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승종

손승종
孫承宗
손승종의 초상화
손승종의 초상화
稚繩
출생일 1563년
출생지 명나라 북직예 보정부 고양현
사망일 1638년
국적 명나라
복무 명나라
복무기간 1593년~1638년
근무 명군
최종계급 병부상서
주요 참전 명-청 전쟁

손승종(孫承宗, 1563년~1638년)은 명나라 고양현 출신의 무장으로, 명-청 전쟁에서 활약한 장수이다. 손승종은 동북 변방에서의 적극적인 방어 전략을 선호하였다.[1] 그는 만주족에 대항한 전쟁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였으며, 그의 제자였던 전겸익(錢謙益)는 "지난 20년간의 명장들은 모두 손승종의 제자들이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그는 1622년 요동의 병력을 재정비하는 데 성공하였고, 사령관으로 재임한 4년 동안 만주 지도자 누르하치로부터 400리의 영토를 탈환하였다.[2] 1629년 손승종은 이 공을 인정받아 병부시랑이 되었다.[3]

그의 후손으로 군벌 시대 장군인 쑨위에중일 전쟁 참전 군인인 쑨디엔잉이 있다.

생애

[편집]

손승종(孫承宗)은 젊은 시절 외모가 특출났으며, "철같이 단단한 얼굴과 칼날 같은 눈썹, 수염은 창처럼 뻗어 있었다"라고 전해진다. 명나라 만력(萬曆) 6년(1578년)에 16세의 나이로 생원이 되었고, 이후 대리시 우승(大理寺右丞) 강벽(姜璧)과 병비도(兵備道) 방수사(房守士) 등 조정 관리들의 집에서 가정 교사로 일하며 점차 관직 생활을 접하게 되었다.

만력 21년(1593년), 손승종은 베이징으로 가서 국자감에서 공부하였고, 이듬해 갑오과 순천향시(順天鄉試)에서 5등으로 급제하였다. 만력 26년, 방수사가 도찰원 우부도어사(都察院右副都御史) 겸 대동지방 순무(巡撫)로 승진하자, 손승종은 그를 따라 대동으로 가서 자제들을 가르쳤다.[4] 대동은 당시 명나라의 변방 요충지였는데, 손승종은 노장 및 퇴역 병사들과 변방 사정을 깊이 논하며 "검을 숨기고 변방을 돌아다니며 요새와 관문을 샅샅이 탐문하여 변방 사정을 꿰뚫었다"는 평가를 받았다.[5]

만력 32년(1604년), 진사 시험에서 방안(榜眼)으로 합격하여 한림원 편수(翰林院編修)로 임명되었고, 한림원에서 10년간 근무했다. 만력 42년에는 잠사부 우춘방 좌중윤(詹事府右春坊左中允), 만력 47년에는 잠사부 좌춘방 좌유덕(左諭德) 겸 한림원 시독(侍讀)으로 임명되었다.[6] 만력 48년(1620)에는 폐광세를 철폐하고 궁중 내탕금(內帑)을 풀도록 상소하였다. 이 시기 동림당 인사들인 고반룡(高攀龍)과 조남성(趙南星) 등과 친밀하게 교류하였다.

그러나 태창제 즉위한 지 한 달 만에 사망하고, 16세의 황장자(皇長子)가 태자로 책봉되지 못한 채 급히 즉위하여 천계제가 되었다. 이후 손승종은 희종의 스승이 되며, 60세에 가까운 나이에 황제의 스승이라는 지위를 통해 명나라 후반의 정치 권력의 중심으로 점차 진입하였다.

천계(天啓) 2년(1622년), 손승종은 예부 우시랑(禮部右侍郎)으로 승진하였다.[7] 동림당 인사들의 추천을 받아, 희종은 손승종을 병부 상서 겸 동각대학사로 임명하고 요동(遼東)을 시찰하게 했다. 손승종은 요동경략(遼東經略)으로 임명되면서 "장수를 중시하여 군사를 맡기고, 문관의 간섭을 줄여야 한다"며 군사 개혁을 단행하였다.[8] 그는 담대하게 원숭환(袁崇煥), 손원화(孫元化), 녹선계(鹿善繼), 모원의(茅元儀) 등을 기용하고, 영원(寧遠) 등 주요 성 9곳, 보루 45곳을 복구하며 군사 11만을 훈련시켜, 변방을 안정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9]

