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4년부터 이론가들에 의해 실리센의 존재와 그 성질이 예측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3][4]
실리센의 관한 예측에 맞는 규소 구조는 2010년 처음 발견되었다.
[5][6]
STM을 이용해 과학자들은 110Ag와 111Ag의 단일 결정에 흡착된 자기 조립 실리센 나노리본과 실리센 시트를 원자해상도에서 연구하였다. 그 이미지는 그래핀과 비슷한 육각형벌집 구조였지만, 육각형과 비슷한 은표면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7]밀도범함수 이론 계산에 의하면, 은 표면에서 규소 원자들이 작은 굴곡을 따라 그래핀과 같은 벌집 구조로 형성된다고 한다.
↑Sone, Junki; Yamagami, Tsuyoshi; Nakatsuji, Kan; Hirayama, Hiroyuki (2014). “Epitaxial growth of silicene on ultra-thin Ag(111) films”. 《New J. Phys.》 16 (9): 095004. doi:10.1088/1367-2630/16/9/095004.
↑Takeda, K.; Shiraishi, K. (1994). “Theoretical possibility of stage corrugation in Si and Ge analogs of graphite”. 《Physical Review B》 50 (20): 14916. doi:10.1103/PhysRevB.50.14916.
↑Guzmán-Verri, G.; Lew Yan Voon, L. (2007). “Electronic structure of silicon-based nanostructures”. 《Physical Review B》 76 (7). doi:10.1103/PhysRevB.76.075131.
↑Cahangirov, S.; Topsakal, M.; Aktürk, E.; Şahin, H.; Ciraci, S. (2009). “Two- and One-Dimensional Honeycomb Structures of Silicon and Germanium”. 《Physical Review Letters》 102 (23). doi:10.1103/PhysRevLett.102.236804.
↑Aufray, B.; Kara, A.; Vizzini, S. B.; Oughaddou, H.; LéAndri, C.; Ealet, B.; Le Lay, G. (2010). “Graphene-like silicon nanoribbons on Ag(110): A possible formation of silicene”. 《Applied Physics Letters》 96 (18): 183102. doi:10.1063/1.3419932.
↑Lalmi, B.; Oughaddou, H.; Enriquez, H.; Kara, A.; Vizzini, S. B.; Ealet, B. N.; Aufray, B. (2010). “Epitaxial growth of a silicene sheet”. 《Applied Physics Letters》 97 (22): 223109. doi:10.1063/1.3524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