라고 한다.
모든
i
=
1
,
…
,
N
{\displaystyle i=1,\dots ,N}
에 대하여,
‖
e
i
‖
=
1
{\displaystyle \|e_{i}\|=1}
N
∈
{
0
,
1
,
2
,
…
,
∞
}
{\displaystyle N\in \{0,1,2,\dots ,\infty \}}
라고 하자. 위상체
K
{\displaystyle K}
위의 위상 벡터 공간
V
{\displaystyle V}
위의 샤우데르 기저
{
e
i
}
i
=
1
N
⊂
V
{\displaystyle \{e_{i}\}_{i=1}^{N}\subset V}
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 (無條件Schauder基底, 영어 : unconditional Schauder basis )라고 한다.
임의의
v
∈
V
{\displaystyle v\in V}
및
{
1
,
2
,
…
,
N
}
{\displaystyle \{1,2,\dots ,N\}}
의 임의의 순열
σ
∈
Sym
(
{
1
,
2
,
…
,
N
}
)
{\displaystyle \sigma \in \operatorname {Sym} (\{1,2,\dots ,N\})}
에 대하여,
v
=
∑
i
=
1
N
a
i
e
i
{\displaystyle \textstyle v=\sum _{i=1}^{N}a_{i}e_{i}}
라고 하면,
∑
i
=
1
N
a
σ
(
i
)
e
σ
(
i
)
{\displaystyle \textstyle \sum _{i=1}^{N}a_{\sigma (i)}e_{\sigma (i)}}
역시 수렴 한다.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는 전순서 를 무시할 수 있다.
N
<
∞
{\displaystyle N<\infty }
인 샤우데르 기저는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이다.
K
∈
{
R
,
C
}
{\displaystyle K\in \{\mathbb {R} ,\mathbb {C} \}}
위의 바나흐 공간
V
{\displaystyle V}
의 샤우데르 기저
{
e
i
}
i
=
1
N
{\displaystyle \{e_{i}\}_{i=1}^{N}}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T
i
:
∑
i
=
1
N
a
i
e
i
↦
a
i
{\displaystyle T_{i}\colon \sum _{i=1}^{N}a_{i}e_{i}\mapsto a_{i}}
는 모두 유계 작용소 이다. 사실, 만약
{
e
i
}
i
=
1
N
{\displaystyle \{e_{i}\}_{i=1}^{N}}
가 정규 샤우데르 기저라면, 균등 유계성 원리 에 따라
sup
{
‖
T
i
‖
}
i
=
1
N
<
∞
{\displaystyle \sup\{\|T_{i}\|\}_{i=1}^{N}<\infty }
이다. (여기서
‖
−
‖
{\displaystyle \|{-}\|}
는 작용소 노름 )
샤우데르 기저를 가지는 바나흐 공간 은 항상 분해 가능 공간 이다.
증명:
K
∈
{
R
,
C
}
{\displaystyle K\in \{\mathbb {R} ,\mathbb {C} \}}
이며,
K
{\displaystyle K}
-바나흐 공간
V
{\displaystyle V}
의 샤우데르 기저
{
e
i
}
i
=
1
N
{\displaystyle \{e_{i}\}_{i=1}^{N}}
이 주어졌다고 하자 (
N
∈
{
0
,
1
,
…
,
∞
}
{\displaystyle N\in \{0,1,\dots ,\infty \}}
). 그렇다면,
K
~
=
{
Q
K
=
R
Q
+
i
Q
K
=
C
{\displaystyle {\tilde {K}}={\begin{cases}\mathbb {Q} &K=\mathbb {R} \\\mathbb {Q} +\mathrm {i} \mathbb {Q} &K=\mathbb {C} \end{cases}}}
를 정의하고,
V
~
=
{
a
1
e
1
+
a
2
e
2
+
⋯
+
a
n
e
n
:
n
∈
N
,
a
1
,
a
2
,
…
,
a
n
∈
K
~
}
⊂
V
{\displaystyle {\tilde {V}}=\left\{a_{1}e_{1}+a_{2}e_{2}+\cdots +a_{n}e_{n}\colon n\in \mathbb {N} ,\;a_{1},a_{2},\dots ,a_{n}\in {\tilde {K}}\right\}\subset V}
를 생각하자.
V
~
{\displaystyle {\tilde {V}}}
는 가산 집합 이므로,
V
~
{\displaystyle {\tilde {V}}}
가 조밀 집합 임을 보이면 족하다.
