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P/ATP 자리옮김효소 | |||||||||
---|---|---|---|---|---|---|---|---|---|
식별자 | |||||||||
상징 | Aden_trnslctor | ||||||||
Pfam | PF00153 | ||||||||
InterPro | IPR002113 | ||||||||
TCDB | 2.A.29.1.2 | ||||||||
OPM superfamily | 21 | ||||||||
OPM protein | 2c3e | ||||||||
|
용질 운반체 패밀리 25 (미토콘드리아 운반체;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 트랜스로케이터), 멤버 4 | |||||||
---|---|---|---|---|---|---|---|
식별자 | |||||||
상징 | SLC25A4 | ||||||
다른 상징 | PEO3, PEO2, ANT1 | ||||||
NCBI 유전자 | 291 | ||||||
HGNC | 10990 | ||||||
OMIM | 103220 | ||||||
RefSeq | NM_001151 | ||||||
UniProt | P12235 | ||||||
다른 정보 | |||||||
유전자 자리 | Chr. 4 q35 | ||||||
|
용질 운반체 패밀리 25 (미토콘드리아 운반체;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 트랜스로케이터), 멤버 5 | |||||||
---|---|---|---|---|---|---|---|
식별자 | |||||||
상징 | SLC25A5 | ||||||
다른 상징 | ANT2 | ||||||
NCBI 유전자 | 292 | ||||||
HGNC | 10991 | ||||||
OMIM | 300150 | ||||||
RefSeq | NM_001152 | ||||||
UniProt | P05141 | ||||||
다른 정보 | |||||||
유전자 자리 | Chr. X q24-q26 | ||||||
|
용질 운반체 패밀리 25 (미토콘드리아 운반체;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 트랜스로케이터), 멤버 6 | |||||||
---|---|---|---|---|---|---|---|
식별자 | |||||||
상징 | SLC25A6 | ||||||
다른 상징 | ANT3 | ||||||
NCBI 유전자 | 293 | ||||||
HGNC | 10992 | ||||||
OMIM | 403000 | ||||||
RefSeq | NM_001636 | ||||||
UniProt | P12236 | ||||||
다른 정보 | |||||||
유전자 자리 | Chr. Y p | ||||||
|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 트랜스로케이터(영어: adenine nucleotide translocator, ANT)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을 통해 유리 ATP와 유리 ADP를 교환한다.[1][2] ADP/ATP 자리옮김효소(영어: ADP/ATP translocase, ANT), ADP/ATP 운반체 단백질(영어: ADP/ATP carrier protein, AAC), 미토콘드리아 ADP/ATP 운반체(영어: mitochondrial ADP/ATP carrier)라고도 한다. 아데닌 뉴클레오타이드 트랜스로케이터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가장 풍부한 단백질이며, 미토콘드리아 운반체 계열에 속한다.[3]
유리 ADP는 세포질에서 미토콘드리아 기질로 운반되는 반면, 산화적 인산화로 생성된 ATP는 미토콘드리아 기질에서 세포질로 운반되어 세포에 주요 에너지 화폐 역할을 하는 ATP를 공급한다.[4] ADP/ATP 자리옮김효소는 진핵생물에만 존재하며 진핵생물 발생 과정에서 진화한 것으로 생각된다.[5] 사람의 세포는 사람의 세포는 SLC25A4, SLC25A5, SLC25A6, SLC25A31의 4가지 ADP/ATP 자리옮김효소를 발현하며, 이는 미토콘드리아 내막에 있는 단배질의 10% 이상을 차지한다.[6] 이들 단백질은 미토콘드리아 운반체 슈퍼패밀리로 분류된다.