천계 5년(1625년), 환관 유응곤(劉應坤)이 산해관으로 와서 탕금(帑金, 황실 재정) 10만 량을 군사들에게 하사했으나, 손승종은 이를 경멸하였다. 같은 해 8월, 유하 전투[10](柳河之役)에서 마세룡(馬世龍)이 무리하게 진격하다 패배하였고,[11][12] 이를 빌미로 위충현(魏忠賢)은 손승종이 자신에게 동조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탄핵하였다.[13] 결국 희종은 손승종에게 병을 이유로 사직하도록 명하였고, 이후 고제가 그 자리를 대신하였다.[14]

숭정(崇禎) 2년(1629년), 청군이 처음으로 장성을 넘어 대안구(大安口)와 준화(遵化)를 침입하자, 명 사종(明思宗)은 손승종을 다시 기용하였다. 원숭환이 투옥된 이후에도 손승종은 조대수(祖大壽)를 적극 지지하였으며, 산해관으로 근무지를 옮겨 해안 장성을 수리하고 요동 지역의 안정을 도모하였다. 숭정 3년(1630년), 조대수와 마세룡 등 장수들이 영평(永平), 준화, 천안(遷安), 난주(灤州) 등 4개 성을 회복하자, 명나라에서는 이를 "준영대첩(遵永大捷)"이라고 불렀다. 숭정 4년(1631년) 8월, 청군이 대릉하(大凌河)를 공격하였고, 조대수가 성을 굳건히 지켰으나, 구원군 장수들 간의 불화로 결국 항복하였다. 이로 인해 손승종은 면직되었고, 7년간 고향에 머물렀다.

숭정 11년(1638년), 청군이 네 번째로 장성을 넘어 보정(保定)을 공격하고 고양(高陽)을 침입하자, 손승종은 75세의 나이로 온 가족을 이끌고 항전하였다. 그러나 고양성의 성벽이 낮아 결국 함락되었고, 손승종 일가 40여 명은 모두 장렬히 전사하였다. 손승종은 붙잡힌 후 황제를 향해 머리를 조아리고 자결하였다. 이 소식을 들은 숭정제는 그의 관직을 회복시키고 제사를 올렸다. 남명(南明) 홍광제(弘光帝) 시절, 시호를 문충(文忠)이라 하였고, 청나라 건륭제(乾隆帝) 41년(1776년)에는 시호를 충정(忠定)으로 추서하였다.[15]

각주

[편집]
  1. Swope 2014, 221쪽
  2. Catherine Jami, Engelfriet, Gregory Blue (2021). 《Statecraft and Intellectual Renewal in Late Ming China: The Cross-Cultural Synthesis of Xu Guangqi (1562-1633)》. BRILL. 228–229쪽. ISBN 9789004482975. 
  3. Swope 2014, 85쪽
  4. 张岱:《石匮书后集·孙承宗传》,卷8
  5. 明史·孙承宗传》,卷250
  6. 《東林列傳》:「(孫承宗)萬厯三十二年進士第二人,授翰林院編修。十二載遷左春坊中允,歴左諭徳、司經局洗馬,與鄒元標趙南星高攀龍諸君子交極契。」
  7. 《崇禎長編卷之十三》:「原任大學士孫承宗疏辯科臣錢允鯨之劾,言臣在詞林十九年從未談兵,偶值東西交訌,卿寺高攀龍鍾羽正馮從吾等各疏特薦,天啟二年遂以臣入內閣,又命臣暫掌兵部事...」
  8. 《明熹宗实录》,卷14
  9. 《三朝野纪》
  10. 《明史》记为九月,《国榷》载为九月二十一日
  11. 《三朝辽事实录》卷十四“按陆兵可以程计,水兵不可以日计,水陆约期于二十七日举事,水兵并无消息。世龙料理如此,焉得不败。”
  12. 《明熹宗实录》卷六十三“辽东总兵马世龙遣副总兵魯之甲等谋袭耀州,渡河败殁。先是,降虏生员刘伯镪自虏中归,声言四王子见住耀。兵不满三百。如我师渡河,辽民即杀四王子,歼其众以归。马世龙信之。遂托言东哨接济难民,调前锋营副总兵魯之甲,参将李承先领兵渡河。而所调水兵游击金冠等大船不至,济以鱼船,往返不能多载,喧竞于河者四昼夜。奴酋已觉,伏兵掩击,我军败北。二将死焉。”
  13. 《明熹宗实录》,卷58
  14. 《明熹宗实录》,卷59
  15. 《欽定勝朝殉節諸臣錄》卷一

참고문헌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