임의의 원소
V
∋
v
=
∑
i
=
1
N
b
i
e
i
(
b
i
∈
K
∀
i
=
1
,
…
,
N
)
{\displaystyle V\ni v=\sum _{i=1}^{N}b_{i}e_{i}\qquad (b_{i}\in K\forall i=1,\dots ,N)}
및 임의의 양의 실수
ϵ
∈
R
+
{\displaystyle \epsilon \in \mathbb {R} ^{+}}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제,
‖
v
−
v
~
‖
<
ϵ
{\displaystyle \|v-{\tilde {v}}\|<\epsilon }
인
v
~
∈
D
{\displaystyle {\tilde {v}}\in D}
를 찾으면 족하다.
K
~
⊂
K
{\displaystyle {\tilde {K}}\subset K}
의 조밀성으로 인하여,
|
b
i
−
b
~
i
|
<
ϵ
2
i
‖
e
i
‖
{\displaystyle |b_{i}-{\tilde {b}}_{i}|<{\frac {\epsilon }{2^{i}\|e_{i}\|}}}
인
b
~
i
∈
K
~
{\displaystyle {\tilde {b}}_{i}\in {\tilde {K}}}
를 고를 수 있다. 그렇다면
v
~
=
∑
i
=
1
N
b
~
i
e
i
{\displaystyle {\tilde {v}}=\sum _{i=1}^{N}{\tilde {b}}_{i}e_{i}}
로 놓으면, 삼각 부등식 으로 인하여
‖
v
−
v
~
‖
≤
∑
i
=
1
N
|
b
i
−
b
~
i
|
⋅
‖
e
i
‖
<
ϵ
∑
i
=
1
N
2
−
i
≤
ϵ
{\displaystyle \|v-{\tilde {v}}\|\leq \sum _{i=1}^{N}|b_{i}-{\tilde {b}}_{i}|\cdot \|e_{i}\|<\epsilon \sum _{i=1}^{N}2^{-i}\leq \epsilon }
이다.
그러나 샤우데르 기저를 갖지 않는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 이 존재한다.[ 2]
바나흐 공간
V
{\displaystyle V}
의 원소의 열
{
v
i
}
i
=
1
∞
⊆
V
{\displaystyle \{v_{i}\}_{i=1}^{\infty }\subseteq V}
가 선형 생성
Span
{
v
i
}
i
=
1
∞
=
{
a
1
v
1
+
a
2
v
2
+
⋯
+
a
k
v
k
:
k
∈
Z
+
,
a
1
,
…
,
a
k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Span} \{v_{i}\}_{i=1}^{\infty }=\{a_{1}v_{1}+a_{2}v_{2}+\cdots +a_{k}v_{k}\colon k\in \mathbb {Z} ^{+},\;a_{1},\dots ,a_{k}\in K\}}
의 폐포 의 샤우데르 기저를 이룬다면, 이를 기본열 (基本列, 영어 : basic sequence )이라고 한다. 만약 기본열이 그 선형 생성 의 폐포의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를 이룬다면, 이를 무조건 기본열 (無條件基本列, 영어 : unconditional basic sequence )라고 한다.
모든 무한 차원 바나흐 공간은 기본열을 가진다. 그러나 무조건 기본열을 갖지 않는 무한 차원 바나흐 공간이 존재한다.[ 3]
분해 가능 힐베르트 공간 의 정규 직교 기저 는 항상 무조건 샤우데르 기저이다.
Lp 공간
ℓ
p
=
L
p
(
N
)
{\displaystyle \ell ^{p}=\operatorname {L} ^{p}(\mathbb {N} )}
이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표준 기저
{
(
e
n
)
i
=
δ
n
i
}
n
∈
N
{\displaystyle \{(e_{n})_{i}=\delta _{ni}\}_{n\in \mathbb {N} }}
은
1
≤
p
<
∞
{\displaystyle 1\leq p<\infty }
에 대하여 샤우데르 기저를 이룬다.
페르 엔플로 에게 거위를 증정하는 스타니스와프 마주르
율리우시 샤우데르 가 1927년에 도입하였다.[ 4]
스타니스와프 마주르 는 1936년 11월 6일에 모든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 이 샤우데르 기저를 가지는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였고, 이를 증명하는 이에게 살아있는 거위 를 포상하겠다고 공언하였다. 1973년에 스웨덴 의 페르 엔플로 가 이 문제를 부정적으로 해결하였고,[ 2] 마주르는 엔플로에게 살아있는 거위를 선물하였다. 이 장면은 전 폴란드에 텔레비전으로 중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