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룀그렌 측광계 (Strömgren photometric system, 스트룀그렌 - 크로우포드 측광계라고도 함)는 항성 분류를 위해 만들어진, u,b,v,y 4색의 필터에 H-β 필터를 추가한 측광 시스템이다. 이는 덴마크의 천문학자 벤그트 스트룀그렌에 의해 1956년 처음 제안되었고, 1958년 스트룀그렌의 동료였던 데이비드 크로우포드에 의해 재정립되었다.
u | v | b | y | βnarrow | βwide | |
---|---|---|---|---|---|---|
최대흡광파장 (nm) | 350 | 411 | 467 | 547 | 485.8 | 485 |
반폭치 (nm) | 30 | 19 | 18 | 23 | 2.9 | 12.9 |
b-y, m1, c1, β
m1 = (v - b) - (b - y)
c1 = (u - v) - (v - b)
β = βnarrow-βwide
y 필터 등급은 존슨 - 모간 측광계 (UBV)의 V 필터 등급과 련관되어 있으며(최대흡광파장이 V필터와 비슷함), b-y는 항성의 온도를 의미하는 값이다. c1은 항성 표면의 중력과 관계가 있는 계수이며, m1은 항성의 금속함량을 의미하는 계수이다.
![]() |
이 글은 천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